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경연(2010). 아파트 욕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치수 및 가구배치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구민숙(2005).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의 욕실환경 및 제품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권오정, 최재순, 하해화(2001). 지체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주택개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19-28.
- 김경미, 장문영, 김진미 등(2006). 노인의 가정내 공간사용에 관한 인식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1), 35-48.
- 김규식(2011).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사례 및 국내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공학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한솔(2011). 가정환경 수정이 농촌 노인들의 작업 수행도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제모(2014). 편마비 환자의 일반 접이식 수동 휠체어 사용상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보건복지부(2011). 장애인 실태조사.
- 송창호, 이규창, 유재호 등(2010). 뇌졸중환자의 낙상 예방을 위한 체중부하 비대칭과 자세 동요와의 관련성. 대한물리의학회지, 5(1), 81-88.
- 신경주, 장상옥(2001). 유니버설 디자인 욕실로의 개조. 한국생활과학연구, 19, 53-69.
- 안성준(2004). 후천적장애인의 주거개조 방향에 관한 연구: 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오은영(2010). 뇌졸중 편마비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보조 도구 적용: 사례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1), 1-6.
- 오찬옥(2001). 공동주택 거주 지체장애인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주거환경특성요인 : 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7(2), 29-36.
- 이광수(2009). 노인가구의 주생활 행위 및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소영(2012).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지, 23(5), 9-18.
- 이춘엽, 송지원(2007). 장애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욕실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 뇌졸중 이후의 편마비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6(3), 76-84.
- 이호숭, 김미영(2010).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감성과학회지, 13(2), 347-358.
- 임경민, 이유나(2013).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들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콘텐츠학회지, 13(8), 324-333.
- 최선애(2004).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향일(2002). 이동성 장애인의 주택 사용실태와 개조요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국소비자원(2009). 가정 내 욕실/화장실 미끄러짐 사고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 타일 안전실태 조사. 서울: 한국소비자원.
- 한국장애인개발원(2010).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의 거주 후 평가 및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 홍소영, 장문영, 김경미(2013).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 참여분석: PEO모델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1). 95-104.
-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1997). Enabling occupation :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Ottawa, Ontario, Canada : CAOT publications.
- Cumming RG, Thomas M, Szonyi G et al(2001). Adher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 recommendations for home modifications for falls prevention. Am J Occup Ther, 55, 641-648. https://doi.org/10.5014/ajot.55.6.641
- Law M, Steinwender S, Leclair L(1998). Occupational health and well-being. Canad J Occup Ther, 65, 81-91. https://doi.org/10.1177/000841749806500204
- Mann WC, Ottenbacher KJ, Fraas L et al(1999).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s in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reducing home care costs for the frail elderl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Fam Med, 8(3), 210-217. https://doi.org/10.1001/archfami.8.3.210
- Mercier L, Audet T, Hebert R et al(2001).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32(11), 2602-2608. https://doi.org/10.1161/hs1101.098154
- Peurala SH, Kononen P, Pitkanen K et al(2007).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5(2), 101-108.
- Sims NR, Muyderman H(2010).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and cell death in stroke. Biochim Biophys Acta, 1802(1), 80-91. https://doi.org/10.1016/j.bbadis.2009.09.003
- Tzeng HM(2010). Understanding the Prevalence of inpatient falls associated with toileting in adult acute care settings. J Nurs Care Qual, 25(1), 22-30.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1afa321
- Tzeng HM(2011). A Feasibility study of providing folding commode chairs in patient bathroom to reduce toilet-related falls in an adult acute medical-surgical unit. J Nurs Care Qual, 26(1), 61-68.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1d94f4d
- Wahl HW, Fange A, Oswald F et al(2009). The home environment and disability-related outcomes in aging individuals: what is the empirical evidence?. The Gerontologist, 49(3), 355-367. https://doi.org/10.1093/geront/gnp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