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연구에 사용한 오동나무(P. coreana)의 어린가지는 강원대학교 구내에 식재되어 있는 것을 2013년 8월 채취한 후 저자 중의 한 명인 권용수교수가 감정하여 음건하고 세절하여 사용하였으며, 확증표본(KNUPH-T-13-01)은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에 보관중이다.
Fig. 1.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1-5 isolated from P. koreana.
기기 및 시약 −1H-NMR 및 13C-NMR spectra는 Bruker 사의 AVANCE 6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ass spectrum 은 AB Sciex 사의 API 3200 LC/MS/MS system과 JEOL 사의 JMS-700을 이용하여 negative 또는 positive mode로 측정하였다. UV/Vis spectrophotometer는 Jasco사의 V-530을 사용하였다. Flash column chromatograhpy는 Teledyne Isco사의 CombiFlash® RetrieveTM를 이용하였고 column은 RediSep을 이용하였다. 각 분획의 추출용매 및 column chromatography용 용매는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TLC plate 는 Merck사의 precoated Kieselgel 60 F254s(layer thickness 0.25 mm, 20×20 cm, Merck Art. No. 5715), RP-18 F254s를 사용하였으며, column chromatography의 충진제는 Merck사의 Kieselgel 60(63-200 μm 또는 40-63 μm) 및 YMC gel ODS-A(150 μm)를 사용하였다. TLC spot 발색은 254 nm UV 및 20% 황산용액을 사용하였다.
추출 및 분리 −채집하여 음건한 오동나무(P. coreana)의 어린가지 4.2 kg을 세절하여 MeOH 12 L에 넣은 후 실온에서 1주일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MeOH 엑스(350g)를 얻었다. 얻어진 MeOH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n-hexane으로 분획하여 n-hexane 분획 14.6 g을 얻었고, 남은 물층에 chloroform을 가하고 분획하여 chloroform 가용성 분획 11.6 g을 얻었으며, 다시 남은 물층에 n-BuOH을 가하고 분획하여 n-BuOH 가용성 분획 51.6 g을 얻었으며, 남은 물층은 제거하였다. 얻어진 이들 분획 중 양이 가장 많은 n-BuOH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n-BuOH 가용성 분획(50 g)을 silica gel(Merck, 63-200 μm, 1kg) column(15×50 cm)에 걸어 CHCl3:MeOH:H2O=30:40:1을 용매로 용출시켜 7 개의 소분획(Fr. A~Fr. G)을 얻었다. 소분획 Fr. A(1.1 g)을 대상으로 silica gel (Merck, 63-200 μm,100 g) column(5×50 cm)에 걸고 n-hexane:EtOAc=4:1을 용매로 용출시켜 5 개의 소분획(Fr.A-1~Fr.A-5)으로 나누었다. 이 중 소분획 Fr.A-3을 다시 n-hexane:EtOAc=5:1 을 용매로 silica gel column(Merck, 40-63 μm,40g, 3×20 cm) 을 실시하여 화합물 1(32.1 mg)을 얻었다. 소분획 Fr. B(3.8 g) 을 silica gel column(Merck, 63-200 μm,100 g, 5×50 cm)에 걸고 CHCl3:MeOH=19:1을 용매로 용출시켜 10 개의 소분획(Fr. B-1~Fr. B-10)으로 나누었다. 이들 소분획 중 Fr. B-7을 MeOH로 재결정을 실시하여 화합물 2(88.4 mg)를 얻었다. 또한, Fr. B-3(0.6 g)을 대상으로 n-hexane:EtOAc=15:1을 용매로 flash column chromatography(CombiFlash® RetrieveTM, RediSep flash column 40 g)를 실시하여 8 개의 소분획(Fr. B-3-1~Fr. B-3-8)으로 나누었고, 이들 소분획 중 Fr. B-3-5 (0.07 g)을 대상으로 MeOH:H2O=90:10을 용매로 flash column chromatography(CombiFlash® RetrieveTM, RediSep ODS flash column(40 g)를 실시하여 화합물 3(21 mg)과 4(11.6 mg)를 각각 얻었다. Fr. D(6.1 g)을 silica gel column(Merck, 63-200 μm, 500 g, 10×50 cm)에 걸고 CHCl3:MeOH=4:1을 용매로 용출시켜 7개의 소분획(Fr. D-1~Fr. D-7)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Fr. D-4(2.6 g)을 대상으로 MeOH:H2O=40:60을 용매로 flash column chromatography (CombiFlash® RetrieveTM, RediSep ODS flash column 130 g)를 실시하여 화합물 5(840 mg)을 얻었다.
