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 시티 서울의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Seoul-focused Network City for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 정성훈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Jung, Sung-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4.12.05
  • 심사 : 2015.01.14
  • 발행 : 2015.01.31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메가 시티 서울의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에서 볼 때, 급속한 경제 성장을 경험하고 있지만, 지역적 차원에서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심각한 지역불균등 발전을 경험하고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지역불균등 발전의 해결 방안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 형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상용화 네트워크 도시는 남북도시협력 축(통일 R&BD 지향-복합기술 R&BD 축), 메가 시티 확장 축(녹색 수출 R&BD 지향-녹색 수출 R&BD 확장 축), 중소도시 연계 축(평창 올림픽 R&BD 지향-생명기술 R&BD축), 메갈로 폴리스 축(R&D-R&BD 연계 협력 지향-기초기술 R&BD 축) 등 4가지 축으로 이루어진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ormation of the Seoul-focused network city for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compared with Seoul as a mega city. The growth of Seoul and subsequently,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s a mega city and mega region has led the uneven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since the 1960s. To reduce a huge gap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nd the non-metropolitan region, the concept of network city can be suggested in terms of the functional and spatial division of labor. More specifically, such division of labour throughout the formation of the Seoul-focused network city concentrates on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which is deeply concerned with R&B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For this network city, there are 4 axes such as the axis of South-North Korean cooperation (the axis of R&BD for complex technologies), that of the expansion of a mega city (that of R&BD for green growth technology), that of the linkag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es (that of R&BD for life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at of megalopolis (that of R&BD for basic technology) with regards to the axis of urban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specialization. It shall be argued that the formation of Seoul-focused network city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contemporary uneven reg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gion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취업통계분석자료집.
  2. 권오혁.신철지(2005). 네트워크 도시의 연계구조와 발전 전략-네덜란드의 란트스타트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4:154-174
  3. 권오혁(2009). 네트워크 도시의 이론적 검토와 동남권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3) : 277-290
  4. 권용우 외(2012). 도시의 이해 제 4판, 박영사.
  5. 김기승 외(2012). 부산지역 청년층 인재유출 현상과 정책과제, 한국은행 부산본부
  6. 류장수(2005).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노동경제논집, 28(2) : 1-27
  7. 손정렬(2011). 새로운 도시성장 모형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 - 형성과정, 공간구조, 관리 및 성장 전망에 대한 연구 동향. 대한지리학회지, 46(2) : 181-196
  8. 전재식 외(2011).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정재영(2010). 글로벌 메가시티의 지형도, LG경제연구원.
  10. 최바울.김성환(2003). 대졸자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성과 분석: 수도권 vs 지방대학, 제2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고용정보원.
  11.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
  12. 통계청, 각 년도, 주민등록인구통계.
  13. 통계청, 각 년도, 국제통계연감.
  14. 한국고용정보원(2010). 200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15.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2008). 대구경북지역의 인구감소 원인과 시사점.
  16. 한표환(1999). 도시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론적 연구-동남권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3(3) : 345-362
  17. Champion, A. G.(1991). Counter Urbanization. London:Arnold.
  18. United Nation(2012).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11 R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