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cus)는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약초원에서 채취하여 전문가(문영희 교수, 조선대 약학과 명예교수)의 동정과정을 거쳐 사용하였으며, 표본은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표본실에 보관하고 있다.
기기 및 시약 −융점측정기는 Fisher Scientific(Model 307N0043, canada)를 사용하였고 선광도는 AUTOPOL® automatic polarimeter(Rudolph Research Flangers, NJ07836)를 사용하였으며 IR 스펙트럼은 JASCO FT/IR-300E (JASCO Co., Japan)를 사용하였다. ESI-MS는 JMS 700 (JEOL, Japan)을 사용하였고 1H-NMR과 13C-NMR은 VARIAN Unity Inova 500 및 JEOL JNM-LA 300을 사용하였다. 분취용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의 packing material로는 Kieselgel 60(63-200 μm, Art. 7734, Merck), Kieselgel 60(40-63 μm, Art. 9385, Merck), Sephadex LH-20(Beads size 25-100 μm, sigma), MCI gel CHP20P(75-150 μm, Mitsubishi Chemical Co.)을 사용하였다. Thin layer chromatography용 plate는 precoated silica gel 60 F254 plate(layer thickness 0.25mm, 20×20 cm. Art. 5715, Merck) 와 precoated RP-18 F254 S plate(layer thickness 0.25 mm, 20×20 cm. Art. 5423, Merck)를 사용하였으며 추출 및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 용매는 1급 시약을 기타시약은 1급 또는 특급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발색시약으로는 10% H2SO4를 사용하였다.
추출 및 분리 −어저귀(A. theophrasti) 지상부 1.6 kg을 80% MeOH 로 3시간, 3회 반복 환류냉각 추출하고 여과, 감압 농축하여 43.4 g의 MeOH extract를 얻었다. MeOH extract를 증류수에 현탁하고 methylene chloride(CH2Cl2), ethyl acetate(EtOAc), n-butanol(BuOH), H2O 순으로 계통분획하여 각각 7.4 g, 1.5 g, 5.6 g, 17.8 g의 분획물을 얻었다. CH2Cl2 분획 6 g에 대해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Acetone=20:1→1:1) 를 실시하여 15개의 소분획(D-1, D-2LD-15)을 얻었다. 소분획 D-1(226 mg)에 대해 실리카젤 및 RP-18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EtOAc=100:1→1:1, 20:1, MeOH:H2O=9:1)를 반복 실시하여 각각 화합물 1(2 mg), 6(2 mg)을 얻었다. 소분획 D-2(161 mg)와 D-3(156 mg)에 대해 실리카젤 및RP-18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EtOAc=100:1→1:1, 20:1, MeOH:H2O=9:1)를 반복 실시하여 각각 화합물 2(7.9 mg), 7(1 mg)을 얻었다. 소분획 D-4(180 mg)에 대해 RP-18 및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MeOH:H2O=9:1,Hexane:EtOAc=5:1)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3(4 mg)을 얻었다. 소분획 D-5(37 mg)에 대해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EtOAc=100:1→1:1)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8(27 mg)을 얻었다. 소분획 D-6(260 mg)에 대해 실리카젤 및 RP-18, MCI gel 컬럼 크로마토그라피(Hexane:EtOAc=5:1→1:1, 20:1, MeOH:H2O=9:1)를 반복 실시하여 각각 화합물 4(3.9 mg), 5(14.5 mg)을 얻었다.
n-BuOH 분획(5.5 g)에 대해 HP-20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였다. 전개용매는 100% H2O, 20% MeOH, 40% MeOH, 60% MeOH, 80% MeOH, 100% MeOH 순으로 용출시켜6개의 소분획(B-1LB-6)을 얻었다. 소분획 B-2(598 mg)에 대해 실리카젤 및 RP-18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Cl3:MeOH=10:1, MeOH:CH3CN:H2O=1:1:3)를 반복 실시하여 화합물 9(16 mg)을 얻었다. 소분획 B-4(1170 mg)에 대해 실리카젤 및 RP-18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Cl3:MeOH=10:1, MeOH:CH3CN:H2O=1:1:3, MeOH: H2O=2:3)를 반복 실시하여 각각 화합물 10(2.4 mg), 화합물 11(16 mg)을 얻었다.