화합물 1 −White powder; 1H-NMR (600 MHz, pyridine-d5) δ: 0.92 (3H, s, 25-CH3), 1.00 (3H, s, 23-CH3), 1.08 (3H, s, 26-CH3), 1.11 (3H, d, J=6.5 Hz, 30-CH3), 1.22 (3H, s, 24-CH3), 1.43 (3H, s, 29-CH3), 1.69 (3H, s, 27-CH3), 2.13 (1H, ddd, J=4.4, 11.6, 10.9 Hz, H-16β), 2.30 (1H, ddd, J=4.4, 13.5, 13.5 Hz, H-15β), 3.02 (1H, br s, H-18), 3.09 (1H, ddd, J=4.4,13.2,13.2 Hz, H-16α), 3.42 (1H, dd, J=5.0,11.1 Hz, H-3), 5.59 (1H, t-like, H-12); 13C-NMR (150 MHz, pyridine-d5) δ: 181.22 (C-28), 140.41 (C-13), 28.54 (C-12), 78.71 (C-3), 73.18 (C-19), 56.36 (C-5), 55.08 (C-18), 8.77 (C-17), 48.26 (C-9), 42.85 (C-20), 42.58 (C-14), 40.85 (C-8), 39.88 (C-4), 39.51 (C-1), 38.96 (C-22), 37.86 (C-10), 34.07 (C-7), 9.77 (C-15), 29.28 (C-23), 28.56 (C-2), 27.63 (C-21), 27.42 (C-29), 26.86 (C-16), 25.18 (C-27), 24.52 (C-11), 19.44 (C-6), 17.69 (C-26), 17.28 (C-24), 17.00 (C-30), 16.09 (C-25); ESI-MS (negative mode), m/z 471 [M-H]-
화합물 2 −Amorphous white powder; 1H-NMR (600 MHz, pyridine-d5) δ: 0.91 (3H, s, 23-CH3), 0.99 (3H, s, 25-CH3), 1.12 (3H, s, 26-CH3), 1.13 (3H, d, J=6.2 Hz, 30-CH3), 1.27 (3H, s, 24-CH3), 1.42 (3H, s, 29-CH3), 1.65 (3H, s, 27-CH3), 1.76 (1H, t, J=11.9 Hz, H-1α), 1.90 (1H, dd, J=4.2,12.0 Hz, H-1β), 2.34 (1H, ddd, J=4.2,13.6,13.6 Hz, H-15β), 3.05 (1H, s, H-18), 3.12 (1H, ddd, J=4.6, 12.9, 13.2 Hz, H-16α), 3.76 (1H, d, J=2.5 Hz, H-3β), 4.31 (1H, ddd, J=2.8,4.1,11.4 Hz, H-2β), 5.59 (1H, s, H-12); 13C-NMR (150 MHz, pyridine-d5) δ: 180.67 (C-28), 139.95 (C-13), 127.99 (C-12), 79.35 (C-3), 72.68 (C-19), 66.11 (C-2), 54.59 (C-18), 48.76 (C-5), 48.28 (C-17), 47.64 (C-9), 42.88 (C-14), 42.37 (C-1), 42.18 (C-20), 40.59 (C-8), 38.80 (C-10), 38.50 (C-22), 33.52 (C-7), 29.46(C-23), 29.25(C-15), 27.07(C-29), 26.94(C-21), 26.38(C-16), 24.64 (C-27), 24.08 (C-11), 22.28 (C-24), 18.60 (C-6), 17.27 (C-26), 16.79 (C-25), 16.63 (C-30); EIMS, m/z (rel. int.) 488 [M]+ (7.7), 470 [M-H2O]+ (5.7), 442 [M-(COOH+H)]+ (36.8), 424 (18.1), 409 (7.3), 370 (12.2), 264 [D/E ring (a)]+ (12.5), 246 (31.7), 218 (32.7), 201 (37.2), 146 (100).
