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곽헌(2012). 성장기 남.여 아동의 복합운동과 운동중단이 체격, 골성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권용일 등(2006).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체력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5(6), 611-621.
- 권인창, 오재근, 신영오 등(2002). 유산소운동과 유산소 및 Circuit Weight Training 복합훈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심박 회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3), 383-391.
- 권태현(2009). 마른비만인 대학생들에 대한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교육인적자원부(2012). 청소년의 발육발달보고서.
- 김광희(2009).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의 고강도 복합운동이 초등학교 3학년 비만학생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도연, 김태영(2004). 비만 남자 중학생의 운동유형에 따른 신체구성 및 체력 변화의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2(4), 101-113.
- 김만호, 최민동(2000). 초등학교 아동의 체형에 따른 체력의 인자구조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8(2), 59-67.
- 김선화(2009).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중학생의 신체 구성, 혈중지질, leptin및 adiponectin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준석(2007). 체육수업시 복합트레이닝이 남자 중학생의 기초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현민(2013).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건강 체력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현준 등(2007). 건강교육과 자발적 운동참여 프로그램이 비만 및 과체중아동의 신체조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6(3), 130-137.
- 나재철, 서해근(2001). 런닝과 근저항 복합운동이 20대 비만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1), 440-447.
- 박미령(2013). 12주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및 레지스틴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민식(2003).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아동의 신체구성, 혈액 성분 및 기초 체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석민, 김철형(2012).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과체중 및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J Life Sci, 22(9), 1231-1236. https://doi.org/10.5352/JLS.2012.22.9.1231
- 양정옥, 김영수, 박상묵(2005). 복합운동이 대학생들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3(1), 1-9.
- 양춘호(2011). 비만 대학생의 복합운동실시가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3(2), 63-75.
- 이성재(2007). 유.무산소 복합 운동이 비만중학생들의 신체구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경철(2010).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성장기 남.녀학생의 신체조성,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조경환(2010). 복합운동이 남자 청소년의 신체조성과 체력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규호(2012). 써키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과체중 청소년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형규(2005). 복합운동이 성장기 여학생의 비만지표, 근력, 유연성 및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통계청(2012). 2011년 청소년의 여가생활.
- 통계청(2014). 2013년 초.중.고등학생의 신체성분.
- 하진구(2013). 복합 운동이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혜진(2010). 우리나라 성인 여성들의 체중조절약물의 복용 사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황현선(1995). 유산소운동과 복합트레이닝이 비만여중생의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Conroy BP, Kraemer WJ, Maresh CM et al(1993). Bone mineral density in elite junior olympic weightlifters. Med Sci Sports Exerc, 25(10), 1103-1109.
- Gudat U, Bungert S, Kemmer F et al(1998). The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and glibenclam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s mellitus. Diabet Med, 15(3), 194-198. https://doi.org/10.1002/(SICI)1096-9136(199803)15:3<194::AID-DIA546>3.0.CO;2-2
- Martin D, Notelovitz M(1993). Effects of aerobic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of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8(8), 931-936. https://doi.org/10.1002/jbmr.5650080805
- Reinehr T, Andler W, Denzer C et al(2005).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verweight German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ion to gender, age and degree of overweight. Nutr Metab Cardiovasc Dis, 15(3), 181-187. https://doi.org/10.1016/j.numecd.2004.06.003
- Wabitsch M, Hauner H, Hertrampf M et al(2004).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regulation in Caucasi 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living in German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2), 307-313. https://doi.org/10.1038/sj.ijo.0802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