화합물 1 − Colorless needles; 1H-NMR (500 MHz, CDCl3) δ: 4.69 (1H, d, J=1.8 Hz, H-29), 4.57 (1H, d, J=1.2 Hz, H-29), 1.69 (3H, s, CH3), 1.07 (6H, s, 2×CH3), 1.03 (3H, s, CH3), 0.96 (3H, s, CH3), 0.93 (3H, s, CH3), 0.80 (3H, s, CH3); 13 (125 MHz, CDCl3) δ: 218.2 (C-3), 150.9 (C-20), 109.4 (C-29), 54.9 (C-5), 49.8 (C-9), 48.2 (C-18), 47.9 (C-19), 47.3 (C-4), 43.0 (C-17), 42.9 (C-14), 40.8 (C-8), 40.0 (C-22), 39.6 (C-1), 38.2 (C-13), 36.9 (C-10), 35.5 (C-16), 34.2 (C-7), 33.6 (C-2), 29.8 (C-21), 27.4 (C-15), 26.6 (C-23), 25.2 (C-12), 21.5 (C-11), 21.0 (C-24), 19.7 (C-6), 19.3 (C-30), 18.0 (C-28), 16.0 (C-25), 15.8 (C-26), 14.5 (C-27); EI-MS, m/z 424 [M]+.
화합물 2 − Colorless needles; 1H-NMR (500 MHz, CDCl3) δ: 4.69 (1H, brd, J=2.4 Hz, H-29b), 4.57 (1H, dd, J=1.2, 2.4 Hz, H-29a), 3.19 (1H, dd, J=5.1, 10.6 Hz, H-3), 2.38 (1H, m, H-19), 1.68 (3H, brs, CH3-30), 1.03(3H, s, CH3-26), 0.97 (3H, s, CH3-27), 0.94 (3H, s, CH3-24), 0.83 (3H, s, CH3-25), 0.79 (3H, s, CH3-23), 0.76 (3H, s, CH3-28); 13 (125 MHz, CDCl3) δ: 150.9 (C-20), 109.3 (C-29), 79.0 (C-3), 55.3 (C-5), 50.4 (C-9), 48.3 (C-19), 48.0 (C-18), 43.0 (C-17), 42.8 (C-14), 40.8 (C-8), 40.0 (C-22), 38.8 (C-4), 38.7 (C-1), 38.0 (C-13), 37.1 (C-10), 35.6 (C-16), 34.2 (C-7), 29.8 (C-21), 28.0 (C-23), 27.4 (C-2), 27.3 (C-15), 25.1 (C-12), 20.9 (C-11), 19.3 (C-30), 18.3 (C-6), 18.0 (C-28), 16.1 (C-25), 15.9 (C-26), 15.4 (C-24), 14.5 (C-27); EI-MS, m/z 426 [M]+.
화합물 3 − Colorless amorphous powder;1H-NMR (500 MHz, CDCl3) δ: 5.15 (1H, dd, J=15.0, 9.0 Hz, H-22), 5.02 (1H, dd, J=5.0, 9.0 Hz, H-23), 3.53 (1H, d, J=5.5 Hz, H-6), 3.53 (IH, m, H-3), 1.01 (3H, s, H-19), 0.67 (3H, s, H-18);13 (125 MHz, CDCl3) δ: 140.7 (C-5), 138.7 (C-22), 129.7 (C-23), 122.1 (C-6), 72.2 (C-3), 56.6 (C-14), 56.4 (C-17), 51.6 (C-24), 50.5 (C-9), 42.7 (C-4), 42.6 (C-13), 40.9 (C-20), 40.2 (C-12), 37.7 (C-1), 36.9 (C-10), 32.3 (C-7, C-8, C-25), 32.0 (C-2), 28.7 (C-16), 25.8 (C-28), 24.7 (C-15), 21.5 (C-21), 19.8 (C-11, C-27), 19.4 (C-19), 19.3 (C-26), 12.4 (C-29), 12.3 (C-18); EI-MS, m/z 412 [M]+.
