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 Received : 2015.02.15
  • Accepted : 2015.03.0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ransi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junior high school and the simple change of grades. This time is also a critical time that many students would be to abandon the mathematic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onjunction with mathematics, this timing can be either bright or dark outlook with relation to mathematical development. Thus, at this turning poi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changes the students are experiencing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hat such changes effect the students, whether or not there is room for improving such change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th lesson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in junior high school, we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experienced by students who have been placed in the turning point and suggest implications to help them to land softly into junior high school.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는 단순한 학년 변화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 시기는 상당수 학생들이 수학 교과를 포기하게 되는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수학 교과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학 교과 관련 발달 전망에 희비가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기에 학생들이 수학 교수학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러한 변화가 필연적인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수학 교실 수업장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이 겪게 되는 교수학습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그 연계를 강화하여 중학교에 수월하게 연착륙하도록 돕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 6-1 교과서. 두산동아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 6-1 교과용 지도서. 두산동아주식회사.
  3. 김인숙(2004).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재희(1991). 초.중.고 대수영역의 연계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태은, 노원경, 안태연, 고정화(2014).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방안 탐색.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4-3.
  6. 나귀수, 최승현(2003). 초등학교 수학교육 실제의 이해: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5(3), 275-295.
  7. 박소현(2005).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연계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연재(2000). 초.중등 수학에서의 도형.측정 영역의 재구성을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방정숙(2002).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 방향. 학교수학, 4(4), 657-675.
  10. 방정숙(2012). 초등학교 수학 수업 어떻게 분석 할 것인가?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의 활용 사례.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5.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1. 방정숙, 권미선, 김정원(2012). 초등학교 우수 수업 동영상에 나타난 좋은 수학 수업의 특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403-426.
  12. 세계일보(2014). 벼랑 끝에 선 수학교육. 2014. 4. 7. 일자
  13. 신준국.권오남.윤갑진.박종률.김인수.김부윤.김용찬.성덕현.홍인숙.김영우.이영 배.이준희.이주미(2013a). 중학교 수학 1. 두배의느낌.
  14. 신준국.권오남.윤갑진.박종률.김인수.김부윤. 김용찬.성덕현.홍인숙.김영우.이영배. 이준희.이주미(2013b). 중학교 수학 1 교사용 지도서. 두배의느낌.
  15. 유정윤(2005).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형지도의 연계성에 관하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유순화(2007).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초등교육연구, 20(1), 355-375.
  17. 이경화(2002). 초등 수학 수업의 이해를 위한 관찰과 분석. 학교수학, 4(3), 435-461.
  18. 정혜영(2005). 초.중등교과과정에서의 기하교육의 연계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규택(2005).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연계성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천경남(2006). 초등학교 저.고학년의 수학 수업 비교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1. 황선욱.강병개.한길준.한철형.권혁천.김의석.유기종.정종식.김민정(2011a). 중학교 수학 1. 좋은책신사고 주식회사.
  22. 황선욱.강병개.한길준.한철형.권혁천.김의석. 유기종.정종식.김민정(2011b). 중학교 수학 1 교사용 지도서. 좋은책신사고 주식회사.
  23. Akos, P., & Galassi, J. P. (2004). Middle and high school transitions as viewed by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7(4). 212-221.
  24. Akos, P., Queen, J., & Lineberry, C. (2005). Promoting a successful transition to middle school.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25. Lee, C. & Lee, S. (2013). Analysis of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 교과교육학연구, 17(4).
  26. Mullins, E. R., & Irvin, J. L. (2000).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What research says. Middle School Journal, 31(3), 5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