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기업인의 재창업지원 제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e-start up Support system for Failed Businessmen

  • 김형호 (대.중소기업협력재단) ;
  • 윤현덕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 Kim, Hyung-Ho (Large & Small Business Cooperation Foundation(BCF)) ;
  • Yoon, Heon-Deok (Entrepreneurship & Small Business, Soongsill University)
  • 투고 : 2015.11.12
  • 심사 : 2015.12.22
  • 발행 : 2015.12.31

초록

정부는 역동적 혁신경제로 경제 대도약을 위해 선순환 벤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태계 구축은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기업가정신을 지닌 우수인력의 도전적 벤처창업과 실패를 관용하고 이를 경험으로 재창업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가능하다. 정부의 벤처 창업 붐 조성 노력으로 벤처기업 및 신설법인 수 등이 매년 증가 하고 있으나, 이들 기업이 실패할 경우 재창업 등으로 재기 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과 지원제도 마련의 노력은 최근에야 시작되었다. 실패기업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지원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실패한 기업에 대한 그간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국내 실패기업인의 재도전, 재창업과 관련된 현황을 파악 후 해외 선진국 사례와 국제비교를 통해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실패기업의 재창업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과 같이 실패를 성공의 한 단계로 인식하는 창업문화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EU의 SBA법과 같은 재도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근거 마련과 일본의 민간 중심의 중소기업재생지원협의회 구성 운영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패기업인의 삶의 질 보장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에 대한 추가 연구와 정부 정책이 보완된다면 국내 재창업 활성화를 위한 깊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government is building a virtuous cycle of startups and venture businesses for a dynamic, innovative economy. This ecosystem is made possible when a social environment that embraces tolerance and turn business failure into re-startups and challenging venture startups by outstanding entrepreneurs are present. Due to the government's efforts to promote start-ups and venture businesses, their number has been increasing annually, but the efforts to create a social environment for re-startups and establish a relevant institution have recently started.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policy direction for re-startups by getting policy implications afte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failed businessmen' re-startup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failed businessmen. This study also reviewed advanced nations' cases and mad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e-startup policies. Before the startup culture that recognizes failure as the stage for success is formed as in the U.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gal basis for continuously pushing for the rechallenge policy of EU's Small Business Act and establish and operate the private sector-driven revitalization council of SMEs in Japa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guarantee of failed businessmen' livelihood. If additional research and government policies are added to the conclusions made on the policy implications,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in-depth insight for revitalizing domestic re-start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