화합물 4 − Colorless needles; 1H-NMR (500 MHz, CDCl3) δ: 0.68 (3H, s, CH3-18), 0.81, 0.83 (3H each, d, J=6.6 Hz, CH3-26, 27), 0.86 (3H, t, J=7.2 Hz, CH3-29), 0.92 (3H, d, J=6.6 Hz, CH3-21), 1.01 (3H, s, CH3-19), 3.52 (1H, m, H-3), 5.35 (1H, brd, J=5.1 Hz, H-6); 13CNMR (125 MHz, CDCl3) δ: 140.7 (C-5), 121.7 (C-6), 71.8 (C-3), 56.7 (C-14), 56.0 (C-17), 50.1 (C-9), 45.8 (C-24), 39.7 (C-12), 42.3 (C-4, C-13), 37.2 (C-1), 36.5 (C-10), 36.1 (C-20), 33.9 (C-22), 31.9 (C-7, C-8), 31.6 (C-2), 29.1 (C-25), 28.2 (C-16), 26.0 (C-23), 24.3 (C-15), 23.0 (C-28), 21,0 (C-11), 19.8 (C-27), 19.4 (C-19), 19.0 (C-26), 18.8 (C-21), 12.0 (C-29), 11.8 (C-18); EI-MS, m/z 414 [M]+.
화합물 5 − Colorless oil; 1H-NMR (500 MHz, CDCl3) δ: 4.82 (1H, brs, H-28), 4.74 (1H, brs, H-28), 4.72 (1H, brs, H-31), 4.67 (1H, brs, H-31), 2.54(1H, m, H-2), 2.30 (1H, m, H-2), 2.24 (1H, septet, J=6.8 Hz, H-25), 2.06 (1H, m, H-1), 1.38 (1H, m, H-1), 1.68 (3H, s, H-29), 1.03 (3H, d, J=6.8 Hz, H-26), 1.03 (3H, d, J=6.8 Hz, H-27), 0.96 (3H, s, H-18), 0.94 (3H, s, H-30), 0.90 (3H, d, J=6.5 Hz, H-21), 0.74 (1H, d, J=4.0 Hz, H-19), 0.41 (1H, d, J=4.0 Hz, H-19); 13 (125 MHz, CDCl3) δ: 28.8 (C-1), 31.3 (C-2), 180.2 (C-3), 149.4 (C-4), 45.8 (C-5), 27.7 (C-6), 25.0 (C-7), 47.7 (C-8), 21.3 (C-9), 26.9 (C-10), 27.0 (C-11), 33.0 (C-12), 45.1 (C-13), 48.9 (C-14), 35.6 (C-15), 28.1 (C-16), 52.2 (C-17), 18.0 (C-18), 30.0 (C-19), 36.1 (C-20), 18.3 (C-21), 34.9 (C-22), 31.3 (C-23), 156.9 (C-24), 33.8 (C-25), 22.0 (C-26), 21.9 (C-27), 111.5 (C-28), 19.7 (C-29), 19.3 (C-30), 105.9 (C-31); ESIMS, m/z 455 [M+H]+.
