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성애.박정윤(201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방문교육지도사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4), 405-414. https://doi.org/10.6115/fer.2015.032
- 강정대(1995). 현대경영조직론. 서울 : 박영사.
- 고종식.황진수(2010).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3(1), 523-545.
- 권기남.조성자.문수백.민하영(2008).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 지각된 정서적 지지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제44차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45.
- 김근세.이경호(2005).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 시험관리공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9(3), 179-203.
- 김난도(1998). 공공가정론의 철학적 제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47-57.
- 김미란.서문경애(2013).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2), 93-101.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93
- 김영선.윤희숙(2008). 치과위생사의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4), 291-297.
- 김영춘(2011).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은숙(2013). 국외여행 인솔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성과와의 관계에서 지원의 조절효과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희(2011). 건강가정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태룡.안희정(2006). 팀제의 도입에 따른 성과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45-361.
- 민진(2003). 조직효과성에 관한 개념 정의의 분석 및 재개념화. 한국행정학보, 37(2), 83-104.
- 박영국(2009). 사회족지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1(2), 539-565.
- 박영준(2003). 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인아(2009).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44, 187-208.
- 박치성(2010). 사회서비스 제공 비영리조직에 대한 보조금과 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기관 조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9(2), 155-180.
- 백국인(2015). 간병인의 감정노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지능, 사회적 지원을 매개변수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소영호.조성림 (2010). 직업무용수의 직무소진이 직업의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4), 175-190.
- 송혜림(2006). 공공가정경영 이론적 체계의 재구성에 대한 논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1), 1-16.
- 유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육풍림(2012). 감정노동, 내재적 특성, 사회적 지지가 소진 및 고객지향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카지노 직원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기영.조희금.조영희.송헤림.정지영.서지원(2009). 공공가정경영. 서울 : 신정.
- 이명신(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 모델.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 이원일(2012).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은혜(2009).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상사의 감성코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인석.박문수.정무관(2007).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6), 2879-2900.
- 이인수(2006).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55-69.
- 이재곤.김수연(2008). 항공사 종사원들의 역할스트레스에 따른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8(1), 141-160.
- 이종건.이중문(2009).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 이종남(2006).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종학.신규희.이수범(2012). 카지노 종사원의 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 연구, 21(3), 103-118.
- 임채숙(2009).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상기(20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연욱(2010).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관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익중.이경림.이정은(2010).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3, 23-46.
- 주효진(2003). 조직구조 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EM기법의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유미(2008). 자원봉사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지혜(2011).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소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혜영(1994).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추교선(2014). 사회복지관의 자율성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과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용외(2011). 다문화복지 조직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황혜신(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7), 23-32 . https://doi.org/10.6115/khea.2010.48.7.023
-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12). 한국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보건복지부.
- Anderson, D. G.(2000). Coping strategies and burnout among veteran child protection workers. Child Abuse & Neglect, 24, 839-848. https://doi.org/10.1016/S0145-2134(00)00143-5
- Bakker, A. B., Schaufeli, W. B., Sixma, H., Bosveld, W., & Van Dierendonck, D.(2000). Patient demands, lack of reciprocity, and burnout: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among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425-441.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200006)21:4<425::AID-JOB21>3.0.CO;2-#
- Campbell, J. P.(1977).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 S. Goodman & J. M. Pennings (Ed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p. 13-55).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Inc.
- Cherniss, C.(1980).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k : Praeger.
- Daft, R. L.(2007).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Ohio : South-Western.
- Enzmann, D.(1994). Work-and client-related stressors as predictors of burnout : Results from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23rd International Congress of Applied Psychology. Madrid, Spain.
- Etzioni, A.(1961).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organization. New York : The Free Press.
- Evan, W. M.(1993). Organization Theory. Research and Design. New York : Macmillan.
- Greer, J. G. & Wethered, C. E.(1984). Learned helplessness: A piece of the burnout puzzle. Except Child, 50 (6), 30-524.
- Hall, R. H.(1980). Effectiveness theor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6, 536-545. https://doi.org/10.1177/002188638001600408
- Jennifer, S.(2006). Can't get no satisfaction: In a culture where work can be a religion, burnout is its crisis of faith. November 26, New York Magazine.
- Kalliath, T,. O'Driscoll, M. P., Gillespie, D., & Bluedorn, A.(2000). A test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in three sampl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 & Stress, 14(1), 35-50. https://doi.org/10.1080/026783700417212
- Levert, T., Lucas, M. & Ortlepp, K.(2000). Burnout in psychiatric nurses : Contribu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 Sense of Coherence.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30, 36-43. https://doi.org/10.1177/008124630003000205
- Lloyd, C. & King, R.(2004). A survey of burnout among australian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9, 752-757. https://doi.org/10.1007/s00127-004-0808-7
- Maslach, C.(1976). Burned-out. Human Behavior, 9(5), 16-22.
- Maslach, C.(2001). What have we learned about burnout and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16(5), 607-611. https://doi.org/10.1080/08870440108405530
- Maslach, C.(2003). Job burnout: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 189-192. https://doi.org/10.1111/1467-8721.01258
- Maslach, C. & Jackson, S. 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 Meyer, J. P. & Allen, N. J.(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 Miles, R. H.(1980). Macro-organizational behavior. California: Goodyear.
- Pines, A. M. & Aronson, E.(1988). Career burn 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 Robbins, S. P.(1990). Organization theory :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s. 3rd edn. New Jersey: Prentice Hall.
- Quinn, R. E. & Staines, G. L.(1979). The 1977 quality of employment survey.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Schaufeli, W. B. & Buunk, B. P.(1996). Professional burnout. In M. J. Schabracq, J. A. M. Winnubst & C. L. Cooper(Eds.),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pp. 311-346). Chichester: John Wiley.
- Schaufeli, W. B. & Enzmann, D.(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London: Taylor & Francis.
- Siebert, D. C. (2005).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 burnout among practicing social workers: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manger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2(2), 25-44. https://doi.org/10.1300/J079v32n02_02
- Um, M. Yung. & Harrison, D.(1999). Role stressors, burnout, mediators, and job satisfaction: a stress-strain outcome model and an empirical test. Social Work Research, 22(2), 100-110. https://doi.org/10.1093/swr/22.2.100
- Van der Klink, J. J. L. & Van Dijk, F. J. H.(2003). Dutch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ing adjustment disorders in occupational and primary health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9(6), 478-487. https://doi.org/10.5271/sjweh.756
- 다문화공감뉴스 http://www.dmcnews.kr/xe/13806.
-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