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Material and Production Technique of Scroll Painting Ring in Joseon

조선시대 족자 장황에 사용된 고리의 재료 및 제작기법 연구

  • Jang, Yeonhe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n, Eun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Kwon, Yoonmi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Kim, Sooye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장연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권윤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김수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15.07.30
  • Accepted : 2015.09.11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Ring in the scroll painting is one of the mounting elements which are fixed string and tassel to hang, these differ widely in shape and produce a variety of metals. Most traditional shapes of ring have been lost, because of remount, there are used Japanese style rings in present.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o shape, production technique and analyze component traditional style rings of 19 traditional scroll painting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restoration of original style. Ring has been recorded official names; Wonhwan(Ring), Gukhwadong(Chrysanthemum shaped ornaments), Baemok(Ring-shaped nail) in Uigwe. Result of an optical microscope (Leica, M205A), Wonhwan has two type of production technique; one is cutting and bending a metal rod and other is cast. Baemok is made to forging process after metal rod or plate by casting alloy. Baemok decoration is metal plate cutting shape, and then decorates it with pattern by using kicking line engraving, chasing and so on. Component analysis result from portable X-ray fluorescence found various metals, such as, brass, iron silver-cooper. Brass based on copper and zinc used rings of 17 scroll painting. Baemok of Yun Sidal portrait is used iron and plated with a tin-lead alloy. Yi Seogu portrait is silver-cooper alloy in whole ring.

족자 고리는 끈이나 유소를 고정시켜 걸 수 있도록 하는 장황 부속품으로 형태가 다양하며 여러 금속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현재 전통 형식의 고리는 대부분 개장으로 인해 유실되었으며, 일본식 고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전통 족자 19점을 대상으로 고리의 형태와 제작기법, 성분을 조사하여 옛 형태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의궤 내용에서 고리는 원환(圓環), 국화동(菊花童), 배목(排目) 등 고유의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다. 휴대용 엑스선 형광분석기(portable X-ray fluorescence, Artax, Rontec)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통 형식의 고리는 황동, 철, 은-구리합금 등 다양한 금속재로 확인되었다. 구리와 아연이 주성분인 황동은 17점 족자 고리에 사용되었다. 전 윤시달 초상(신2339)의 배목에서는 철을 사용하였으며, 주석-납 합금으로 도금하였다. 이서구 초상(신1065)에서는 고리 전체가 은-구리합금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광학현미경(Leica, M205A)으로 제작 방법을 조사한 결과 원환은 금속봉을 절단한 뒤 둥글게 휘어 만든 유형과 주조로 제작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배목은 주조한 합금으로 봉재나 판재를 만들고 다시 단조과정을 거쳐 제작하였고, 배목장식은 금속판재를 잘라 형태를 만든 후 축조와 타출기법 등으로 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동양 장황에 사용된 축목과 축두에 관한 연구 vol.19, pp.None, 2015,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19.0053
  2. 조선시대 공신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1기) 고찰 vol.53, pp.2, 2015,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