화합물 6 − Colorless oil; 1H-NMR (600 MHz, CDCl3) δ: 4.81 (1H, brs, H-28), 4.73 (1H, brs, H-28), 4.72 (1H, brs, H-31), 4.67 (1H, brs, H-31), 3.67, (3H, s, -OCH3) 2.54 (1H, m, H-2), 2.30(1H, m, H-2), 2.24 (1H, septet, J=6.8 Hz, H-25), 2.06 (1H, m, H-1), 1.38 (1H, m, H-1), 1.68 (3H, s, H-29), 1.03 (3H, d, J=6.8 Hz, H-26), 1.03 (3H, d, J=6.8Hz, H-27), 0.96 (3H, s, H-18), 0.94 (3H, s, H-30), 0.90 (3H, d, J=6.5Hz, H-21), 0.74 (1H, d, J=4.0 Hz, H-19), 0.41 (1H, d, J=4.0 Hz, H-19); 13 (150 MHz, CDCl3) δ: 174.4 (C-3), 156.9 (C-24), 149.5 (C-4), 111.5 (C-28), 105.9 (C-31), 52.2 (C-17), 51.5 (-OCH3), 48.9 (C-14), 47.7 (C-8), 45.8 (C-5), 45.1 (C-13), 36.1 (C-20), 35.6 (C-15), 34.9 (C-22), 33.8 (C-25), 33.0 (C-12), 31.4 (C-2), 31.3 (C-23), 30.0 (C-19), 29.0 (C-1), 28.1 (C-16), 27.7 (C-6), 27.0 (C-11), 26.9 (C-10), 25.0 (C-7), 22.0 (C-26), 21.9 (C-27), 21.3 (C-9), 19.7 (C-29), 19.3 (C-30), 18.3 (C-21), 18.0 (C-18); ESI-MS, m/z 469 [M+H]+.
화합물 7 − Colorless oil; 1H-NMR (600 MHz, CDCl3) δ: 6.94 (1H, s, H-5), 6.57 (1H, s, H-8), 4.50 (1H, brs, OH-7), 2.80 (1H, m, H-1), 2.53 (1H, m, H-4), 2.20 (3H, s, H-15), 2.18 (1H, m, H-11), 1.80 (1H, m, H-2b), 1.31(1H, m, H-2a), 1.78 (1H, m, H-3a), 1.57 (1H, m, H-3b), 1.23 (3H, d, J=7.2 Hz, H-14), 1.01 (3H, d, J=7.2 Hz, H-13), 0.76 (3H, d, J=7.2 Hz, H-12); 13 (150 MHz, CDCl3) δ: 151.4 (C-7), 142.1 (C-9), 132.0 (C-10), 130.6 (C-5), 120.7 (C-6), 113.6 (C-8), 42.9 (C-4), 32.6 (C-1), 31.1 (C-2), 31.1 (C-11), 23.2 (C-14), 21.4 (C-3), 21.4 (C-13), 17.5 (C-12), 15.6 (C-15); EI-MS, m/z 218 [M]+.
화합물 8 − Yellow needles; 1H-NMR (600 MHz, CDCl3) δ: 13.85 (1H, s, OH-2), 11.08 (1H, s, CHO-1), 7.80 (1H, d, J=9.0 Hz, H-4), 7.36 (1H, s, H-5), 6.94 (1H, d, J=9.0 Hz, H-3), 6.31 (1H, s, OH-8), 3.78 (3H, s, OCH3-7), 2.40 (3H, s, CH3-6); 13 (150 MHz, CDCl3) δ: 197.7 (CHO-1), 166.1 (C-2), 149.3 (C-8), 140.0 (C-7), 139.2 (C-4), 127.4 (C-5), 124.3 (C-10), 124.2 (C-6), 123.5 (C-9), 116.8 (C-3), 111.4 (C-1), 59.6 (OCH3-7), 15.8 (CH3-6); EI-MS, m/z 232 [M]+.