화합물 3 −Amorphous white powder; 1H-NMR, (600 MHz, pyridine-d5) δ: 0.99 (3H, s, 26-CH3), 1.04 (3H, s, 25-CH3), 1.05 (3H, s, 24-CH3), 1.08 (3H, s, 30-CH3), 1.15 (3H, s, 29-CH3), 1.24 (3H, s, 23-CH3), 1.60 (3H, s, 27-CH3), 2.22 (1H, ddd, J=4.4,12.4,12.4 Hz, H-1α), 2.80 (1H, ddd, J=4.3, 14.1,12.4 Hz, H-16α), 3.35 (1H, d, J=9.5Hz, H-3α), 3.57 (1H, br d, J=4.3 Hz, H-19β), 3.59 (1H, br s, H-18β), 4.07 (1H, ddd, J=4.4,9.4,11.0 Hz, H-2β), 5.52 (1H, t-like, H-12); 13C-NMR (150 MHz, pyridine-d5) δ: 180.91 (C-28), 144.93 (C-13), 123.15 (C-12), 83.87 (C-3), 81.23 (C-19), 68.61 (C-2), 56.05 (C-5), 48.44 (C-9), 42.21 (C-14), 40.09 (C-8), 39.88 (C-4), 38.71 (C-10), 35.73 (C-20), 33.66 (C-22), 33.33 (C-7), 29.34 (C-29), 29.15 (C-15, C-21), 28.85 (C-23), 28.39 (C-16), 24.86 (C-27), 24.81 (C-30), 24.29 (C-11), 19.03 (C-6), 17.59 (C-25, C-26), 16.80 (C-24); EIMS, m/z (rel. int.) 488[M]+ (7.6), 470 (M-H2O)+ (16.3), 452 (M-2H2O)+ (3.2), 442 [M-(COOH-H)]+ (8.4), 424 [M-(COOH-H+H2O)]+(7.5), 264 [D/E ring(a)]+ (73.7), 246 (a-H2O)+ (96.1), 231 (a-H2O-CH3)+ (51.1), 219 (a-COOH)+ (16.9), 201 [a-(COOH+H2O)]+ (100)
화합물 4 −Amorphous white powder; 1H-NMR (600 MHz, pyridine-d5) δ: 0.67 (3H, s, 18-CH3), 0.88 (3H, d, J=6.8 Hz, 26-CH3), 0.89 (3H, d, J=6.8 Hz, 27-CH3), 0.91 (3H, t, J=7.3 Hz, 29-CH3), 0.95 (3H, s, 19-CH3), 1.00 (3H, d, J=6.4 Hz, 21-CH3), 2.49 (1H, br t, J=11.2 Hz, H-4a), 2.74 (1H, dd, J=13.2, 2.1Hz, H-4b), 3.96 (1H, m, H-5'), 3.99 (1H, m, H-3), 4.07 (1H, t, J=8.0 Hz, H-2'), 4.29 (1H, t, J= 8.9Hz, H-3'), 4.31 (1H, t, J=8.8 Hz, H-4'), 4.43 (1H, dd, J=11.8, 5.3 Hz, H-6'a), 4.58 (1H, dd, J=11.8, 2.0 Hz, H-6'b), 5.07 (1H, d, J=7.7 Hz, H-1'), 5.36 (1H, br t, J=2.4 Hz, H-6); 13C-NMR (150 MHz, pyridine-d5) δ: 140.94 (C-5), 121.94 (C-6), 102.60 (C-1'), 78.63 (C-5'), 78.50 (C-3), 78.13 (C-3'), 75.36 (C-2'), 71.72 (C-4'), 62.87 (C-6'), 56.86 (C-14), 56.28 (C-17), 50.37 (C-9), 46.07 (C-24), 42.51 (C-13), 39.98 (C-4), 39.36 (C-12), 37.51 (C-1), 36.95 (C-10), 36.42 (C-20), 34.24 (C-22), 32.20 (C-7), 32.09 (C-8), 30.28 (C-2), 30.04 (C-25), 29.50 (C-16), 28.57 (C-23), 26.42 (C-15), 24.54 (C-15), 23.42 (C-28), 21.31 (C-11), 20.00 (C-26), 19.45 (C-19), 19.24 (C-21), 19.04 (C-27), 12.18 (C-29), 12.01 (C-18); ESI-MS (positive mode), m/z 599 [M+Na]+.
