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절기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nalysis of Precipitation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Focusing on 24 solar terms)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변화분석 (24절기를 중심으로))

  • Park, Ki Bum;Ahn, Seoung Seop;Kang, Chang M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34-434
    • /
    • 2017
  •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 몬순기후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에 있어 과거의 강수패턴과 현재의 강수패턴은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24절기의 경우 과거와 달리 기온이나 강수 등의 변화로 인해 절기의 구분이 상이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에 있어 24절기를 기준으로 작물의 생육을 관리하는 인식이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의 패턴이 과거와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절기별 강수량의 변화는 농업용수의 계획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기온, 강수를 24절기로 구분하여 과거와 현재의 변화정도를 분석하였다. 24절기의 강수량의 이동평균법을 이용하여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울, 대구, 부산의 경우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절기는 망종으로 서울의 경우 245%정도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반적으로 120%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년 이동평균 분석결과에서는 망종과 백로에서 120%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on of Vitality among Three Cool-Season Turfgrasses during Summer using Chlorophyll Fluorescence (엽록소형광을 이용한 하절기 동안 한지형 잔디 3종의 활력도 비교 분석)

  • Seok Chan Koh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4-44
    • /
    • 2021
  •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골프 코스에서 하절기 고온기간에 온도의 상승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생육 장애가 심한 한지형 잔디인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3종에 대하여 엽록소형광과 엽록소지수를 측정하여 골프 코스와 스포츠 필드에서 잔디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Fo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perennial ryegrass의 경우는 하절기 초기와 후기 간의 Fo 값의 변화가 컸으며, 특히, 후기에 Fo 값은 다른 2종 월등하게 보다 높았다. Fm 값은 3종 모두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하절기 후기에 증가하였으나 3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광계 II의 광화학적 효율의 척도인 Fv/Fm 값은 3종 모두에서 하절기 초기에 낮고, 후기에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하절기 후기에 Kentucky bluegrass와 creeping bentgrass는 perennial ryegrass에 비해 Fv/Fm 값이 다소 높아 하절기 고온에서도 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엽록소지수는 perennial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에서는 뚜렷하게 하절기 초기에는 낮고 후기에 높은 양상을 보였으나, creeping bentgrass는 조사기간 내내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Kentucky bluegrass가 하절기 후기의 고온이나 빈번한 강우에 의한 습한 조건에 가장 강하고, perennial ryegrass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emperature Change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기후 절기별 기온 변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Jin, Mi Jeong;Park, Sunyurp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1
    • /
    • pp.23-36
    • /
    • 2015
  • The temperature change pattern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climatic fitness were analyzed. Harmonic analysis based on thirty-year(1981-2010) time-series data from sixty one weather stations across South Korea showed that the central peaks of the extreme heat had shifted toward start of autumn with increasing mean temperature. The overall climatic fitness of solar terms, such as major heat, frost descent, major snow, and major cold, was low, and it showed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The actual meteorological phenomenon representing each climatic solar term was observed much later than the day of the solar term at most weather stations. The number of observations, where an actual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each climatic solar term was recorded within ${\pm}1$ week from the day of that solar term, ranged only from 7.7% to 40.4% of the entire data. Study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limatic fitness of major heat, frost descent, and major snow gradually changed in the east-west direction. Major cold, a solar term with higher climatic fitness, was influenced more strongly by latitude than longitude. Considering geographically uneven magnitude and trends in temperature changes, rearrangement and adjustment of time intervals between the solar terms may help us improve their applicability as realistic indicators of seasonal changes.

  • PDF

Climatic Change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lar Term Temperature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절기 기온의 기후적 변화와 지리적 특성)

  • PARK, Sun-Yurp;LEE, Su-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65-81
    • /
    • 2019
  • The twenty-four Solar Terms are Chinese traditional astronomical divisions that describe seasonal cycles of the year. Based on the analyses of meteorological data during 1979~2018,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s of the Solar Terms had increased in general in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 Korea, temperature increases were observed on 21 Solar Terms, and their seasonal mean temperatures were increased by $0.87^{\circ}C$, $1.19^{\circ}C$, $1.45^{\circ}C$, and $0.64^{\circ}C$ on average i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summer has lengthened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fall, and the magnitude of temperature change was greater in summer compared to winter. As for South Korea, increases in temperature were observed on 18 Solar Terms, and the temperature changes were more pronounced in fall and winter than spring and summer. The Great Snow temperature decreased more than any other Solar Term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his temperature change was observed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s. The Great Cold, which represents the coldest day of the year, showed a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 of $3.08^{\circ}C$, while the Slight Heat had a marginal temperature increase of $0.29^{\circ}C$. The hottest day and the first day of frost tended to come later than the Great Heat and the Frost's Decent. By contrast, the coldest day tended to occur later than the Great Cold in the study area. On average over the entire study period, the climatic fitness of the Great Heat and the Frost's Decent was higher in North Korea, and that of the Great Cold was higher in South Korea, respectively.

항로표지용 고효율 충방전조절기 성능 개선 연구

  • Yu, Yong-Su;Kim,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39-140
    • /
    • 2018
  • 등부표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독립형 전력계통시스템으로 일사량과 표면온도에 의한 태양광 발전효율 저하에 따른 등명기 소등 또는 광력 미약으로 항로표지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일부 항로표지용 고효율 충방전조절기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항로표지 장비 용품 표준화 규정"의 항로표지용 충방전조절기 표준규격(제3조3호)이 제정고시 되어 충방전조절기의 기능 및 성능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충방전조절기의 표준규격의 성능을 만족하고 상용화가 가능한 구조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하절기 가축질병 관리대핵

  • Korea Dairy and Beef Farmers Association
    • 월간낙농육우
    • /
    • v.26 no.8 s.292
    • /
    • pp.134-136
    • /
    • 2006
  • 최근 무더운 날씨에 이어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가축질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하절기 가축질병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회원농가들께서는 본 관리대책을 참조하시어 하절기 가축질병 예방에 안전을 기하기 바랍니다.

  • PDF

사고 사례 - 동절기 인명피해 화재사례

  • Kim, In-Tae
    • 방재와보험
    • /
    • s.110
    • /
    • pp.56-61
    • /
    • 2005
  • 쌀쌀한 찬바람에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전체 화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동절기 화재사고는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기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고 추운날씨로 인해 화재예방 점검을 소홀히 하기 때문이다.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동절기 화재사고의 사례을 살펴봄으로써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새롭게 갖는 한편, 그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을 알아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hanging rainfall 24 Solar terms (24절기 강우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Ki Bum;Kim, Mi Jung;Moon, Sang Chul;Ahn, Se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0-290
    • /
    • 2016
  •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연강우량의 증가와 강우일수의 감소로 인한 강우강도의 증가 등 많은 현상이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기상학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수자원의 이용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의 변화는 연강우량이나 강우강도, 최대강우량의 변화 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농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간단위인 24절기에 대해 강우량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24절기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는 농업 및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고 있다. 이러한 24절기의 강우가 어떠한 패턴으로 변하고 있는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여 향후 농업용수 등 수자원의 이용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할 수 있는 기본자료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