화합물 9 − Colorless crystals; 1H-NMR (300 MHz, CD3OD) δ: 4.33 (1H, d, J=7.6 Hz, H-1), 4.03 (1H, sept, J=6.2 Hz, H-2'), 3.85 (1H, dd, J=1.0, 2.9Hz, H-4), 3.65 (1H, d, J=6.6 Hz, 11.4 Hz, H-6a), 3.31 (1H, m, H-6b), 3.31 (1H, m, H-2), 3.30 (1H, m, H-3), 3.13 (1H, m, H-5), 1.22 (3H, d, J=6.2 Hz, H-1'), 1.18 (3H, d, J=6.2 Hz, H-3'); 13 (75 MHz, CD3OD) δ: 102.7 (C-1), 78.2 (C-5), 78.0 (C-3), 75.2 (C-2), 72.7 (C-2'), 71.8 (C-4), 62.9 (C-6), 24.0 (C-1'), 22.2 (C-3'); ESI-MS, m/z 223 [M+H]+.
화합물 10 − Colorless crystals; 1H-NMR (500 MHz, CD3OD) δ: 6.72 (2H, s, H-2', 6'), 6.65 (2H, s, H-2", 6"), 4.85 (1H, d, J=7.5 Hz, Glc H-1), 4.77 (1H, d, J=4.0 Hz, H-2), 4.72 (1H, J=4.0 Hz, H-6), 4.28 (2H, m, H-4a, 8a), 3.91 (2H, m, H-4b, 8b), 3.86, 3.84 (12H, each s, H-3', 5', 3", 5"), 3.20~3.76 (6H, m, Glc H-2~6), 3.14 (2H, m, H-1,5); 13 (125 MHz, CD3OD) δ: 154.7 (C-3', 5'), 149.49 (C-3", C-5"), 139.7 (C-4'), 136.3 (C-4"), 135.7 (C-1'), 133.2 (C-1"), 105.0 (C-2', 6'), 104.6 (C-2", 6"), 87.7 (C-2), 87.33 (C-6), 73.1 (C-4), 73.0 (C-8), 57.21 (2×OCH3-3', 5'), 56.9 (2×OCH3-3", 5"), 55.8 (C-1, 5), 105.5, 75.8, 78.0, 71.5, 78.5, 62.8 (Glc C-1~6); ESI-MS, m/z 581 [M+H]+.
화합물 11 − Yellow powder;1H-NMR (500 MHz, CD3OD) δ: 7.67 (1H, d, J=2.0 Hz, H-2'), 7.63 (1H, dd, J=8.4, 2.0 Hz, H-6'), 6.87 (1H, d, J=8.4 Hz, H-5'), 6.39 (1H, d, J=2.2 Hz, H-8), 6.20 (1H, J=2.2 Hz, H-6), 5.10 (1H, d, J=7.6 Hz, H-1"), 4.52 (1H, d, J=1.2 Hz, H-1"'), 3.25~3.81 (9H, m, H-2"~6", 2"'~5"'), 1.12 (3H, d, J=6.0 Hz, H-6"'); 13 (125 MHz, CD3OD) δ: 179.5 (C-4), 166.2 (C-7), 163.1 (C-5), 159.5 (C-9), 158.6 (C-2), 149.9 (C-4'), 135.8 (C-3), 123.7 (C-1'), 123.2 (C-6'), 117.8 (C-5'), 116.2 (C-2'), 105.7 (C-10), 104.9 (C-1"), 102.5 (C-1"'), 100.1 (C-6), 95.0 (C-8), 78.4 (C-3"), 77.3 (C-5"), 75.9 (C-2"), 74.1 (C-4"), 72.4 (C-3"'), 72.2 (C-2"'), 71.5 (C-4"'), 69.8 (C-5"'), 68.7 (C-6"), 17.9 (C-6"'); ESI-MS, m/z 611 [M+H]+.
