DOI QR코드

DOI QR Code

Acne Vulgaris Improved in Female Patients Diagnosed as 'Stagnation Pattern' Treated with Yukul-tang Gamibang and External Treatments: 2-Case Report

육울탕가미방(六鬱湯加味方)과 외치법(外治法)을 병용한 울증(鬱症)으로 변증된 여성 여드름 환자 치험 2례

  • Choi, Seok-Young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Hwang, Deok-Sang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Lee, Jin-Moo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Jang, Jun-Bock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Lee, Kyung-Sub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Lee, Chang-Hoon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최석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황덕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Received : 2015.04.13
  • Accepted : 2015.05.06
  • Published : 2015.05.29

Abstract

Objectives : Acne vulgaris is a common skin disorder prevalent among adolescence into adulthood, and its consequences can be detrimental especially for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ukul-tang Gamibang (YG) on female acne vulgaris. Methods : We treated 2 cases of female acne patients diagnosed as ‘Stagnation Pattern’ with herbal medication and external treatments. Herbal medication was orally administered 2 times a day and external treatments were applied once a week on average during the whole treatment period. Results : Photographs were taken at the start of each session, and the pictures of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period were compared. The severity of acne vulgari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Korean Acne Grading System (KAGS). We observed clinical improvement and decrease in KAGS grades after treatment. Conclusions : After taking YG, acne vulgari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pati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YG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acne vulgaris in female patients diagnosed as ‘Stagnation Pattern’.

Keywords

I. 서 론

여드름이란 모피지선 단위의 자가 국한성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면포, 홍반, 구진, 농포, 결절 등을 형성한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에 발생하여 20대 중반에 쇠퇴하지만, 20대 혹은 30대에 시작하여 수년간 지속하기도 한다. 남자는 16세와 19세 사이에 그리고 여자는 14세와 16세 사이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으며1), 청소년기 이후에 발병한 여드름을 성인기 여드름이라고 하는데, 이는 20세 이후에 잘 발병하며, 스트레스, 불규칙한 생활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임상적인 측면에서는 청소년기의 여드름에 비해 염증성 병변이 많고 면포가 적은 양상을 보인다. 분포 부위는 대개 입, 턱, 턱선 주위이며, 여성의 발병률이 더 높다2). 여드름은 환자의 삶의 질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남성보다 여성인 경우, 나이가 많을수록, 여드름 유병기간이 길수록, 많은 종류의 병변이 있을수록 삶의 질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3).

여드름의 병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러 다양한 인자의 상호 작용 때문에 임상 증상이 유발된다. 제시되고 있는 여드름의 병인은 주로 남성 호르몬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모낭 입구의 과각화와 모공 폐쇄, 세균(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염증 유발, 그 외 피부 장벽기능의 이상, 유전,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가 여드름 병변이 발생하는 데 관여한다고 알려졌다4). 경증에서 중등도 여드름 치료에서는 국소 도포제로 레티노이드제(retinoids), 과산화 벤조일(benzoyl peroxide), 아젤라산(azelaic acid) 등과 도포 및 경구 항생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한 결절형의 치료 저항성 여드름이나 흉터의 위험성이 있는 여드름의 경우 경구 아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이 효과적이다. 호르몬 요법은 여성 여드름 중에서 치료 저항성을 보이거나 성인이후 발병된 여드름에 흔히 사용된다. 아이소트레티노인 사용은 태아 기형 유발 가능성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고, 항생제 사용 시 여드름균에 대한 내성 증가로 인해 치료에 저항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치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시급한 상황이다5).

여드름은 한의학적 병명으로는 痤瘡, 面胞가 가장 의미에 부합되지만 面腫, 面熱, 風刺, 癍疹, 頭面生瘡癤, 風熱毒, 肺風瘡, 面上雜病, 粉刺, 䵟䵳, 痤疿 등 다양한 방면에서 다루어져 왔으며6), 그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肺熱血熱, 脾胃積熱, 熱毒熾盛, 血瘀痰凝, 陰虛血熱, 冲任不調 등으로 나누어 치료하였다7). 현재까지 국내에서 탕약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의 임상 증례 보고로 淸上防風湯8,9), 黃連解毒湯加味方10), 補中益氣湯加味方11), 六味地黃湯加味方12) 등에 대한 보고는 있었으나, 六鬱湯加味方을 사용한 증례의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鬱症으로 인한 여드름으로 변증된 2명의 여성 환자들에게 六鬱湯加味方의 한약 치료와 외부 치료를 병행한 결과 유의한 효과가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I. 대상 및 방법

1. 대 상

○○한의원에 안면부 여드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여성 鬱症 여드름환자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鬱症에는 氣血濕火痰食 여섯 종류가 있어 胸脇痛悶, 少腹積氣, 頭重, 心煩口渴, 痰涎不出, 呑酸 등의 증후13)를 나타내는 경우로 변증하였다.