화합물 5 −Amorphous white powder; 1H-NMR (600 MHz, DMSO-d6) δ: 6.73 (2H, s, H-2, H-6), 6.47 (1H, d, J=15.9 Hz, H-7), 6.34 (1H, dt, J=5.2, 15.9 Hz, H-8), 4.91 (1H, d, J=7.2 Hz, H-1'), 4.11 (2H, t-like, J=4.0 Hz, H-9), 3.77 (6H, s, OCH3×2); 13C-NMR (150 MHz, DMSO-d6) δ: 135.18 (C-3, C-5), 134.35 (C-4), 133.08 (C-7), 130.64 (C-1), 128.92 (C-8), 104.95 (C-2, C-6), 103.05 (C-1'), 77.67 (C-5'), 77.02 (C-3'), 74.66 (C-2'), 70.42 (C-4'), 61.93 (C-9), 61.38 (C-6'), 56.83 (OCH3×2); ESI-MS (negative mode), m/z 371 [M-H]-
결과 및 고찰
화합물 1의 1H-NMR spectrum을 보면 δ0.92, 1.00, 1.08, 1.22, 1.43 및 1.69에서 6개의 methyl기에 의한 singlet signal 을 확인할 수 있고, δ1.11에서 또 다른 하나의 methyl기가 J=6.5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이 화합물을 ursane계 triterpenoid계열의 화합물로 추정할 수 있었으며, δ3.02에서 나타나는 H-18의 signal이 broad singlet 으로 나타나고, δ3.09에서 16번의 α proton이 J=4.4,13.2, 13.2 Hz의 double triplet으로 나며 13C-NMR spectrum의 δ73.18에서 C-19의 signal이 나타나 ursolic acid의 signal보다 약 43 ppm 저자장 shift하므로 이 화합물은 ursane계열의 19번 위치에 hydroxyl기가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임을 알수 있었다.12,13) 또한, LC-ESI MS로 측정한 분자량의 값이 m/z 471 [M-H]+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문헌14)을 비교하여 화합물 1은 pomolic acid로 그 구조를 동정하였다. Pomolic acid는 다양한 식물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에 관한 연구도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cytotoxicity,15-17) foam cell 형성 억제활성18,19)과 관련된 연구의 결과들이 주로 발표되었으며, nematicidal acitiity20)나 anti-HIV acitivity21)에 관한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화합물 2의 1H-NMR spectrum에서도 δ0.91, 0.99, 1.12, 1.27, 1.42 및 1.65에서 6개의 methyl기에 의한 singlet signal 을 확인 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δ1.13에서 J=6.2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는 methyl기의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고, δ3.05에서 H-18의 signal이 singlet으로 나타나고 δ3.12 에서 H-16α signal이 J=4.6, 12.9, 13.2Hz의 double doublet 으로 나타타므로 이 화합물도 화합물 1과 동일하게 C-19 위치에 치환기가 존재하는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화합물 2는 화합물 1과 다르게 1번의 proton들이 δ1.76에서 J=11.9 Hz의 triplet, δ1.90에서 J=4.2, 12.0 Hz의 double triplet으로 나타나고, 2번의 proton이 δ4.31에서 2.8, 4.1, 11.4 Hz의 double doublet으로 나타났다. 또한, δ3.76에서 3번의 proton이 J=2.5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3C-NMR spectrum의 δ22.28에서 C-24 methyl기가 나타나는데 반하여 화합물 1의 C-1 signal은 δ17.28에서 나타나므로 5 ppm 저자장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화합물 2의 3번에 치환된 hydroxyl기는 α(axial)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2의 signal이 δ66.11에서 나타나 화합물 1의 2번 탄소의 signal보다 37.55 ppm 저자장 이동된 것으로부터 화합물 2는 2번 탄소에도 hydroxyl기가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번 proton 이 1H-NMR specturm의 δ3.76에서 J=2.5 Hz의 비교적 적은 값의 doublet으로 나타나므로 2번 탄소에 치환된 hydroxyl 기도 α(axial)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12,13) EI-MS 로 측정한 MS spectrum에서 분자량이 m/z 488에서 나타나화합물 1의 분자량보다 한 개의 hydroxyl기만큼 많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위의 사실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와 문헌22)을 비교하여 화합물 2는 euscaphic acid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도 pomolic acid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식물에 함유되어 있어 항염증활성,23,24) 동맥경화억제활성,25) 항암활성 증강작용26) 등의 활성이 보고되었다. 