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7.075

Analyses on Characteristics and Usage of Digital Game Viewpoint: Why do Games use Third-person Viewpoint more often than First-person Viewpoint?  

Ryu, YeSeul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O.Li, Hyung-Chul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Kim, ShinWoo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viewpoint of a digital game is a prime factor that determines user immersion, and first-person viewpoint is known to produce greatest immersion. However, most games adopt third-person viewpoint rather than first-person view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 for the preference of third-person viewpoint. First, six viewpoints were defined by combining three viewpoints (first-, third-person, omniscient viewpoints) and two distances (proximal, distal) between camera and game character. Then 100 games which received high ratings during the past 10 years were sampled, and the frequencies of viewpoint choices and genres were analyzed.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games have strong preference for third-person viewpoint. However, preferred viewpoints differed depending on genres, for example, most shooting games used first-person, proximal viewpoint. This result could have arisen because both characteristics of a game and field of view have influenced choice of viewpoint. That is, many games adopt third-person viewpoint because developers consider not only user immersion but also scene visibility.
Keywords
Digital Game; Point of View; Immersion; Gen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혁인, 이현정, 박진완,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57-164, 2011.   DOI
2 길태숙, 장준호, "게임 텍스트와 플레이어의 인터랙티브적 관점에서 본 게임의 시점", 한국게임학회, 제8권, 제3호, pp.51-59, 2008.
3 김옥태, "레이싱게임 입력기의 사실성과 시점의 효과: 각성, 유인가, 동일시, 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제11권, 제6호, pp.201-212, 2011.
4 김진용, 이성환, 황치정, "컴퓨터 게임의 분류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제28권, 제1호 (B), pp.679-681, 2001.
5 신영철, 정승렬,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 몰입(Flow)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101-117, 2013.
6 양희경, 양혁성, 민경하, "게임의 몰입도 증가를 위해 감성 모델에 기반을 둔 시각적 콘텐츠의 감성 강화 기법",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제25권, 제2호, pp.171-176, 2012.
7 이설희, 성용희,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 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2호, pp.117-126, 2008.
8 이지은, 김민경, 엄지, 임찬, "콘설 게임 속 시청각 요소의 운용 방법 연구-바이오해저드4의 시청각 요소와 유저 몰입 간 상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HCI학회, pp.763-764, 2012.
9 이지희, 김규정, "플레이어 관점에서 본 게임공간의 투시법 비교",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8권, 제1호, pp.209-217, 2008.
10 임갑대, "디지털 3D 공간에서 1인칭 시점을 이용한 인터렉션 기법 분석",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8권, 제1호, pp.231-240, 2008.
11 조옥희, 유길상, 이원형, "1인칭 시점 게임의 인터페이스 비교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제12권, pp.30-35, 2008.
12 조운정, 정일영, 조유숙, 석지혜, 한광희, "모바일 재미요소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162-1164, 2011.
13 탕군, 조동민, 홍정표, 조광수, "MMORPG게임 캐릭터의 몰입감과 감성이미지의 관계성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제24권, 제1호, pp.77-87, 2011.
14 하동운, "사용자 시점에 준거한 디지털콘텐츠인식의 틀 연구", 한국게임학회, 제12권, 제11호, pp.48-51, 2009.
15 A. Gregersen, "Genre, technology and embodied interaction: The evolution of digital game genres and motion gaming," J.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Vol.1, No.51, pp.94-109, 2011.
16 S. Katz, Film directing Shot by Shot: visualizing from concept to screen, contents Pub, 1991.
17 http://www.gamerankings.com/browse.html
18 http://www.metacritic.com/browse/games/score/metascore/90day/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