2. 치료 방법

1) 한약 치료

六鬱湯加味方은 東醫寶鑑 원방에 荊芥, 防風, 連翹, 黃芩 각 2.8 g씩을 가미한 것으로, 하루 1첩, 1회 100 mL,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Table 1).

Table 1.* Amount per day

2) 진정약침 치료

(1) 처방 조성

金銀花, 秦艽 각 120 g, 枳殼, 桔梗, 牧丹皮, 梔子, 荊芥穗, 甘草 각 40 g

(2) 제조 방법

증류 추출 방식을 통해 위 약재에서 1000 cc의 약침액을 추출하였다.

(3) 사용 방법

농포, 구진 등 여드름을 압출한 부위에 0.2~0.3 cc 약침액을 주입하였다.

3) 침 치료

매 내원 시 S-P소아침(행림서원, 한국)을 사용하여 神庭穴, 좌우 太陽穴, 좌우 下關穴, 좌우 觀髎穴, 承漿穴 및 염증 부위에 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4) 알라딘 필링

2B Bio Peel 5 g(Libinvest, 벨기에)에 2B Bio Preparation(Libinvest, 벨기에)을 적당량 더하여 시행하였다.

3. 치료 효과의 평가

여드름의 평가는 치료 기간 전후에 촬영한 임상 사진을 근거로 한국형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Korean Acne Grading System, KAGS)14)에 따라 평가하였다(Table 2). KAGS는 2004년도에 국내 5개 의과대학이 공동으로 개발, 발표한 것으로 구진(papules), 결절(nodules), 그리고 진행성 반흔(ongoing scar)의 수 및 누(sinus tract)의 유무에 따라 Grade 1에서 Grade 6까지 6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KAGS의 기준에 따라 구진 10개 이하는 Grade 1, 구진 11∼30개 이하는 Grade 2, 구진 31개 이상이거나 결절 10개 이하는 Grade 3, 결절이 11∼20개이면서 약간의 진행형 흉터가 있는 경우는 Grade 4, 결절이 21∼30개이면서 중등도 진행형 흉터가 있는 경우는 Grade 5, 결절이 31개 이상이면서 심한 진행형 흉터나 농루가 있는 경우는 Grade 6이라 진단하였다.

Table 2.Korean Acne Grading System (KAGS)

 

III. 증 례

<증례 1>

1. 환 자 : 황○○ (F/24)

2. 신장 및 체중 : 160 cm, 58 kg

3. 주소증 : 양 볼 및 턱부위로 큰 염증 다수, 붉은 자국 다수, 안면 소양감 동반됨

4. 발병일 : 학창 시절 소수의 작은 염증 올라오는 정도였으나, 21세 이후 구진 농포성 여드름 발생함

5. 과거력 : None specific

6. 가족력 : None specific

7. 사회력

1) 직 업 : 임상병리사 2) 음 주 : 1/2병×주1회 3) 흡 연 : 無

8. 현병력3개월 전 피부과에서 여드름 관리, 필링 1회 및 항생제 2주 복용하여 치료 당시 호전 양상 보였으나, 치료 중단 이후 재차 증상 가중되어 적극적 한방 치료 위해 2014년 9월 15일 ○○한의원을 방문하여 외래 진료를 시작하였다.

