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ographical Context of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 : A biography-reconstructive analysis on experiences in Miryang struggle against 765kV transmission tower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765kV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 김영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
  •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5.03.15
  • Accepted : 2015.04.13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biographies of women participants in Miryang struggle against 765㎸ transmission tower and finds that the experience of state violence under the ideological conflicts works the biographical context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movement. The cases analyzed in this article disclose the family member's experience of state violence and their trauma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 And they legitimize their family member's life, heal their trauma, and live a new life by the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But the power of healing trauma comes from solidarity and support in social movement. Findings of this article imply that experiences of state violence ha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social movements and we need more solidarity and democracy for healing the trauma occurred by state violence and concealed in individual memory. Findings of this article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biography documents. Biography documents can contribute to widen and to deepen understandings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history, because they are the document about people's experience who are excluded from the official history and character culture. Moreover biography documents can compensate the official documents, because they can offer the context to the social actions in the official documents. More accumulations and analyses on biographies can serve to widen and to deepen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Korean society having multilayered exclusion in the process of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an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이 연구는 밀양송전탑반대투쟁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를 분석해, 분단으로 인한 이념 대립 속에서 일어난 국가폭력의 체험이 환경운동 참여의 생애사적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사례자들은 사회운동 참여를 통해 가족이 경험한 국가폭력과 그것으로 인한 자신의 트라우마를 드러냄으로써 가족의 삶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자신의 상처를 치유해 새로운 삶으로 나아간다. 강요된 침묵을 깨고 상처를 드러내 치유하는 힘은 사회운동 속에서 발견한 연대의 힘이다. 이 연구에서의 이러한 발견은 한국의 다양한 사회운동의 형성과 전개에 국가폭력의 체험이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여전히 많은 사회성원들의 기억속에 은폐되고 억압되어 있을, 국가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더 많은 민주주의와 연대의 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는 구술생애사 기록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구술생애사 기록은 공식 역사에서 배제된 사람들과 문자문화에 편입될 수 없었던 사람들의 행위와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그 사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공적 기록만으로 역사적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다양한 주체들의 기록을 모으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 중요하다. 공적 기록은 사건의 진실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기도 하지만 대립이 있었던 사건의 경우 남겨진 기록만으로는 균형 잡힌 이해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생산한 밀양 송전탑 반대투쟁참여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는 지역의 역사와 사회적 행위에 대해 풍부하고 균형 있는 맥락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Cited by

  1. 라오스 재생가능에너지 지원활동 컬렉션의 의미와 가치 연구 vol.51,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1.045
  2.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3.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4. 기록되기 전엔 알 수 없는 것들 vol.67,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21.68.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