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erature Change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Received : 2014.12.29
  • Accepted : 2015.01.28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temperature change pattern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climatic fitness were analyzed. Harmonic analysis based on thirty-year(1981-2010) time-series data from sixty one weather stations across South Korea showed that the central peaks of the extreme heat had shifted toward start of autumn with increasing mean temperature. The overall climatic fitness of solar terms, such as major heat, frost descent, major snow, and major cold, was low, and it showed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The actual meteorological phenomenon representing each climatic solar term was observed much later than the day of the solar term at most weather stations. The number of observations, where an actual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each climatic solar term was recorded within ${\pm}1$ week from the day of that solar term, ranged only from 7.7% to 40.4% of the entire data. Study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limatic fitness of major heat, frost descent, and major snow gradually changed in the east-west direction. Major cold, a solar term with higher climatic fitness, was influenced more strongly by latitude than longitude. Considering geographically uneven magnitude and trends in temperature changes, rearrangement and adjustment of time intervals between the solar terms may help us improve their applicability as realistic indicators of seasonal changes.

본 연구는 계절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후 절기의 기온 변화 패턴을 파악하고 실제 기상 현상과의 부합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61개 관측소 자료를 통한 분석 결과, 관측지점 평균 기온이 증가할수록 연중 기온변화 파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극서기중심이 7월 21일에서 8월 5일, 즉 절기적으로 입추 쪽으로 이동하였다. 주요 기후 절기인 대서, 상강, 대설, 대한을 중심으로 살펴 본 절기부합도는 전체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지역적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관측소에서 각 절기에 해당하는 기상 현상은 현저히 늦게 나타났는데, 각 절기일 기준 1주 이내로 관측된 경우는 전체의 7.7~40.4%에 머물렀다. 대서, 상강, 대설의 절기부합도는 동서 방향으로 차이를 보였고, 절기부합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대한에는 동서 간의 차이보다는 남북 방향의 위도 조건이 절기부합도 변화 패턴에 영향을 주었다. 절기별 기온변화 경향과 속도가 지역적으로 균일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개별 절기의 배열과 각 절기 간 시간 간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함으로써 24절기의 현실적 유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