9. 초진 시 소견

1) 소 화 : 소화 양호, 식욕 양호, 매끼 1/2 공기 섭취, 트림 자주 함. 2) 구 갈 : 목이 말라서 찬물을 벌컥 벌컥 들이킴, 입술이 마를 때가 자주 있음. 3) 대 변 : 대변 양호, 하루 한 번씩 시원하게 봄, 아랫배에 가스 잘 차고 방귀 잦음. 4) 소 변 : 소변 양호, 보고 난 후 시원함. 5) 한 출 : 땀 잘 나는 편으로 얼굴 겨드랑이 부위로 많이 남, 땀을 내면 기분 좋음. 6) 한 열 : 신경 쓸 때 열이 머리 위로 확 오름, 열이 나고 더웠다가 다시 열이 식고 추웠다가 왔다 갔다 할 때가 자주 있음, 손발 따뜻함. 7) 흉 부 : 깜짝깜짝 잘 놀람. 8) 수 면 : 평소 수면 시간 불규칙함, 일어났을 때 머리가 맑지 못함. 9) 부 종 : 아침에 얼굴이 자주 붓는 경향 10) 월 경 : 주기(24일, 불규칙), 월경통(+, 필요시 진통제 복용함), 월경색(赤), 塊(-), 대하(+, 色白), 월경전 통증(하복통) 11) 설 진 : 舌尖紅, 苔薄白 12) 맥 진 : 脈滑數 13) 복 진 : .中穴 부위 압통, 복진 시 복부 전반에 걸친 통증 14) 변 증 : 上焦風熱, 鬱症

10. 치료 및 경과

1) 치료 기간 2014년 9월 19일부터 2014년 11월 13일까지 약 8주간 평균 주 1회씩 총 8회 치료하였다. 2) 치료 내용 2014년 9월 20일부터 2014년 11월 13일까지 매일 2회 한약 복용하였으며, 매 내원 시 안면 침 치료 및 진정약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알라딘 필링은 내원일 중 10월 10일, 11월 1일 총 2회 시행하였다.

3) 여드름 상태의 변화(Fig. 1, 2)

Fig. 1.Before treatment of case 1. Photographs taken on September 19th show Case 1 patient with Grade 4 acne according to KAGS.

Fig. 2.After treatment of case 1. Photographs taken on November 13th show Case 1 patient with Grade 2 acne according to KAGS.

<증례 2>

1. 환 자 : 김○○ (F/17)

2. 신장 및 체중 : 163 cm, 55 kg

3. 주소증 : 이마, 턱 경계선으로 다수의 면포 있으며 양 볼 부위로 다수의 구진 농포 및 결절, 조직 손상 동반됨.

4. 발병일 : 초등학교 6학년 당시부터 이마 및 코 부위로 여드름 발생하여 점점 심해졌다 함.

5. 과거력 : None specific

6. 가족력 : None specific

7. 사회력 1) 직 업 :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2) 음 주 : 無 3) 흡 연 : 無

8. 현병력

중학교 2학년 당시 피부과에서 압출 1회 치료받고 이후 피부관리실에서 여드름 관리 2개월 받은 후 별무 치료받으며 호전 악화 반복하다 최근 약국에서 1주일간 약 복용, 연고 사용 후 각질, 건조감 및 붉음증 등의 부작용 발하여 처치 중단하고 적극적 한방치료 위해 2014년 8월 28일 ○○한의원을 방문하여 외래진료를 시작하였다.

9. 초진 시 소견

1) 소 화 : 소화 간혹 불량, 식욕 저하, 매끼 1/2 공기 섭취, 트림 자주 함, 배가 자주 아픔. 2) 구 갈 : 목이 말라서 찬물을 조금씩 마심, 입술이 마를 때가 자주 있음. 3) 대 변 : 3∼4일에 한 번씩 대변보아 변비 경향, 대변 단단하며 보고난 후 시원하지 않음, 복통 동반하는 설사 자주 함. 4) 소 변 : 소변 양호, 보고 난 후 시원함. 5) 한 출 : 얼굴 부위로 땀 많이 남. 6) 한 열 : 더위 못 참는 경향, 얼굴이 잘 붉어짐, 손발 차가움. 7) 두 면 : 머리가 맑지 않고 간혹 어지러움. 8) 인 후 : 목에 뭔가 걸려있는 느낌, 묽고 잘 뱉어지는 가래가 자주 생김. 9) 수 면 : 평소 수면 시간 불규칙함, 아침에 잘 못 일어남.

