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goals of this study are understanding the state of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 who are about to graduate and have to consider their health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o the way of access and achieving health information and suggesting effective way to improve health behavior. 224 people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at some universities in Kyungpook area are selected as a subject of fin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of internet searching was more meaningful than the analysis result of TV programs or books regarding health. And the older grade(B=.103, p=.007), the more access to health information(B=.137, p=.008) and the higher score of existing health behavior(B=.431, p=.000) the score of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was increased. Internet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is the most popular thing because information can be easily get after searching what you want immediately. TV program regarding health has better quality than th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health professionals giving health information on TV but it is difficult to watch TV program whenever you want. However the separation between books, TV program and internet is obscured in that the books and TV program can be turned into replay and e-book on internet.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건강관리를 하는데 있어 건강정보를 어떻게 접근하여 획득하느냐에 따라서 건강행태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고 건강행태 개선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경북의 일개 대학의 224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과 건강 관련 서적보다 인터넷 검색에 대한 분석결과가 유의미하였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B=.103(p=.007), 건강정보 접근빈도가 많아질수록 B=.137(p=.008), 기존의 건강행태 점수가 높을수록 B=.431(p=.000)만큼 건강행태 개선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터넷이 건강정보 검색에 있어 가장 인기가 있었는데 원하는 정보를 즉시 탐색하여 비교적 금방 얻어낼 수 있는 점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은 건강전문가 등이 출현하여 건강정보를 알려주므로 질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보다 우수하나 맞춤식으로 방송을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으나 건강 관련 서적과 방송은 인터넷에서 다시보기 및 e-book으로 전환되는 점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와 구분이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