결과 및 고찰
화합물 1은 무색의 침상결정으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0.80, 0.93, 0.96, 1.03, 1.07 1.69 에서 7개의 메틸기 피크가 나타나며 이중 저자장(δ 1.69)에서 나타나는 vinylic 메틸 피크로 isopropenyl 기의 존재를 추측할 수 있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30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어 화합물 1은 triterpenoid 계열의 lupane 계 화합물로 추정하였다. 특히 δ 19.3, 150.9, 109.4의 피크로 lupane계의 C-20, C-29에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isopropenyl 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δ 218.2에서 carbonyl 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EI-MS스펙트럼에서 분자이온이 m/z 424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4,5)와 비교하여 화합물 1은 lupenone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는 무색의 침상결정으로 1H-NMR data가 화합물 1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화합물 1과 같이 lupane계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δ 3.19에서 전형적인 H-3 axial proton(dd, J=5.1, 10.6 Hz) 피크가 관찰되어 lupeol로 추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13C-NMR 스펙트럼 δ 19.3, 150.9, 109.3, 79.0과 EI-MS data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4,6)와 비교하여 화합물 2는 lupeol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3은 백색의 분말상태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0.68, 0.81, 0.83, 0.92, 1.01에 각각 메틸기 피크가 나타났고 δ 5.35, 5.15, 5.02에서 olefinic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δ 3.51에서 hydroxy methine 피크가 multiplet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13C-NMR 스펙트럼에서 29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어 sterol 계열의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으며, 특히 δ 140.7에서 olefinic 4급carbon과 δ 122.7, 138.3, 129.3 에서 olefinic carbon 피크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EI-MS에서 분자이온이 m/z 413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7,9)와 비교하여 화합물 3은 stigmasterol로 확인 동정하였다.
화합물 4는 백색 분말상태로서 1H-NMR 스펙트럼을 보면 δ 0.85, 0.94, 0.85에 메틸기 피크가 나타났고 또한 13C-NMR스펙트럼에서 29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어 sterol 계열의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특히 δ 71.4에서 수산기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δ 121.7과 δ 140.7로부터 C-5와 C-6사이 이중결합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EI-MS에서는 분자이온이 m/z 414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4,6,7) 와 비교하여 화합물 4는 β-sitosterol7,10)로 확인 동정하였다.
화합물 5는 무색의 오일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0.41, 0.74에 propane methylene 피크가 관찰되었고 δ 0.94, 0.96에 두 개의 3급 메틸기와 δ 0.90, δ 1.03에 3개의 2급메틸기가 관찰되었고 δ 1.68에 vinylic 메틸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δ 4.74, 4.82, 4.67, 4.72에 2개의 exomethylene 기가 관찰되었다. 또 13C-NMR 스펙트럼에서 δ 180.5에 나타나는 카르복실기 피크를 제외하고 30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화합물 5는 triterpenoid 계열의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특히 δ 149.7과 111.8 및 δ 157.1과 106.1피크로부터 2개의 이중결합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ESI-MS에서는 분자이온이 m/z 455[M+H]+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1)와 비교하여 화합물 5는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oic acid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6은 무색의 오일로서 1H-NMR data가 화합물 5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5와 같이 seco-cycloartane계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δ 3.67에서 전형적인 메톡실 피크가 나타나고 이상의 결과는 13C-NMR 스펙트럼에서 δ 174.4, 51.5 피크와 HMBC스펙트럼에서 메톡실기가 C-3의 carbonyl에 가까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IMS에서는 분자이온이 m/z 469 [M+H]+에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1,12)와 비교하여 화합물 6은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methyl ester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합성품으로는 보고되었으나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화합물 7은 무색의 오일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4.50에 수산기, δ 2.20에 1개의 벤젠환에 연결된 메틸기, δ 1.23에 시클로핵산에 연결된 메틸기, δ 2.18, 1.01, 0.76 등에 이소프로필기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13C-NMR 스펙트럼에서 15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된 점으로 보아 화합물 7은 sesquiterpene 계열의 화합물임을 예상할 수 있었고, 특히 δ 151.4, 142.1, 132.0, 130.6, 120.7, 113.6에 벤젠환의 존재와 기타 carbon 피크로부터 시클로핵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EI-MS에서는 분자이온이 m/z 218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3)와 비교하여 화합물 7은 (+)-(1S,4R)-7-hydroxycalamenene으로 확인 동정하였다.
