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lting on Consultant's Satisfactions and Social Support

컨설턴트의 직무만족과 사회적 지지가 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5.10.28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Consulting effects of enterprise management are paying off and growing in the country as well as worldwide. Consulting, the academic research foundation of the consulting classification is narrow and, therefor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involved consultants has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Although there were not enough references, I recognized that consulting industry would have a huge effects on business, I tried to draw the concept of the satisfaction of job performance of consultants in the point of the growth of industry itself, and I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ltan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t means, on the causes of consulting performance, the previous studies were quantitatively limited, but this study represents the new perspective and another way of thinking.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performance is affected by the job satisfaction of consultants. Second, it showed that social support on consultants and consulting performance are highly related. Further more, a following-up study can use it to strengthen consulting capabilities such as, self development of consultants, how to make reasonable consulting payments, how to develop and how to establish direction of support policies for consulting. It is possible that this study can be policy data when policy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can be made on the basis of consulting.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컨설팅이 기업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에 따라 컨설팅사의 영향력도 확대되고, 컨설팅 시장도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컨설팅은 그 범주에 대한 학문적 연구 기반이 넓지 않아서 관련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산업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컨설턴트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발맞추어 컨설턴트의 직무 만족과 사회적지지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제한적으로 양적연구에 치우쳐있던 컨설팅의 성과에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새로운 관점과 사고의 틀을 제공하는 첫 연구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컨설턴트의 직무만족과 성과는 정의 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컨설턴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컨설팅 성과는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컨설턴트의 자기개발, 컨설팅 보수, 컨설팅산업의 발전과 컨설팅 산업지원 정책의 방향설정에 기여를 함은 물론 컨설팅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 등의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