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etirees'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 원경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 김영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투고 : 2015.11.26
  • 심사 : 2015.12.24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2013)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역동적으로 파악하여 복지정책 수립 시 활용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한 실태조사이다. 본 자료는 2013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전국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분석에 총3,976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빈도, 백분율을 통해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고, 변인 간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21.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주관적 건강인식, 주택소유여부, 생활비, 가족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주관적 건강인식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은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가 상승할수록 주관적 건강인식도 상승된다는 직접적인 경로와 함께 건강, 경제, 가족관계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통해 더욱 상승된 경로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검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은퇴자의 건강, 경제, 가족관계가 주관적 건강인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실증 분석했다는 점과 은퇴자의 건강상태를 유지, 완화 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방안을 정책적으로 마련하는 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ediated effect of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their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Data used for analysis wa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conducted by Korea Welfare Panel Study(2013).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anuary 1, 2013 to December 31, 2013. Answers of 3,976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variables. SPSS21.0 were used as statistics program. showed that retire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hether to own house, living expense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have an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tirees'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path which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at retirees'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the better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the higher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is. In addition, that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proves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draw higher path through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retirees' health, economic power and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retirees'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nd provide data which is useful in preparing ways to improve retirees' heal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