화합물 8은 무색의 오일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2.40에 메틸기, δ 3.78에 메톡실기, δ 11.05에 알데히드기의 피크가 관찰되었고 δ 6.28, 13.84에 수산기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특히 저자장된 δ 13.84에서의 수산기는 aldehydic carbonyl과 분자내 수소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위치는 알데히드기가 연결된 C-1옆의 C-2에 연결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13C-NMR 스펙트럼에서 13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었고 δ 197.7, 59.6, 15.8에 알데히드, 메톡실, 메틸기의 피크가 각각 확인되었다. EI-MS에서는 분자이온이 m/z 232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4)와 비교하여 화합물 8은 hibicuslide C로 확인 동정하였다.
화합물 9는 무색의 결정으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4.03, 1.22, 1.18에 이소프로필기의 피크 외에 글루코즈에 유래하는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9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었고 δ 24.0, 22.2에 2개의 메틸기, δ 102.7, 78.2, 78.0, 75.2, 71.8, 62.9에 글루코즈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ESI-MS에서 m/z 223 [M+H]+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5)와 비교하여 화합물 9는 isopropyl-β-D-glucopyranoside 로 확인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합성품으로는 보고되었으나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화합물 10은 무색의 결정으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6.72, 6.65, 3.86, 3.84의 피크로 화합물 내에 2개의 4-hydroxy-3,5-dimethoxybenzoyl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4-hydroxy-3,5-dimethoxybenzoyl 의 carbon 피크가 δ 154.7, 149.5, 139.7, 136.3, 135.7, 133.2, 105.0, 104.6, 57.2, 56.9에서 나타나고 또한 방향족환에 기인하는 탄소 피크 외에 δ 87.7, 87.3, 73.1, 73.0, 55.8 에 나타난 6개의 피크들로 이 화합물은 furofran 환을 가진 리그난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δ 105.5, 75.8, 78.0, 71.5, 78.5, 62.8 피크로부터 글루코즈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ESIMS에서 m/z 581 [M+H]+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6)와 비교하여 화합물 10은 syringaresinol-4'-O-β-D-glucoside로 확인 동정하였다.
화합물 11은 노란색의 분말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δ 6.39, 6.20의 피크로 flavonoid A환의 H-8 및 H-6의 피크와, δ 7.67, 7.63, 6.87에서 B환의 H-2', H-5', 및 H-6'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찰되어 비당체는 quercetin임을 추정할 수있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27개의 carbon 피크가 관찰되었고 δ 104.9, 102.5, 100.1, 95.0, 78.4, 77.3, 75.9, 74.1, 72.4, 72.2, 71.5, 69.8, 68.7, 17.9에서 rutinose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ESI-MS에서 m/z 611 [M+H]+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data를 종합하고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17,18)와 비교하여 화합물 11은 rutin으로 확인 동정하였다(Fig. 1 참조).
Fig. 1.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1-11 from A. theophrasti.
결 론
성분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국내 자생식물인 어저귀 (Abutilon theophrasti Medicus)의 지상부로부터 11종의 성분들을 단리하여 각각 lupenone(1), lupeol(2), stigmasterol (3), β-sitosterol(4),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oic acid(5),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methyl ester(6), (+)-(1S,4R)-7-hydroxycalamenene(7), hibicuslide C(8) isopropyl-β-D-glucopyranoside(9), syringaresinol-4'-O-β-D-glucoside (10), rutin(11) 등을 분리, 동정하였다. 화합물 1-11은 어저귀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고 화합물 6과 9는 합성품으로는 보고되었으나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References
-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III, p. 88.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 배기환 (2000) 원색도감. 한국의 자연시리즈 13 한국의 약용식물, p. 331. 교학사, 서울.
- 안 덕균 (1998) 한국본초도감, p 402. 교학사, 서울.
- Jung, H. S., Lee, E. J., Lee, J. H., Kim, J. S. and Kang, S. S.(2008) Phytochemical studies on Astragalus root(3)-Triterpenoids and sterols. Kor. J. Pharmacogn. 39: 186-193.
