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Theme Contents at Public Theme Park - Creation & Management of Public Theme Contents -

공공테마파크 특수영상에 관한 연구 - 공공테마파크 테마영상의 창작과 운영을 중심으로 -

  • 설기환 (청운대학교 방송영상학과) ;
  • 유석호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
  • 경병표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
  • 이동열 (공주대학교 게임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9.21
  • Accepted : 2015.11.20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Walt Disney World focused on Theme opened in 1955. Many Theme Parks such as Everland had opened in Korea. And also Public Theme Parks were established on purpose of finding cultural identity by province government. Most of the Public Theme Parks made special Theme Images to revive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be stronger public theme. But these creativities of the theme images are struggling by the lack technical ability as well. This study derived several problems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current issues and found out the future direction sought. Thus, the public theme images are to lead marketing and operating of public theme park by using storytelling and high tech, and look forward to getting position of the window to the future. In future, we must pay attention to study for creation methods and marketing, and plugging in new technology on public theme images. Continuing studies will support to enlarge the identity and educate traditional history through public theme images and park.

1955년에 테마를 중심으로 하는 월트디즈니월드가 열려서 세계적으로 테마파크의 열풍이 일었다. 우리나라도 에버랜드 등의 많은 테마파크가 조성되었다. 공공분야에서 문화정체성 찾기와 지방자치제도의 도입으로 공공적인 테마파크가 많이 조성되었다. 대부분의 공공테마파크들이 공공성이 강한 테마성과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 특수기술이 가미된 테마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런데 이런 테마영상들이 창의성은 물론 기술성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테마파크의 범위를 정의하고 공공테마영상의 창작과 운영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와 현황으로부터 현안문제를 도출하고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시대에 어울리는 공공의 테마영상이 테마파크를 주도해 나갈 방안을 제시하고, 공공콘텐츠의 새로운 창작방향에 의해서 기술과 창의가 뛰어난 공공테마영상의 질적 향상과 운영 등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나아가서 공공테마영상의 마케팅과 기술도입 방안 등의 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더해져서 공공테마파크가 새롭게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H. G. Lee, " The Principle of Tourism Laws", pp 216-248, 2000
  2. K. M. Kim, "Study on Influence to the purpose and sactisfaction of visiting by the Festival Image of Theme Park", Hanyang University, 2010
  3. C. K. Chung, "Storytelling in Cultural Contents", Book Korea, pp 68-77, 2009
  4. S. J. Lee, "Study on Animation Relation Model for revitalization of Theme Park in Korea", Sejong University, 2001
  5. S. J. Lee, "Study on the Function and Kinds of Special Images", Jungang University, pp19-32, 1991
  6. B. R. Min, "The History of World Film Technique", Munjisa, 2001
  7. S. J. Lee, "Study on the Function and Kinds of Special Images", Jungang University, pp46-49, 1991
  8. S. J. Park, "The Influence on the Knowledge of Brand & Purchasing Decision by Digital Story Telling", Hanyang University
  9. I. H. Lee, "Storytelling Evolution Theory", Pyeonam, 2014
  10. E, H. Joe, D. B. Lee, "Digital Storytelling", Bookhills, 2008
  11. H. S. Choi, "Culture Industry & Storytelling" Dahalmedia, 2007
  12. Kavin Lane Keller,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hall, 1998
  13. S. I. Joe, "Study on Elevation of Amusement by Making Theme Park on Darama & Shooting Place", Seoul Industry University, 2006
  14. Platform Advisory Group, "Speaking Plaform", Cloud Books, pp 84-117, 2012
  15. M. R. S대,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active Perception in Information Extensive Activity" Korea Foreign Universit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