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 스포츠의 경험 장벽이 모험스포츠 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 - 감각추구성향과 반항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xperiential Barriers on Absorbing Experience in Adventure Spor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rousal Seeking and Reactance Tendency -

  •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 캠퍼스 경영경제학부)
  • Jeong, Yun-He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5.08.05
  • 심사 : 2015.09.23
  • 발행 : 2015.09.30

초록

모험스포츠 산업은 점점 더 성장하고 있으며 이론적 관심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김영재 2001; 한상덕 2004; Clifford and Clifford 1967; Rohnke 1989). 모험스포츠는 극복스포츠라고도 불릴만큼(McIntosh 1963), 장벽과 밀접하게 관련되지만, 기존 연구는 주로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성향(김영재 2001; 박동규 2008)이나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김건철 1999; 문태영, 박승환 2003; 이상덕, 전민주 2004)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연구의 결핍을 보완하고자 모험스포츠의 장벽-장비상의 장벽, 시간상의 장벽, 장소상의 장벽, 지식 기술상의 장벽-이 몰입경험에 주는 영향과 감각추구성향과 반항성향의 조절영향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들을 검증하기 위해 모험스포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171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장비상의 장벽을 제외한 시간상의 장벽, 장소상의 장벽, 지식 기술상의 장벽이 몰입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각추구성향은 시간상의 장벽과 장소상의 장벽의 영향을 조절하며, 반항성향은 지식 기술상의 장벽이 몰입경험에 주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험스포츠에 있어 장벽의 중요한 역할과 성향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기존 연구의 결핍을 보완하고, 장벽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This study defined the types of barrier and conducted the impact of barrier in adventurous sports. There are many research on adventurous sports, but these researches have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se studies have overlooked important role of barrier in adventurous sports. Also, previous studies on barriers haven't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on barriers. So, this study attempts to complement the lack of existing research and this purpose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show the positive impacts of barriers on absorbing experience that had been overlook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Second, it is to propos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arousal seeking, reactance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rriers and absorbing experience. Survey research is employed to test these hypotheses. Previous researches, such as marketing, adventure sports, hedonic research, have been referenced to measure constructs. We collected data involving various adventure sports, and used 171 respondents to analyze these data using moderating regression. In the final section, we discussed several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manageri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potential to advance understanding adventure sports and implying an enhanced ability to satisfy target consumers of i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