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ask-Specific and Argument Structure Effects on Verb Production in Normal Elderly Adults: Animation vs. Picture Comparisons

과제 제시 유형 및 논항 수에 따른 노년층의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 차이: 애니메이션과 그림 비교

  • Choi, Su Jin (Dept.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
  • Sung, Jee Eun (Dept.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 최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Received : 2014.07.31
  • Accepted : 2014.09.2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 presentation methods (animation vs. picture) on verb naming abilities as a function of verb argument structures for normal elderly adult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two groups: animation group(n=21) vs. picture group(n=21). Data for the animation group were from obtained from Sung and Choi (2012). Percent of accuracy for the verb naming task served as a dependent measure for statistical analyses. After the years of education was controlled as a covariate, a two-way mixed ANOVA was performed with the group as a between-subject factor and the argument structure(1-, 2-, and 3-place) as a within-subject factor.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argument structure, whereas there were no main effects for either of the factors. The animation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picture group for one-place verb,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for the three-place verb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entation methods are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d verb naming abilities in elderly adults.

동사 이름대기 수행력은 논항 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만, 동사 논항 별 제시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사 이름대기에서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자극 제시 유형(애니메이션 vs. 그림)을 다르게 하였을 때, 동사 논항 수(1항, 2항, 3항)에 따라 동사 이름대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자는 만 60세 이상의 노년층 42명(남 : 13, 여 : 29)으로 제시 유형이 애니메이션인 집단은 성지은 곽은정(2012)의 연구에 참여한 21명과 그림 집단은 새로 모집된 21명이다. 연구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 및 논항 수에 관한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1항과 3항에서 논항 수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1항 동사는 그림에 비해, 동작의 주체만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으나, 동작과 관련된 논항 수가 많은 3항 동사는 정지된 그림 자극에서 이름대기 수행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정상 노년층의 경우에는, 논항의 수가 증가할수록, 애니메이션보다 그림 자극이 동사 이름대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