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eative Talent for Fusion-Positive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ontent Research ; Focusing on the tvN Connective Lecture Show 'Creation Club 199'

창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집단지성기반 협력학습 콘텐츠 연구: tvN의 커넥티브(connective) 강연쇼 '창조클럽 199'를 중심으로

  • 임윤서 (동국대학교 미래인재개발원 역량개발센터)
  • Received : 2014.10.27
  • Accepted : 2014.12.19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Collaborative learning o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model is also ideal in higher education did not yet consensus still in the theoretical level. To become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s to mobilize the competence of the various members should be promoted as much as possible with their own services design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the goals of the joint. Is still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does the actual model is not developed in education is a key program in creative fusion judge called talent. The evolution of the main features of the house just in shaping the content of a modern lecture geureohagi need to check from time to time to see and pay attention. As part of this study, attempts were associated with the tvN planning and attention to trying connector Executive Lecture show "Creative Club 199" content. Well oriented intention to converge the needs of the times, but it is even more compelling naeeotda implemen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how' the reality is that together with the participants.

대학교육에서 이상적인 '집단지성기반의 협력학습' 모델은 아직 합의되지도 않았고 여전히 이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집단지성기반의 협력 학습이 되기 위해선 다양한 구성원들이 자신이 가진 최대한의 역량을 동원하여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기여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배려해야 한다. 아직 교육현장에서 실제 모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집단지성기반의 협력학습모델은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에 핵심적 프로그램이라 판단된다. 그러하기에 현대 강연의 주요 특징인 집단지성형 콘텐츠로의 진화는 수시로 확인하고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그와 연관된 시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tvN이 기획하고 시도한 커넥티브 강연쇼 '창조클럽 199' 콘텐츠에 주목하였다. 지향하는 기획 의도도 시대의 요구를 잘 수렴하고 있지만 더욱 돋보이는 것은 참여자들과 함께하는 집단지성 기반의 '방법' 들을 현실에 구현해내었다는 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조, 김남옥, "융합 시대의 문명론적 진단", 한국사회학회지, 제45권, 제5호, pp.1-24, 2011.
  2. 울리히 벡, 이동화 역, 위험사회, 새물결, 2006.
  3. 노상우, 안동순,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 제10권, 제1호, pp.67-88, 2012.
  4. S. Turkle, Along Together: Why we expect more from technology and less from each other, basic books, 2010.
  5. 유영만, 브리꼴레르, 쌤앤파커스, 2013.
  6.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제11권, 제1호, pp.97-119, 2012.
  7. 김영록, 최강모, 융합인재의 조건: 미래기업의 성장엔진, 티핑 포인트, 2012.
  8. 김혜영,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2호, pp.11-38, 2013.
  9. 공선표, 멀티 스페셜리스트: 몰입과 통합의 기술을 갖춘 새로운 인재의 탄생, 토네이도, 2010.
  10. 조관일, 멀티어십 : 21세기 통섭형 인재의 뉴 패러다임, 21세기북스, 2013.
  11. 이돈희, "지식 융합시대의 교육학의 과제", 2009 한국 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3-6, 2009.
  12. 유영만, 브리꼴레르, 쌤앤파커스, 2013.
  13. 최재천, 장대익, 통섭, 사이언스북스, 2005.
  14. 토마스 프리드만, 이건식 역, 세계는 평평하다, 21세기북스, 2013.
  15.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셸 루트번스타인, 박종성 역,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16. 다니엘 핑크, 김명철 역, 새로운 미래가 온다, 한국경제신문사, 2012.
  17. P. Levy, L'intelligence collective: Pour une anthropologie de cyberspace. Les Editions La D couverte, 1994, 권수경 역, 집단지성: 사이버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18. J. Surowiecki, The wisdom of crowds. Doubleday,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 2004, 홍대운, 이창근 역, 대중의 지혜, 랜덤하우스 중앙, 2004.
  19. J. Howe, "The rise of crowdsourcing, wired," Vol.14, No.6, pp.1-4, 2006.
  20. C. Leadbeater, We-think: Mass innovation, not mass production. London: Aitken Alexander Associates, 2008, 이순희 역,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북스, 2009.
  21. Tapscott, D. and Williams, A. D., Wikinomics: How Mass Collaboration Changes Everything, ex-panded ed. New York: Portfolio, 2006.
  22. 이유나, 이상수, "집단지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개념모형과 설계원리",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4호, pp.213-239, 2009.
  23. P. Dillenbourg and D. Schneider, The mechanism of collaborative learning, University of Geneva, Switzerland, 1995.
  24. 박선아, 블랜디드 러닝의 협력적 지식창출 절차적 모형 개발연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25. 양미경,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23권, 제2호, pp.457-483, 2011.
  26. P. Dillenbourg and P. Tchounikine, "Flexibility in macro-scripts fo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23, pp.1-13, 2007. https://doi.org/10.1111/j.1365-2729.2007.00191.x
  27. D. W. Johnson and R. T. Johnson, "An educational psychology success story: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nd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Vol.38, No.5, pp.365-379, 2009. https://doi.org/10.3102/0013189X09339057
  28. P. Dillenbourg, "What do you mean by 'collaborative learning'?" In P.Dillenbourg (Ed.), Collaborative-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Oxford: Elsevier, pp.1-19, 1999.
  29. enews24, 2014. 04. 28.
  30. 헤럴드 경제, 2014. 03. 19.
  31. 양미경,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 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1-30, 2010.
  32.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 2014. 02. 05.
  33. 장상현, "교육 3.0과 ICT 융합, 스마트 교육",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1호, pp.35-39, 2013. https://doi.org/10.20924/CCTHBL.2013.11.1.035
  34. 한우, 강연의 문화콘텐츠적 활용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J. Brown and D. Isaacs, "The World Cafe: A waken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mmitted action," In Mark Tovey(ed.),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ng aprosperous world at peace, Oakton, Virginia: Earth Intelligence Network, pp.47-5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