화합물 3은 1H-NMR spectrum의 δ0.99, 1.04, 1.05, 1.08, 1.15, 1.24 및 1.60에서 angular methyl기에 의한 singlet들이 나타나므로 화합물 1과 2와는 다른 oleanane계열의 triterpenoid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I-MS로 측정한 분자량이 m/z 488[M]+에서 나타나 화합물 2와 동일한 분자량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H-NMR spectrum의 δ3.35에서 H-3가 J=9.5Hz의 doublet으로 나타나고, δ3.57에서 H-19가 J=4.3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며, δ4.07에서 H-2가 J=4.4,11.0, 9.4Hz의 double triplet으로 나타났다. 또한, 13C-NMR spectrum의 δ83.87에서 C-3, δ81.23에서 C-19 그리고 δ68.61 에서 C-2의 signal들이 나타나므로 이 화합물도 2, 3 및 19번 위치에 OH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3C-NMR spectrum의 δ16.80에서 24번의 methyl기의 signal이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3번의 OH는 β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3번의 proton이 1H-NMR의 δ3.35에서 J=9.5 Hz의 doublet으로 나타나 비교적 큰 값의 coupling constant를 가지므로 2번 탄소의 OH는 α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I-MS spectrum의 분자량이 m/z 488에서 나타나고 retro Diels-Alder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fragmentation ion 중 D/E ring에 의한 fragmentation ion이 m/z 264에서 나타나난 것으로부터도 위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SQC, HMBC 및 NOESY 등의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과 문헌14,27)을 비교하여 화합물 3은 arjunic acid로 동정하였다. Arjunic acid의 활성으로는 항염증,28,29) 세포독성,29,30) 및 항산화31)활성이 보고되었다. 화합물 4는 1H- 및 13C-NMR spectrum과 MS spectrum의 data를 문헌32) 과 비교하여 daucosterol로 동정하였으며 이 화합물은 박 등이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의 줄기로부터 분리, 보고한 바 있다.33) 화합물 5의 1H-NMR spectrum을 보면 δ6.73에서 proton 2개에 해당하는 singlet이 나타나고, δ6.47 에서 나타나는 J=15.9Hz의 doublet, δ6.34에서 나타나는 J=15.9, 5.2의 doublet-triplet 및 δ4.11에서 나타나는 J=4.0 Hz의 triplet 모양의 signal과 더불어 δ3.77에서 두 개의 methoxyl기에 의한 signal이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이 화합물은 3,4,5번에 치환기가 존재하는 trisubstituted phenylpropanoid계열의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으며 2번과 6번의 치환기는 methoxyl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H-NMR spectrum의 δ4.91에서 나타나는 J=7.2 Hz의 doublet으로부터 이 화합물에는 한 개의 당이 β로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결합된 당의 종류는 가수분해 후 TLC분석을 통하여 D-glucose임을 알 수 있었다. 당의 결합위치는 4번 또는 9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들 두 탄소의 13C-NMR shift 를 비교한 결과 C-4는 δ134.35에서 나타나고, C-9는 δ61.93 에서 나타났다. 이 chemical shift를 문헌34)과 비교한 결과 당은 4번 위치에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사실을 문헌35)과 비교하여 화합물 5는 syringin으로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 화합물은 참오동나무(P. tomentosa)의 수피로 부터 분리, 보고된바 있다.36) Syringin의 활성으로는 세포독성,37) 수면유도,38) 신경보호39) 및 항염증40) 등이 보고되어 졌다.