- Kim, J. S., Han, S. J., Byun, J. H., Xu, Y. N., Yoo, S. W., Kang, S. S., Son, K. H., Chang, H. W. and Kim, H. P. (2001) Minor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Nat. Prod. Sci. 7: 5-8.
- Fotie, J., Bohle, D. S., Leimanis, M. L., Georges, E., Rukunga, G. and Nkengfack, A. E. (2006) Lupeol long-chain fatty acid esters with antimalarial activity from Holarrhena floribunda. J. Nat. Prod. 69: 62-67. https://doi.org/10.1021/np050315y
- Viswanadh, G. S., Ramaiah, P. A., Laatsch, H. and Maskey, R. (2006)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heartwood and bark of Homonoia riparia. J. Trop. Med. Plants 7: 267-273.
- Akihisa, T., Matsubara, Y., Ghosh, P., Thakur, S., Shimizu, N., Tamura, T. and Matsumoto, T. (1988) The 24α- and 24-epimers of 24-ethylcholesta-5, 22-dien-3β-ol in two Clerodendrum species. Phytochemistry 27: 1169-1172. https://doi.org/10.1016/0031-9422(88)80296-6
- Matsumoto, T., Nakagawa, M. and Itoh, T. (1984) 24αmethyl-5α-cholest-7-en-3β-ol from seed oil of Helianthus annuus. Phytochemistry 23: 921-923. https://doi.org/10.1016/S0031-9422(00)85067-0
- Chang, B. S., kwon, Y. S. and Kim, C. M. (2004) The chemical structur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Kor. J. Pharmacogn. 35: 80-87.
- Kim, H. J., Lee, Q. K., Kim, T. S., Lee, H. K., Kim, Y. H., Bae, K. H. and Lee, I. S. (2001) A cytotoxic secocycloartenoid from Abies koreana. Arch. Pharm. Res. 24: 527-531. https://doi.org/10.1007/BF02975159
- Raldugin, V. A., Kukina, T. P., Yaroshenko, N. I. and Pentegova, V. A. (1987) Triterpenoids of the genus Abies. Part III. 24-methylene-3,4-seco-cycloart-4(28)-en-3-oic acid from needles of Abies sibirica. Khimiya Prirodnykh Soedinenii. 2: 306-307.
- Nabeta, K. Katayama, K. Nakagawara, S. and Katoh, K. (1993) Sesquiterpenes of cadinane type from cultured cells of the liver wort, Heteroscyphus planus. Phytochemistry 30: 117-122.
- Wu, P. L., Wu, T. S., He, C. X., Su, C. H. and Lee, K. H. (2005) Constituents from the stems of Hibiscus taiwanensis. Chem. Pharm. Bull. 53: 56-59. https://doi.org/10.1248/cpb.53.56
- Kurashima, K., Fujii, M., Ida, Y. and Akita, H. (2004) Simple synthesis of β-D-glycopyranosides using β-glycosidase from almonds. Chem. Pharm. Bull. 52: 270-275. https://doi.org/10.1248/cpb.52.270
- Vermes, B., Seligmann, O. and Wagner, H. (1991) Synthesis of biologically active tetrahydro-furofuranlignan-(syringin, pinoresinol)-mono- and bis-glucosides. Chem. Pharm. Bull. 30: 3087-3089.
- Ahn, E. M., Han, J. T., Kwon, B. M., Kim, S. H. and Baek, N. I. (2008) Anti-cancer activity of flavonoids from Aceriphyllum rossii J. Kor. Soc. Appl. Biol. Chem. 51: 309-315. https://doi.org/10.3839/jksabc.2008.054
- Beck, M. A. and Haberlein, H. (1997) Flavonol glycoside from Eschscholtzia califormica. Phytochemistry 50: 329-332. https://doi.org/10.1016/S0031-9422(98)005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