10) 월 경 : 주기(30일, 불규칙), 월경통(+, 하복통 있어 필요시 진통제 복용함), 월경색(赤), 양(多), 塊(少), 대하(-) 11) 설 진 : 舌紅, 苔無 12) 맥 진 : 脈細數 13) 복 진 : .中穴 부위 압통, 복진 시 臍部 및 하복부 전반에 걸친 통증 14) 변 증 : 上焦風熱, 鬱症

10. 치료 및 경과

1) 치료 기간 2014년 8월 28일부터 2014년 11월 13일까지 약 11주간 평균 주 1회씩 총 12회 치료하였다. 2) 치료 내용 2014년 8월 29일부터 2014년 10월 7일까지 약 5주간 매일 2회 한약 복용하였으며, 매 내원 시 안면 침 치료 및 진정 약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알라딘 필링은 내원일 중 10월 3일, 10월 24일 총 2회 시행하였다. 3) 여드름 상태의 변화(Fig. 3, 4)

Fig. 3.Before treatment of case 2. Photographs taken on September 2nd show Case 2 patient with Grade 4 acne according to KAGS.

Fig. 4.After treatment of case 2. Photographs taken on November 13th show Case 2 patient with Grade 2 acne according to KAGS.

 

IV. 고 찰

여드름은 모피지 단위에 발생하는 국한성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주로 사춘기에 발생하지만 20∼30대에 발생해서 중년까지 지속할 수도 있는 흔한 피부 질환이다. 여드름은 각질형성 세포의 증식과 분화 및 탈락 이상으로 인한 모공의 과각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에 의한 피지선의 피지 과다분비, Propionibacterium acnes의 군락 형성 및 염증 반응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으나 아직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며 유전적 요인, 호르몬, 스트레스, 세정제, 햇빛과 같은 여러 인자도 여드름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거론된다15).

Mallon 등은 삶의 질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오는 다른 전신 질환과 비교한 조사에서 여드름 환자의 삶의 질이 천식, 간질, 당뇨, 요통, 관절염 등과 비교할 만한 손상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여 여드름이 하찮은 질환이 아님을 보인 바 있다16). 따라서 임상적으로 가벼운 증상의 여드름이라 할지라도 환자 자신은 삶의 질에 심한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특히 남성보다 여성에서 여드름에 의한 삶의 질 손상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3).

≪東醫寶鑑≫에서는 鬱이라는 것은 엉키거나 몰린 것이 헤쳐지지 않는 것을 말하며 올라가야 할 것이 올라가지 못하고 내려가야 할 것이 내려가지 못하며 변화되어야 할 것이 변화되지 못하여 氣鬱, 濕鬱, 熱鬱, 痰鬱, 血鬱, 食鬱의 여섯가지 鬱症이 생긴다고 하였다. 즉, 氣가 몰리면 濕이 막히고 濕이 막히면 熱이 생기며 熱이 몰리면 痰이 생기고 痰이 막히면 血이 잘 돌지 못하고 血이 막히면 음식이 잘 소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 여섯 가지 병은 서로 연관되어 생기며, 鬱症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먼저 氣를 고르게 한 다음 火를 내리고 痰을 삭이며 積을 없애도록 하였다17). 鬱證은 氣鬱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려과도나 失意, 悲嘆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증이라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우울증과 같은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8,19).

≪東醫寶鑑≫의 六鬱湯은 明代의 ≪古今醫鑑≫20) 처방에 生薑 3 片이 추가된 것으로 氣血濕火痰食 여섯 가지 鬱證을 다스려 모든 鬱火를 開通하는 통치방으로 사용되었다. 香附子는 行氣解鬱시키는 효능이 있어 氣鬱을 치료하는 主藥이 되고, 川芎은 活血行氣시키는 효능이 있어 血鬱을 치료하고, 蒼朮은 燥濕健脾시켜 濕鬱을 치료하며, 梔子는 淸熱除煩시킴으로써 火鬱을 치료하고, 二陳湯의 陳皮 半夏 赤茯. 甘草는 燥濕化痰 理氣和中하여 痰鬱을 치료하며, 砂仁은 脾胃에 작용하여 理氣化濕시킴으로써 食鬱을 치료한다21). 한의학에서는 여드름의 기본 병인을 肺經風熱, 邪熱薰蒸으로 인한 것으로 보고7) 여기에 祛風하는 荊芥 防風과 淸熱하는 黃芩 連翹를 각각 2.8 g 가미하여 사용하였다.

증례의 두 환자는 비교적 젊은 나이의 여성으로 한약 투여와 안면 침 치료, 진정약침 치료, 알라딘 필링 등 외부 치료를 통하여 여드름을 치료하였다. 증례 1에서는 약 8주간 8회 내원하여 치료하였으며, 전 기간 한약 치료를 하였다. 증례 2에서는 약 11주간 12회 내원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 시작 시점으로부터 약 5주간 한약을 복용하였다. 치료 전후의 사진을 비교하여 여드름 정도를 평가한 결과, 증례 1과 증례 2에서 모두 KAGS grade 4에서 2로 개선되었다.