결 론
오동나무 가지의 함유 성분을 밝히고 이들의 구조를 동정하여 자원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고 MeOH 추출물의 n-BuOH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5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각각 pomolic acid (1), euscaphic acid (2), arjunic acid (3), daucostero (4) 및 syringin (5)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성분은 이 식물로부터는 처음으로 분리된 것이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화합물들이 다양한 활성을 가지므로 오동나무 가지는 약용 자원화를 위한 자원으로서 사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319, 아카데미서적, 서울.
-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460, 교학사, 서울.
- Oh, J, S., Moon, H. I. and Zee, O. P. (2000)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lowers of Paulownia coreana, Kor. J. Pharmacogn. 31: 449-454.
- Si, Chuanling, 권동주, 김진규, 함연호, 배영수 (2004)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잎의 추출성분, 한국 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16-418.
- Kim, J. K., Si, C. and Bae, Y. S. (2008) Phenylpropanoid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Nat. Prod. Res. 22: 241-245. https://doi.org/10.1080/14786410701590467
- Si, Chuanling, 권동주, 김진규, 함연호, 배영수 (2005)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수피의 추출성분,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548-551.
- Kim, J. K., Si. C. and Bae, Y. S. (2007) Epimeric phenylpropanoid glycosides from inner bark of Paulownia coreana Uyeki, Holzforschung 61: 161-164.
- Si, Chuanling, 권동주, 김진규, 함연호, 배영수 (2005)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열매의 추출성분,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543-547.
- Si, C., Kim, J. K., Kwon, D. J., and Bae Y. S. (2006)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Paulownia coreana Uyeki, Mokche Konghak 34: 79-85.
- Kim, J. K., Lee, Y. S., Kim, S. H., Bae, Y. S., and Lim, S. S. (2011) Inhibition of aldose reductase by phenylethanoid glycoside isolated from the seeds of Paulownia coreana, Biol. Pharm. Bull. 34: 160-163. https://doi.org/10.1248/bpb.34.160
- Chung, I. M. Kim, E. H., Jeon, H. S. and Moon, H. I. (2010) Protective effects of isoatriplicolide tiglate from Paulownia coreana against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Nat. Prod. Commun. 5: 851-852.
- Kang, S. S. (1987) 13 C-NMR spectroscopy of amyrins, Kor. J. Pharmacogn. 18: 151-167.
- 강삼식, 손건호 (2000) 천연물성분 구조결정법, 203-265,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 Yean, M. H., Kim, J. S., Hyun, Y. J., Hyun, J. W., Bae, K. and Kang, S. S. (2012) Terpenoids and phenolics from Geum japonicum, Kor. J. Pharmacogn. 43: 107-121.
