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 게임 시점의 특징과 사용 이유 분석: 왜 게임들은 1인칭 시점보다 3인칭 시점을 더 많이 사용하는가?

Analyses on Characteristics and Usage of Digital Game Viewpoint: Why do Games use Third-person Viewpoint more often than First-person Viewpoint?

  • 류예슬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이형철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김신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투고 : 2015.03.24
  • 심사 : 2015.06.30
  • 발행 : 2015.07.28

초록

게임의 시점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시점들 중 사용자들은 1인칭 시점에서 가장 높은 몰입감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게임에서는 1인칭 시점보다 3인칭 시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서 3인칭 시점이 더 선호되는 이유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알려진 세 가지 시점 (1, 3인칭, 전지적)과 카메라와 캐릭터간의 거리 (근접, 원격)의 조합으로 여섯 가지 시점을 정의하였다. 조사 대상은 최근 10년간 발매된 게임 중 높은 평점을 받은 100개의 게임이며, 각 시점을 선택한 게임의 빈도와 장르별 시점 선택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전체적으로 3인칭 시점이 1인칭 시점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장르에 따라 선호하는 시점이 달랐는데, 예를 들어 슈팅게임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게임이 1인칭 근접 시점을 사용하였다. 이 결과는 게임의 특성과 함께 시야 범위가 시점 선택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시점의 선택에서 개발자는 몰입감뿐만 아니라 게임을 이용하기 용이한 시야를 선택하기 때문에 많은 게임들에서 3인칭이 사용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e viewpoint of a digital game is a prime factor that determines user immersion, and first-person viewpoint is known to produce greatest immersion. However, most games adopt third-person viewpoint rather than first-person view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 for the preference of third-person viewpoint. First, six viewpoints were defined by combining three viewpoints (first-, third-person, omniscient viewpoints) and two distances (proximal, distal) between camera and game character. Then 100 games which received high ratings during the past 10 years were sampled, and the frequencies of viewpoint choices and genres were analyzed.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games have strong preference for third-person viewpoint. However, preferred viewpoints differed depending on genres, for example, most shooting games used first-person, proximal viewpoint. This result could have arisen because both characteristics of a game and field of view have influenced choice of viewpoint. That is, many games adopt third-person viewpoint because developers consider not only user immersion but also scene vi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인, 이현정, 박진완,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57-16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7
  2. 길태숙, 장준호,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의 인터랙티브적 관점에서 본 게임의 시점", 한국게임학회, 제8권, 제3호, pp.51-59, 2008.
  3. 김옥태, "레이싱게임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의 효과: 각성, 유인가, 동일시, 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제11권, 제6호, pp.201-212, 2011.
  4. 김진용, 이성환, 황치정, "컴퓨터 게임의 분류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제28권, 제1호 (B), pp.679-681, 2001.
  5. 신영철, 정승렬,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 몰입(Flow)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01-117, 2013.
  6. 양희경, 양혁성, 민경하, "게임의 몰입도 증가를 위해 감성 모델에 기반을 둔 시각적 콘텐츠의 감성 강화 기법",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제25권, 제2호, pp.171-176, 2012.
  7. 이설희, 성용희,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 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117-126, 2008.
  8. 이지은, 김민경, 엄지, 임찬, "콘설 게임 속 시청각 요소의 운용 방법 연구-바이오해저드4의 시청각 요소와 유저 몰입 간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HCI학회, pp.763-764, 2012.
  9. 이지희, 김규정, "플레이어 관점에서 본 게임공간의 투시법 비교",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8권, 제1호, pp.209-217, 2008.
  10. 임갑대, "디지털 3D 공간에서 1인칭 시점을 이용한 인터렉션 기법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8권, 제1호, pp.231-240, 2008.
  11. 조옥희, 유길상, 이원형, "1인칭 시점 게임의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제12권, pp.30-35, 2008.
  12. 조운정, 정일영, 조유숙, 석지혜, 한광희, "모바일 재미요소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162-1164, 2011.
  13. 탕군, 조동민, 홍정표, 조광수, "MMORPG게임 캐릭터의 몰입감과 감성이미지의 관계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제24권, 제1호, pp.77-87, 2011.
  14. 하동운, "사용자 시점에 준거한 디지털콘텐츠인식의 틀 연구", 한국게임학회, 제12권, 제11호, pp.48-51, 2009.
  15. A. Gregersen, "Genre, technology and embodied interaction: The evolution of digital game genres and motion gaming," J.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Vol.1, No.51, pp.94-109, 2011.
  16. S. Katz, Film directing Shot by Shot: visualizing from concept to screen, contents Pub, 1991.
  17. http://www.gamerankings.com/browse.html
  18. http://www.metacritic.com/browse/games/score/metascore/90day/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