증례 1은 24세 여환으로 처음 내원 당시 양 볼 및 턱부위로 다수의 딱딱한 결절과 붉은 구진이 있었으며 이전 염증으로 인한 붉은 자국이 심하게 남아 있어 KAGS 상 Grade 4 상태였다. 중고등학교 당시 소수의 작은 구진이 올라오는 정도였으나 3년 전부터 결절과 구진 농포가 다수 발생하였으며, 3개월 전 피부과에서 외부 치료 및 2주간 항생제를 복용하여 일시적으로 호전 경향 보였으나 치료 중단 이후 증상 다시 심해진 사례였다. 본 환자는 현재 임상병리사로 일하면서 직장 내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膻中穴 부위를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을 호소하여 氣鬱症을 보였다. 평소 백색의 묽은 대하가 묻어나며 기상 시 얼굴이 자주 붓는다 하여 濕鬱症을 보였다. 또한, 입술이 마를 때가 자주 있고 갈증을 느껴 찬물을 많이 마시며, 신경 쓸 때 열이 머리 위로 확 오르면서 舌尖紅, 脈滑數하여 熱鬱症을 보였다. 복진 시 복부 전반에 걸친 통증을 보였으며 월경 또한 불규칙하며 월경통 때문에 자주 진통제를 복용한다 하여 痰血의 鬱症을 보였다. 스스로는 소화 상태가 양호하다 하였으나 식사 시 1/2 공기의 소량 섭취함에도 트림을 자주 하고 아랫배에 가스가 잘 차고 방귀도 잦다 하여 食鬱症 또한 보였다. 전반적인 건강과 안면 피부 상태를 고려하였을 때 六鬱症과 上焦風熱으로 진단하고 六鬱湯에 荊芥 防風 黃芩 連翹을 가미한 六鬱湯加味方을 처방하였다. 치료 시작 당시부터 약 8주간 꾸준한 한약 치료 및 외부 치료를 시행한 결과 상열감, 트림, 붓는 증상 등 제반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염증 개수도 매우 감소하여 KAGS 상 Grade 2 상태로 호전되었다.

증례 2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인 17세의 여환으로 초등학교 6학년부터 여드름이 이마 및 코 부위로 발생하여 현재 가장 심한 상태에서 내원하였다. 처음 내원 당시 이마에 면포가 다수 있었으며 양 볼 부위로 구진 농포 및 결절이 관찰되며 심한 조직 손상이 동반되어 KAGS 상 Grade 4 상태였다. 학업적인 스트레스는 많지 않으나 다른 문제로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膻中穴 부위를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을 호소하여 氣鬱症을 보였다. 입술이 마를 때가 자주 있고 목이 말라서 찬물을 좋아하며, 3∼4일에 한 번씩 단단한 변을 보며, 舌紅 脈數하여 熱鬱症을 보였다. 목에는 항상 뭔가 걸려있는 느낌이 있으면서 가래가 자주 생기며 머리가 맑지 않고 간혹 어지러움도 발한다 하여 痰鬱症을 보였다. 월경 시 하복통이 있어 진통제를 복용하는 편이며 복진 시 배꼽 주변을 비롯하여 하복부 전반에 걸친 통증을 호소하여 血鬱症을 보였다. 소화는 가끔 불량하며 평소 식욕이 없으면서 트림을 자주 하는 등 食鬱症을 보였다. 전반적인 건강과 안면 피부 상태를 고려하였을 때 마찬가지로 六鬱症과 上焦風熱으로 진단하고 六鬱湯에 荊芥防風 黃芩 連翹을 가미한 六鬱湯加味方을 처방하였다. 치료 시작 당시부터 약 5주간 한약 치료 및 외부 치료를 시행한 결과 소화 및 대변 상태 호전되었으며 전반적인 염증 개수 많이 감소하고 결절도 소실되어 KAGS 상 Grade 2 상태로 호전되었다.