- Kuete, V., Sandjo, L. S., Seukep, J. A., Zeino, M., Mabaveng, A. T., Ngadjui, B. and Efferth, T. (2015)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Uapaca togoensis towards multifactorial drug-registnat cancer cells, Planta Med. 81: 32-38.
- Youn, S. H., Lee, J. S., Lee, M. S., Cha, E. Y., Thuong, P. T. and Chang, E. S. (2012) Anticnacer properties of pomolic acid-induce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Biol. Pharm. Bull. 35: 105-110. https://doi.org/10.1248/bpb.35.105
- Yoo, K. H., Park, J. H., Lee, D. K., Fu, Y. Y., Baek, N. I. and Chung, I. S. (2013) Pomolic acid induces apoptosis in SK-O-3 human ovarian adenocarcinoma cells through the mitochondrial-medicated intrinsic and death receptor-induced extrinsic pathways. Oncol. Lett. 5: 386-390. https://doi.org/10.3892/ol.2012.985
- Ono, M., Yasuda, S., Komatsu, H., Fujiwara, Y., Takeya, M. and Nohara, T. (2014) Triterpenoids from the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ubus alleghenisis) an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foam formation in human monocyte-derived macrophage. Nat. Prod. Res. 28: 2347-2350. https://doi.org/10.1080/14786419.2014.939087
- Fujiwara, Y., Hayashida, A., Tsurushia, K., Nagai, R., Yoshitomi, M., Daiguji, N., Sakashita, N., Takeya, M., Tsukamoto, S. and Ikeda, T. (2011) Triterpenoids isolated from Zizyphus jujuba inhibit foam cell formation in macrophages. J. Agric. Food Chem. 59: 4544-4522. https://doi.org/10.1021/jf200193r
- Begum, S., Zehra, S. Q., Siddiqui, B. S., Fayaz, S. and Ramzan, M. (2008) Pentacyclic triterpenids from the aerial parts of Lantana camara and their nematicidal activity. Chem. Biodivers. 5: 1856-1866. https://doi.org/10.1002/cbdv.200890173
- Kashiwada, Y., Wang, H. K., Nagao, T., Kitanak, S., Yasuda, I., Fujioka, T., Yamagishi, T., Cosentino, L. M., Kozuka, M., Okabe, H., Ikeshiro, Y., Hu, C. Q., Yeh, E. and Lee, K. H. (1998) Anti-AIDS agents. 30. Anti-HIV activity of olanolic acid, pomolic acid, and structurally related triterpenoids. J. Nat. Prod. 61: 1090-1095. https://doi.org/10.1021/np9800710
- Kim, J. S., Yean, M. H., Lee, S. Y., Lee, J. H. Kang, S. S.(2009) Phytochemical studies on Lonicera Caulis (1) - sterols and triterpenoids, Kor. J. Pharmacogn. 40: 319-325.
- Kim, I. T., Ryu, S., Shin, J. S., Choi, J. H., Park, H. J. and Lee, K. T. (2012) Euscaphic acid isolated from roots of Rosa rugosa inhibits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TLR4-mediated NF-κB inactiv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J. Cell Biochem. 113: 1936-1946. https://doi.org/10.1002/jcb.24062
- Aladedunye, F. S., Okorie, D. A. and Ighodaro, O. M. (200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constituents of Platostoma africanum P. Beauv. Nat. Prod. Res. 22: 1067-1073. https://doi.org/10.1080/14786410802264004
- Zhang, Q., Chang, Z. and Wang, Q. (2006) Ursane triterpenoids inhibit atherosclerosis and xanthoma in LDL receptor knockout mice. Cardiovasc. Drugs Ther. 20: 349-357. https://doi.org/10.1007/s10557-006-0509-4
- Banno, T., Akihisa, T., Tokuda, H., Yasukawa, K., Taguchi, Y., Akazawa, H., Ukiya, M., Kimura, Y., Suzuki, T. and Nishino, H. (2005)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s of the triterpene acids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Biol. Pharm. Bull. 28: 1995-1999. https://doi.org/10.1248/bpb.28.1995
- Saxena, M., Faridi, U., Mishra, R., Gupta, M. M., Darokar, M. P., Srivastava, S. K., Singh, D., Luqman, S., Khanuja, S. P. (2007) Cytotoxic agents from Terminalia arjuna, Planta Med. 73: 1486-1490. https://doi.org/10.1055/s-2007-990258
- Yang, M. H., Ali, Z., Khan, I. A. and Khan, S. I. (2014)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nstituents isolated from Terminalia chebula. Nat. Prod. Commun. 9: 965-968.
