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기숙형 중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of Dormitory-type Middle School Students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보람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은선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유승주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연화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지은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한동국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Lee, Hyojeong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Lee, Boram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Lee, Eunsun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Yu, seungju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Lee, Yeonhwa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Lee, Jieun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 Han, Dongguk (Dept. of Physcial Therap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투고 : 2015.05.18
  • 심사 : 2015.06.17
  • 발행 : 2015.06.30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of the dormitory-type middle school students by implementing the complexed exercise program. Metho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dormitory-typ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divided into 2 grade experimental group(N=46), 3 grade control group(N=49). Group-specific arbitration method, was applied to complexed exercise program (experimental group) and running group (control group). Each training courses 30 minutes 5times weekly, examined th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to examine a total of 6-week course effectively. Result: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hange of Height, Muscle mass, Fat mass, Lean body mass and BMI.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p<.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ight, Weight, Muscle mass, Fat mass, and BMI of control group wasn't significant(p>.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p<.05) between groups on Height, Muscle mass, Fat mass and Lean body mass post-test measure. Conclusion: Looking in total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complexed exercise program 6 weeks improves body composition of the dormitory-typ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application of complexed exercise program is to effective in improvement of body composition of the dormitory-type middle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헌(2012). 성장기 남.여 아동의 복합운동과 운동중단이 체격, 골성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권용일 등(2006).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체력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5(6), 611-621.
  3. 권인창, 오재근, 신영오 등(2002). 유산소운동과 유산소 및 Circuit Weight Training 복합훈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Leptin 및 심박 회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3), 383-391.
  4. 권태현(2009). 마른비만인 대학생들에 대한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교육인적자원부(2012). 청소년의 발육발달보고서.
  6. 김광희(2009). 8주간의 걷기와 줄넘기의 고강도 복합운동이 초등학교 3학년 비만학생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도연, 김태영(2004). 비만 남자 중학생의 운동유형에 따른 신체구성 및 체력 변화의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2(4), 101-113.
  8. 김만호, 최민동(2000). 초등학교 아동의 체형에 따른 체력의 인자구조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8(2), 59-67.
  9. 김선화(2009).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중학생의 신체 구성, 혈중지질, leptin및 adiponectin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준석(2007). 체육수업시 복합트레이닝이 남자 중학생의 기초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현민(2013).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건강 체력 및 혈관 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김현준 등(2007). 건강교육과 자발적 운동참여 프로그램이 비만 및 과체중아동의 신체조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6(3), 130-137.
  13. 나재철, 서해근(2001). 런닝과 근저항 복합운동이 20대 비만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1), 440-447.
  14. 박미령(2013). 12주 복합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및 레지스틴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신민식(2003).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아동의 신체구성, 혈액 성분 및 기초 체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신석민, 김철형(2012).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과체중 및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J Life Sci, 22(9), 1231-1236. https://doi.org/10.5352/JLS.2012.22.9.1231
  17. 양정옥, 김영수, 박상묵(2005). 복합운동이 대학생들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3(1), 1-9.
  18. 양춘호(2011). 비만 대학생의 복합운동실시가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3(2), 63-75.
  19. 이성재(2007). 유.무산소 복합 운동이 비만중학생들의 신체구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장경철(2010).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성장기 남.녀학생의 신체조성,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조경환(2010). 복합운동이 남자 청소년의 신체조성과 체력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최규호(2012). 써키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과체중 청소년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최형규(2005). 복합운동이 성장기 여학생의 비만지표, 근력, 유연성 및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통계청(2012). 2011년 청소년의 여가생활.
  25. 통계청(2014). 2013년 초.중.고등학생의 신체성분.
  26. 하진구(2013). 복합 운동이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홍혜진(2010). 우리나라 성인 여성들의 체중조절약물의 복용 사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황현선(1995). 유산소운동과 복합트레이닝이 비만여중생의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Conroy BP, Kraemer WJ, Maresh CM et al(1993). Bone mineral density in elite junior olympic weightlifters. Med Sci Sports Exerc, 25(10), 1103-1109.
  30. Gudat U, Bungert S, Kemmer F et al(1998). The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exercise and glibenclamid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s mellitus. Diabet Med, 15(3), 194-198. https://doi.org/10.1002/(SICI)1096-9136(199803)15:3<194::AID-DIA546>3.0.CO;2-2
  31. Martin D, Notelovitz M(1993). Effects of aerobic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of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8(8), 931-936. https://doi.org/10.1002/jbmr.5650080805
  32. Reinehr T, Andler W, Denzer C et al(2005).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verweight German children and adolescents: relation to gender, age and degree of overweight. Nutr Metab Cardiovasc Dis, 15(3), 181-187. https://doi.org/10.1016/j.numecd.2004.06.003
  33. Wabitsch M, Hauner H, Hertrampf M et al(2004). Type II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regulation in Caucasi 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besity living in German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2), 307-313. https://doi.org/10.1038/sj.ijo.0802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