인체는 하나의 유기체로 表裏內外가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기 때문에 몸의 내부적인 불균형으로 인해 여드름과 같은 피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체의 전반적 불균형을 해소하여 균형을 되찾으면 피부 증상도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한의학에서는 모든 질병이 七情이나 六欲의 과도, 六氣와 八風의 침입, 飮食傷이나 打撲傷 등의 원인으로 일어난다고 보고 외과에 해당하는 질환도 그 근본이 내과에서 기인하였기 때문에 외과에서도 내과와 마찬가지로 병세나 증상을 陰, 陽, 虛, 實, 寒, 熱, 表, 裏에 따라 적절히 치료하고, 외부적인 膿瘡이나 癰疽만을 중요시하지 않았다7). 본 증례의 경우, 울증으로 진단한 여드름 환자에게 六鬱湯加味方을 처방하였으며,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탕약 복용과 함께 약침요법, 침구요법, 알라딘 필링 등을 병행한 결과 좋은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여드름 치료에 대한 六鬱湯加味方 단독 투여의 유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객관성 및 확실성이 부족하고 증례가 적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후 더 많은 경험과 증례를 통한 연구와 보고가 필요할 것이다.

 

V. 결 론

六鬱湯加味方이 鬱症으로 인한 여성 여드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 한의원에서 한약 투여와 외부 치료를 병행하여 여드름 치료를 한 증례에서 여드름 지표의 뚜렷한 호전이 관찰되었기에 그 경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Dermatology. Seoul:Yeomungak. 2001:491.
  2. Ahn S, Seong Y, Song J. Acne Bible. Seoul:Jinsol. 2006:26-9.
  3. Ahn B, et al.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5;43(1):6-14.
  4. Jeong J. Clinical Acneology. Seoul: MDWorld. 2014:28-37.
  5. Katsambas A, Dessinioti C. New and emerging treatments in dermatology: acne. Dermatology and Therapy. 2008; 21:86-95. https://doi.org/10.1111/j.1529-8019.2008.00175.x
  6. Yeom J, et al. Chronic Acne Vulgaris: 2 Case Report.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1985;2(1):89-92.
  7. Korean Traditional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and Surgery. Busan: Sunwoo. 2007:3-4, 486-9.
  8. Lim J, Oh E, Jee S. A Clinical Report about the Effect of Chungsangbangpung-tang on Acn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3;16(2):177-88.
  9. Kim J, Yoo D. A Case Report of Acne Vulgaris Patient Treated with Cheongsangbangpung-tang.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Thesis Collection. 2013;22(1):185-91.
  10. Oh C, et al. Acne Treatment Cases with Hwangryeonhaedok-tang.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9;22(3):228-36.
  11. Lee J, Hong S. A Clin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Bojoongikki-tang on Acn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8;21(2):191-7.
  12. Lee Y, et al. A Case Study about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Gamibang and comedon extraction on Male Acne. Daejeon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Thesis Collection. 2011;20(1):119-25.
  13. Lee D. Korean Clinical Neuropsychiatry. Seoul:Seowondang. 1994:255-9.
  14. Sung K, et al. Korean Acne Grading System.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4;42(10):1241-7.
  15. Ahn B, Choi E, Lee S. The Pathogenesis of Acne. Journal of Skin Barrier Research. 2002;4(1):62-70.
  16. Mallon E, et al. The quality of life in acne: a comparison with general medical conditions using generic questionnaire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999; 140:672-6. https://doi.org/10.1046/j.1365-2133.1999.02768.x
  17. Heo J. Donguibogam. Gyeongnam: Dongeuibogam Publishing House. 2006: 1382-6.
  18. Hwang U. Korean Psychiatry. Seoul: Hyeondae Medical Books. 1987:608-11.
  19. Mun J, Ahn G, Choi S. Oriental Pathology. Seoul:Gomunsa. 1990:60-2.
  20. Gongshin. Gogeumuigam. Jiangxi:Scientific & Technical Publishing House. 1990: 98-100.
  21. Yun Y. Oriental Prescriptions and Commentary. Seoul:Uiseongdang. 2007: 495-504.

Cited by

  1. 국내 한약 치험례 분석을 통한 한의학적 여드름 치료법에 대한 고찰 vol.31, pp.4, 2018, https://doi.org/10.6114/jkood.2018.31.4.065
  2. 한약 저온숙성비누가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vol.34, pp.3, 2015, https://doi.org/10.6116/kjh.2019.34.3.37
  3. 울증(鬱證)의 개념 정립에 관한 문헌고찰 vol.31, pp.2, 2020, https://doi.org/10.7231/jon.2020.31.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