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n Generating Random Number in Monte Carlo Simulation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난수 생성에 관한 교사들의 이해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5.09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understanding on generating random number in Monte Carlo simulation an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school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70% of the teachers selected wrong ideas from three types for random-number as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a probability problem and also they make some errors to justify their opinion. The first kind of the errors was that the probability of a point or boundary was equal to the value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the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second kind of the errors was that the teachers failed to recognize that the sample space has been changed by conditional probability. The third kind of the errors was that when two random variables X, Y are independence of each other, then only,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 is satisfied $P(X=x,\;Y=y)=p(X=x){\times}P(Y=y{\mid}X=x)$.

본 연구는 35명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난수 생성 아이디어에 관한 이해를 분석하여 학교현장에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 결과, 실험 대상의 70%가 확률 문제 해결을 위해 제시된 세 가지 유형의 난수 생성 아이디어에서 적절한 아이디어를 선택하지 못했고, 자신의 선택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나타냈다. 오류 유형으로는 첫째, 연속확률분포에서 한 점 또는 경계가 선택될 확률은 확률밀도함수에 대입한 값과 같다. 둘째, 교사B의 아이디어는 조건부확률로 문제를 변형하여 표본공간을 확장한 것임에도 처음 제시된 표본공간으로만 문제를 해석하려는 오류를 나타냈다. 셋째, 두 확률변수 X, Y가 독립일 때에만 $P(X=x,\;Y=y)=p(X=x){\times}P(Y=y{\mid}X=x)$이 성립한다는 오류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 [별책 8]). 서울: 우신기획.
  2.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3. 김상길(1999).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Interactive probability)을 이용한 확률 및 기댓값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원경(2011). 교사를 위한 확률과 통계학. 서울: 교우사.
  5. 김원경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비상교육.
  6. 신동선, 류희찬(2002). 수학교육과 컴퓨터. 서울: 경문사.
  7. 신보미, 이경화(2006).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통계적 확률 지도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6(2), 139-156.
  8. 신보미, 이경화(2008).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확률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학연구, 18(1), 25-50.
  9. 신항균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지학사.
  10. 양성민(1998). 시뮬레이션 기초. 서울: 경성대학교 출판부.
  11. 양은순(2008). 중등수학 확률영역에서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우정호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두산동아(주).
  13. 이강섭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미래엔.
  14. 이윤석(2012).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도로에서 차량 당 $CO_2$ 배출량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준열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천재교육.
  16. 정상권 외(2014).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주)금성출판사.
  17. 조차미, 박종률, 강순자(2008). Bertrand's paradox의 분석을 통한 기하학적 확률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0(2), 181-197.
  18. Anderson, H. L. (1986). Metropolis, Monte Carlo, and the Maniac. Los Alamos Science, 14, 96-108.
  19. Chance, B., delMas, R., & Garfield, J. (2004). Reasoning about sampling distributions. In Ben-Zvi, D. & Garfield, J. (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s literacy, 295-323. the Netherlands, BV: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Hellekalek, P. (1998). Good random number generators are (not so) easy to find. Mathematics and computers in simulation, 46, 485-505. https://doi.org/10.1016/S0378-4754(98)00078-0
  21. Hogg, R. V. & Craig, A. T. (2002). 수리통계학 개론(이재창, 이용구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1995년 출판)
  22. Metropolis, N. (1987). The beginning of the Monte Carlo method. Los Alamos Science (1987 Special Issue dedicated to Stanislaw Ulam), 125-130.
  23. NCTM(2000).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4. Park, S. K. & Miller, K. W. (1988). Random number generators : good ones are hard to find. Communications of the ACM, 31(10), 1192-1201. https://doi.org/10.1145/63039.63042
  25. Shaughnessy, J. M. (1993). Probability and statistics. Mathematics teacher, 86(3), 244-248.
  26. Shaughnessy, J. M. (1997). Missed opportunities in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ata and chance. In Biddulph, F., & Carr, K. (Eds.), Proceedings of the Twentie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 6-22.
  27. Rotorua, NZ: University of Waikato. Tarantola, A. (2005). Inverse problem theory and methods for model parameter estimation. Philadelphia, PA: SIAM.
  28. Travers, K. J. & Gray, K. G. (1981). The Monte Carlo method: A fresh approach to teaching probabilistic concepts. Mathematics teacher, 74(5), 327-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