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atisfaction Surveys for Employment Services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 국제 비교

  • Kim, Ho W.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Employment Service Enhancement Center) ;
  • Kim, Taewoo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Employment Service Enhancement Center)
  • Received : 2015.03.09
  • Accepted : 2015.03.17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This study looked for employment services satisfaction surveys done in the UK, USA and Korea. And through which deriv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 the employment service satisfaction survey. First, in terms of research design improvement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region for each center and branch-specific (job seekers and recruiters) requires the sampling design based on user scale. In addition, the sample design should be applied when considering specific user can be distributed. US is restricted to participants within 60 days for sampling and sample extraction once a month at least. Next in terms of survey improvements, it is necessary to apply a weighting part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correct analysis of the employment center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s required. And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service, complaints about worknet use is likely to be channeled into complaints about job centers provide services. It needs to improve on this. And for the improvements of business processes service by an in-depth study, it can be seen to review the possible introduction of a British mystery shopper.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비교하여 향후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 선행연구와 외국 문헌 고찰 및 관련 기관 홈페이지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 개선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조사설계 개선방안 측면에서 표본의 대표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역별 각 센터 및 출장소별(구직자 및 구인업체) 이용자 규모에 따른 표본설계가 요구되고 또한 시기별 이용자 수 분포를 고려한 표본 설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조사내용 개선방안 측면에서 먼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 부분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용센터별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심층조사를 통해 각 센터별, 업무프로세스별 서비스 개선안 도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적으로 기술 할 수 있도록 영국의 미스터리 쇼퍼를 통한 평가 방법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 향후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에 반영 될 경우 고용서비스 현장의 의견을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2014), 고용노동백서, 고용노동부.
  2. 고용노동부 (2012), 고용노동백서, 고용노동부.
  3. 금재호 (1999), 직업, 취업 및 훈련정보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조사, 노동부.
  4. 김호원, 이만기, 이상현, 김균, 김진희 (2009), 공공 고용서비스의 선진국 실태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5. 김승택 (2011), 고용서비스 선진화를 위한 진단, 노동리뷰, 한국노동연구원.
  6. 김호원, 김태우 (2012), 고용서비스 품질지수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7. 오성욱 (2007), 고용서비스품질 측정모델 및 품질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8. 오성욱, 김태우 (2012), 고용센터의 성과관리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9. 오성욱, 윤성준 (2005),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고용서비스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인사관리연구, 29(2), 81-118.
  10. 유길상, 임동진 (2002), "공공직업안정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 및 결정요인",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1), 257-280.
  11. 윤성준, 오성욱 (2003), "공공서비스에 있어서의 고객만족에 대한 고찰",서비스경영학회지, 4(2), 3-31.
  12. 임언, 이지연, 최동선 (2006), 고용서비스 인증 표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정인수 (1999), 직업안정인프라 구축, 노동부.
  14. 정인수, 지승현 (2011), "지역 특성을 감안한 공공고용서비스의 새로운 평가 방안",노동정책연구, 11(2), 107-144.
  15. 최강식, 김훈식, 남재량 (2000), 노동시장의 매개기능 활성화를 통한 고용확대방안, 노동부.
  16.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1), Jobcentre Plus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0-2011,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17.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10), Jobcentre Plus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09-2010,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18. Jobcentre Plus (2011), Jobcentre Plus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10-2011,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19. Jobcentre Plus (2010), Jobcentre Plus Annual Report and Accounts 2009-2010,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 Kreitner, R. and Kinicki, A. (2010), Organizational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21. Planning & Research (2012), "2011 Follow-Up Survey of FAS Participants", Planning & Research, FAS.
  22. Sen, R. (2008), "2007 Employment Services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Planning & Research, FAS.
  23. Sen, R. (2011), "National Contact Centre Employer Customer Survey: July-December 2010", Planning & Research, FAS.
  24. http://www.dwp.gov.uk
  25. htp://www.doleta.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