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rvey on the Brand Space with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the Premium Supermarket in Seoul -

브랜드공간에 대한 사용자 감성평가조사 - 서울시내 프리미엄 식품관을 중심으로 -

  • 안세윤 (한밭대학교 공업디자인과)
  • Received : 2015.02.26
  • Accepted : 2015.04.08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Brand space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urban cultural space and can stimulate the urban culture as a significant landmark.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factors for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with users in brand spaces. In particular, factor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emotional aspects of users is essential.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evaluation factors with a space marketing perspective through an user behavioral analysis. As for research method, the emotional responses of users will be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an eye-tracking device. First, The researcher will visit brand spaces and take photos of them to collect data and analyze the status. Second, we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based on analytical framework and selected 20 architectural students for survey. Third, Eye-tracking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Forth, Space design marketing evaluation factors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Fin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hen the 30 images of premium supermarkets were used for the survey, men were more sensitive to the store design. But women were more sensitive to the quality or store accessibility. Also, the furniture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women, and spatial factor was most important for men. When the eye-tracking experiment was done as to the 5 selected brand spaces, both men and women looked at the furniture factor that includes the showcases more than anything else. It shows the same result as the previous survey.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용, 브랜드아이덴티티 전략으로서의 실내디자인 특성에 관한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6
  2. 윤정은, 문화예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스케이핑과 기업브랜드 관계연구, 경희대 석사논문, 2015
  3. 김태성,김판진, 종합슈퍼마켓의 소비자들의 구매경향별 POP광고 반응에 간한연구, 유통과학연구, 제8권, 2010.2
  4. 박혜경,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지하철 공공환경시설물의 시지각 주목성 평가연구, 디자인학연구, 제87호, 2010.2
  5. 여미, 주시빈도를 적용한 파사드디자인 연구: 아이트래킹 실험을 중심으로, 경성대 석사논문, 2013
  6. 최주영, 실내공간이미지평가를 위한 주시방법 및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 박사논문, 2013
  7. 서형수, 성별에 따른 카페 인테리어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감성공학적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2006.2
  8. 하지철, 마케팅조사 실무노트1, 초판, 이담북스, 서울, 2010
  9. 나윤성,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한 박물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여부에 따른 박물관 관람 경험 비교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2
  10. 최윤영, 색채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배색교육에 관한 연구 : 색채의 감성반응을 중심으로, 국민대 석사논문, 2009
  11. 김아린, 프리미엄 슈퍼마켓 부유층 소비자의 추구가치 분석, 연세대 석사논문, 2011
  12. 김희영,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온라인 배너광고의 시각적 효과 분석, 서울산업대 석사논문, 2010
  13. 이선혜, 상품주목도를 높이기 위한 색채공감각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14
  14. 최형욱, 체험요소를 기반한 브랜드 스케이핑에 관한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3
  15. 김종하, 공간정보의 탐색과정에서 나타난 시각정보획득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2014.4
  16. Eye tracking analysis, Brain & Research Innovation, 2009
  17. ww.smivision.com
  18. 백화점 오너들이 승부던진 프리미엄 식품관, 성적은, 아시아경제, 2012,12,18
  19. 장희나,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분석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1권 20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