- Eldeen, I. M., Van Heerden, F. R. and Van Staden, J. (2008)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ermilignan B and arjunic acid from Terminalia sericea roots. Planta Med. 74: 411-413. https://doi.org/10.1055/s-2008-1034357
- Zhang, L. J., Cheng, J. J., Liao, C. C., Cheng, H. L., Huang, H. T., Kuo, L. M. and Kuo, Y. H. (2012) Triterpene acids from Euscaphis japonica and assessment of their cytotoxic and anti-NO activities. Planta Med. 78: 1584-1590. https://doi.org/10.1055/s-0032-1315040
- Sun, F. Y., Chen, X. P., Wang, J. H., Qin, H. L., Yang, S. R. and Du, G. H. (2008) Arjunic acid, a strong free radical scavenger from Terminalia arjuna. Am. J. Chin. Med. 36: 197-207. https://doi.org/10.1142/S0192415X08005709
- Lee, D. Y., Lee, S. J., Kwak, H. Y., Jung, L., Heo, J., Hong, S., Kim, G. W. and Baek, N. I. (2009) Sterols isolated from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inhibit the migration of cancer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9: 1328-1332.
- Park, Y. M., Jang, S. K., Kim, Y. S. and Kim, B. K. (1991) The constituents of Paulownia tomentosa Stem. Yakhak Hoeji 35: 301-307.
- Greca, M. D., Ferrara, M., Fiorentino, A., Monaco, P. and Previtera, L. (1998) Antialgal compounds from Zantedeschia aethiopica. Phytochemistry. 49: 1299-1304. https://doi.org/10.1016/S0031-9422(98)00092-2
- Park, H. J. (1996) A New aporphine-type alkaloid from the leaves of Magnolia sieboldii K. Koch. Kor. J. Pharmacogn. 27: 123-128.
- Sticher, O. and Lahloub, M. F. (1982) Phenolic glycosides of Paulownia tomentosa Bark. Planta Med. 46: 145-148. https://doi.org/10.1055/s-2007-970039
- Lall, N., Kishore, N., Binneman, B., Twilley, D., van de Benter, M., Plessis-Stoman, D. D., Boukes, G. and Hussein, A. (2015) Cytotoxicity of syringin and 4-methoxycinnamyl alcohol isolated from Foeniculum vulgare on selected human cell lines. Nat. Prod. Res. 15: 1-5. https://doi.org/10.1080/14786419.2014.999058
- Cui, Y., Zhang, Y. and Liu, G. (2015) Syringin may exert sleep-potentiating effects through the NOS/NO pathway. Fundam. Clin. Pharmacol. 29: 178-184. https://doi.org/10.1111/fcp.12095
- Yang, E. J., Kim, S. J. Ku, H. Y., Lee, D. S., Lee, J. W., Seong, Y. H. and Song, K. S. (2010) Syringin from stem bark of Fraxinus rhynchophylla protects abeta(25-35)-induced toxicity in neuronal cells. Arch. Pharm. Res. 33: 531-538. https://doi.org/10.1007/s12272-010-0406-z
- Choi, J., Shin, K. M., Park, H. J., Jung, H. J., Kim, H. J., Lee, Y. S. Rew, J. H. and Lee, K. T. (2004)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effects of synapyl alcohol and its glucoside syringin. Planta Med. 70: 1027-1032. https://doi.org/10.1055/s-2004-832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