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웹마케팅의 방향과 웹광고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direction of web-marketing and web-advertising performance

  • Kang, Inw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 Trade, Kyung Hee University) ;
  • Cho, Eunsu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 Trade,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5.03.08
  • 심사 : 2015.03.25
  • 발행 : 2015.03.27

초록

이용자의 집중을 이끌기 위한 웹광고의 자극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웹광고들이 오히려 이용자의 웹활동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웹광고를 회피할수록 기업은 더욱 자극적인 광고로 이용자의 집중을 이끌고자 노력하고 있어 과연 기업이 원하는 웹광고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웹광고의 자극요소들이 웹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와 이후 웹광고 성과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웹광고의 과도한 자극이 오히려 웹광고와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부정적인 성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웹광고의 유용성 및 유희성에 의해 웹광고의 설득수준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웹사이트의 특성에 따라 인터넷신문 사이트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의 웹광고 자극과 그에 대한 성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상거래 사이트보다도 인터넷신문 사이트에서의 광고 자극이 더욱 침입성과 혼란성이 높아 웹사이트를 회피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이 기대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고 이용자의 편익도 증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웹마케팅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Web-ads often distract users' online activities. Web-ads even deter users from comprehending the website contents. As these irritated users try to avoid web-ads, advertising agencies make web-ads even more noticeable to grasp users' attention. The factors that attract users should increase web-ad performance. Howev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ose efforts irritate users and decrease web-ad performance. Also, this study shows that irritated users eventually try to avoid re-visiting the websites.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excessive web-ads on Internet news websites bring more confusion to users than on e-commerce websites. This finding supports the importance of more sustainable web activities on the Internet news websites as users expect objective and fair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s of web-ads activities for the common good and self-interests of the stakehold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