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연의 <산중잡곡> 연구 - 지수정 경영과 관련하여 -

Study on Sanjungjapgok(山中雜曲) written by Kim Deuk-yeon(金得硏)

  • 남동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투고 : 2015.07.09
  • 심사 : 2015.07.14
  • 발행 : 2015.07.31

초록

김득연은 조선 중기를 살다간 인물로 관직에 나아갈 능력은 있었지만, 선조의 유지를 좇아 평생을 처사의 몸으로 살아간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건립한 누정인지수정에서 많은 창작활동을 했는데, 시조 <산중잡곡>은 그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그가 경영한 지수정과 상당한 연관이 있다고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산중잡곡>을 김득연의 지수정 경영 목적과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선 중기는 고위관료의 전유물이었던 누정이 처사층까지 확대된 시기로, 김득연 역시 누정 경영에 대한 열망이 컸던 듯하다. 이에 30년 가까이 준비하여 60이 넘은 나이에 어렵게 지수정을 건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지수정에 대한 애착이 상당하여 그의 만년 생활 대부분이 이곳에서 이루어진 듯하다. <산중잡곡>은 49수(혹은 53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 <지수정가>를 지은 후 남은 뜻이 있어 창작한 작품이다. 동일한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연시조로 보기에는 그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혀 무관한 작품은 아니며, 연시조를 선호하는 그의 성향으로 보아 2~6수로 구성된 연시조 14편이 이어진 연작시조로 보았다. 이를 다시 긴밀성 있는 것들로 묶어보니 '산수자연의 감상', '학문수양과 강학', '시회와 계회', '유식과 자락'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16~17세기 사설누정의 일반적인 기능과 거의 일치하는 이 4가지의 유형을 통해 작품을 분석한 결과, 김득연은 가사 <지수정가>에는 소략하게 서술했거나 싣지 못했던 내용들을 위주로 창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김득연이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과 누정을 경영하면서 만년을 보내고 있다는 점에 상당한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Deuk-yeon(金得硏), who lived at the age of Chosun Dynasty, was the person who kept the parents's will of not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s even though he had the ability of serving those positions. He made his composition at the Jisujeong(止水亭), a kind of pavilion which he had built, and the Sijo(時調) Sanjungjapgok(山中雜曲) is one of those compositions. This sugggestes that Sanjungjapgok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Jisujeong(止水亭) which he opreated on his ow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anjungjapgok based on his goal of operating the Jisujeong.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was the era when the pavilion had been prevail even to the average aristocrats who stayed just in local area. Kim Deuk-yeon seems to have had a great endeavor of operating his own pavilion; he had prepared to build Jisujeong for about 30 years. This resulted in his affection of the Jisujeong, which caused him to spend the last part of his life there. Sanjungjapgok consists of 49 pieces of peom and seems to have been written after compositing Jisujeongga(止水亭歌). Even though it has the same title, it doesn't have lots of relations for us to regard this as a Yeonsijo(聯詩調). But this also has the properties of Yeonsijo, whoch contatins 14 Yeonjaksijo(聯作時調) composed of Yeonsijo which has 2 to six lines. The subject of the Sanjungjapgok can be classified as a four major parts: appreciating the nature, study, gathering to make the poem, and taking a rest while satisfied with his own situation. These four properties reflect the function of the private pavilion. In the light of these four properties, I noticed that there were some contents dealing with the private pavilion. Given his social status, I was able to confirm that he had the considerable satisfaction with his life of operating the private pavilion, which was reflected by the Sanjungjapgok.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