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Burnout in Non-profit Organization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ocus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eo, Jong Soo (Eden Child & Family Counseling Center)
Cho, Hee Keum (Dept. of Family Welfare, Daegu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19, no.4, 2015 , pp. 163-18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supervise the main field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with institutional household factors. Our research objective was to present datas demonstrating an improvement i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burn out average of employees working for the non-profit organization was 2.45, emotional burnout was 2.87, achievement was 2.43, and dehumanization was 2.06. The effectiveness average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was 3.56, profitability was 3.65, job satisfaction was 3.58,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45. The generic characters that caused burnout were age, information, and professionalism in research. The generic characters and burnout that affect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cluded a lack of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lack of information and professionalism, lack of external resources in that ord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urnout in order to prevent job chang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eywords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urnou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성애.박정윤(201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방문교육지도사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4), 405-414.   DOI
2 강정대(1995). 현대경영조직론. 서울 : 박영사.
3 고종식.황진수(2010). 직무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3(1), 523-545.
4 권기남.조성자.문수백.민하영(2008).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적 관계망으로부터 지각된 정서적 지지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제44차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45.
5 김근세.이경호(2005).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운전면허 시험관리공단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9(3), 179-203.
6 김난도(1998). 공공가정론의 철학적 제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47-57.
7 김미란.서문경애(2013). 병원간호사의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2), 93-101.   DOI
8 김영선.윤희숙(2008). 치과위생사의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4), 291-297.
9 김영춘(2011).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영향요인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은숙(2013). 국외여행 인솔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성과와의 관계에서 지원의 조절효과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희(2011). 건강가정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태룡.안희정(2006). 팀제의 도입에 따른 성과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학술대회자료집, 345-361.
13 민진(2003). 조직효과성에 관한 개념 정의의 분석 및 재개념화. 한국행정학보, 37(2), 83-104.
14 박영국(2009). 사회족지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21(2), 539-565.
15 박영준(2003). 생활시설의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능력강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인아(2009).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44, 187-208.
17 박치성(2010). 사회서비스 제공 비영리조직에 대한 보조금과 감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기관 조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9(2), 155-180.
18 백국인(2015). 간병인의 감정노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지능, 사회적 지원을 매개변수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소영호.조성림 (2010). 직업무용수의 직무소진이 직업의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4), 175-190.
20 송혜림(2006). 공공가정경영 이론적 체계의 재구성에 대한 논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1), 1-16.
21 유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육풍림(2012). 감정노동, 내재적 특성, 사회적 지지가 소진 및 고객지향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카지노 직원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기영.조희금.조영희.송헤림.정지영.서지원(2009). 공공가정경영. 서울 : 신정.
24 이명신(2004).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 모델. 한국사회복지학, 56(4), 5-34.
25 이원일(2012).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은혜(2009).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상사의 감성코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인석.박문수.정무관(2007).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6), 2879-2900.
28 이인수(2006).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55-69.
29 이재곤.김수연(2008). 항공사 종사원들의 역할스트레스에 따른 직무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8(1), 141-160.
30 이종건.이중문(2009).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1 이종남(2006).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이종학.신규희.이수범(2012). 카지노 종사원의 소진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 연구, 21(3), 103-118.
33 임채숙(2009).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정상기(201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정연욱(2010).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관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정익중.이경림.이정은(2010).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3, 23-46.
37 주효진(2003). 조직구조 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EM기법의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최유미(2008). 자원봉사조직의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최혜영(1994). 사회사업가의 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최지혜(2011).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소진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추교선(2014). 사회복지관의 자율성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과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한용외(2011). 다문화복지 조직 네트워크 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황혜신(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7), 23-32 .   DOI
44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12). 한국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보건복지부.
45 Anderson, D. G.(2000). Coping strategies and burnout among veteran child protection workers. Child Abuse & Neglect, 24, 839-848.   DOI
46 Bakker, A. B., Schaufeli, W. B., Sixma, H., Bosveld, W., & Van Dierendonck, D.(2000). Patient demands, lack of reciprocity, and burnout: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among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425-441.   DOI
47 Campbell, J. P.(1977).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 S. Goodman & J. M. Pennings (Ed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p. 13-55).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Inc.
48 Cherniss, C.(1980). Professional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New York : Praeger.
49 Daft, R. L.(2007).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Ohio : South-Western.
50 Enzmann, D.(1994). Work-and client-related stressors as predictors of burnout : Results from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23rd International Congress of Applied Psychology. Madrid, Spain.
51 Hall, R. H.(1980). Effectiveness theor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6, 536-545.   DOI
52 Etzioni, A.(1961).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organization. New York : The Free Press.
53 Evan, W. M.(1993). Organization Theory. Research and Design. New York : Macmillan.
54 Greer, J. G. & Wethered, C. E.(1984). Learned helplessness: A piece of the burnout puzzle. Except Child, 50 (6), 30-524.
55 Jennifer, S.(2006). Can't get no satisfaction: In a culture where work can be a religion, burnout is its crisis of faith. November 26, New York Magazine.
56 Kalliath, T,. O'Driscoll, M. P., Gillespie, D., & Bluedorn, A.(2000). A test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in three sampl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 & Stress, 14(1), 35-50.   DOI
57 Levert, T., Lucas, M. & Ortlepp, K.(2000). Burnout in psychiatric nurses : Contribu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 Sense of Coherence.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30, 36-43.   DOI
58 Lloyd, C. & King, R.(2004). A survey of burnout among australian mental health occupational therapists and social work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9, 752-757.   DOI
59 Maslach, C.(1976). Burned-out. Human Behavior, 9(5), 16-22.
60 Maslach, C.(2001). What have we learned about burnout and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16(5), 607-611.   DOI
61 Maslach, C.(2003). Job burnout: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 189-192.   DOI
62 Pines, A. M. & Aronson, E.(1988). Career burn 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63 Maslach, C. & Jackson, S. E.(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DOI
64 Meyer, J. P. & Allen, N. J.(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DOI
65 Miles, R. H.(1980). Macro-organizational behavior. California: Goodyear.
66 Robbins, S. P.(1990). Organization theory :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s. 3rd edn. New Jersey: Prentice Hall.
67 Quinn, R. E. & Staines, G. L.(1979). The 1977 quality of employment survey.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68 Schaufeli, W. B. & Buunk, B. P.(1996). Professional burnout. In M. J. Schabracq, J. A. M. Winnubst & C. L. Cooper(Eds.),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pp. 311-346). Chichester: John Wiley.
69 Schaufeli, W. B. & Enzmann, D.(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London: Taylor & Francis.
70 Siebert, D. C. (2005).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 burnout among practicing social workers: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manger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32(2), 25-44.   DOI
71 Um, M. Yung. & Harrison, D.(1999). Role stressors, burnout, mediators, and job satisfaction: a stress-strain outcome model and an empirical test. Social Work Research, 22(2), 100-110.   DOI
72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
73 Van der Klink, J. J. L. & Van Dijk, F. J. H.(2003). Dutch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ing adjustment disorders in occupational and primary health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29(6), 478-487.   DOI
74 다문화공감뉴스 http://www.dmcnews.kr/xe/13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