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thos of Uprising and the Community Searching for the Heart of May 18th in Gwangju

항쟁의 에토스와 공동체 1980년 5월 광주의 마음을 찾아서

  • 박경섭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인류학과)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5.26
  • Published : 2015.06.15

Abstract

In South Korea,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s and so-called 'community businesses' are recently regarded as one of the popular issues for the local people and social activists. The project seems to be a miracle resolution for various social matters such as the deteriorating welfare, health care, security system and the worsening income problem, etc. But these promising so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which encourage to build communities are not only constructing 'good governance' for the sound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but also allowing government technologies to manage and regulate civil society and citizens. This irony of building community is not yet thoroughly considere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sk 'Is building community good for all of people?'; 'How does community guarantee the freedom of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reflection for community in South Korean Society has related to The May 18-community in Gwangju. The May 18-community is a keystone for understanding the ethos and pathos of community. This study tries to unravel the relation between the May Uprising and the idea of community throughout affects and hearts of participants. The lived experience and testimony of the people of Gwangju in May, 1980, reveals that community should not be in an order and an notion of security. Examining hearts of members of 'whatever community' in the May Uprising is essential to imagine a new form of community which incorporates liberation and freedom as its base.

근래에 한국에서는 마을 만들기와 공동체 사업이 지역과 마을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사업과 프로젝트로 건축되거나 조성될 공동체는 사회의 불평등, 복지, 건강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묘약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공동체 담론과 실천들은 국가의 역할과 기능을 사회가 나누어 짊어지는 선한 거버넌스(good governance)이면서 권력이 사회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신자유주의적 통치 테크놀로지이기도 하다. 공동체의 역설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성찰은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는 1980년 5월 광주의 어떤 공동체(whatever community)에 대한 이해와 무관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공동체의 몸과 마음을 드러내는 광주민중항쟁과 관련된 사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광주민중항쟁의 에토스를 살펴보고 공동체를 다시 문제화하고자 한다. 공동체에 대한 기획과 실천에서 중요한 요소인 주민과 시민의 자발성과 참여, 나눔과 소통은 공동체 구성과 연관된 마음과 몸의 문제이기도 하다. 최근 공동체에 대한 논의에서 누락되어 있는 해방과 자유의 문제 또한 5월 광주의 어떤 공동체가 던지는 질문 중 하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