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te of worshiping heaven's ritual analysis from end of Koryo to beginning of Choson period

려말선초(麗末鮮初) 제천례(祭天禮)의 의례적 분석 - 명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07.25
  • Published : 2014.07.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examining the changing process of worshiping heav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For this, it was compared with book of national rites. This paper will outline the differences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its reason for changing process. Also, it shows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 characteristics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through analyzing conducted religious service. Following methodological approach was used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The study includes historical changing process and basic ritual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from Koryo dynasaty to King Sejo period through various chronicles and books of rites. Understanding the trend transition of operating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is expressed differently based on the situation in those days even though it is the same operation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The existing study only primarily considered the rites of worshiping heav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through the resources within the country. However,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is closely related to settlement of Confucian formality. As the problems cannot be solved if institutional changes are researched only though the resources within the nation, this following study also considered the transition of commemorative rites of worshiping heaven in China for sure.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understood how China's rites of worshiping heaven settled down and formed in Korea and found differences of the rites of worshiping heaven between the two nations by comparing China's book with ornamental "seal" characters throughout many generations. Furthermore, it also illustrate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rites of worshiping heave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by analyzing carried out religious service. Although it seems lik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of Chinese ritual procedure between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there are exis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xt. Moreover, it is clear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ritual between Tang, Song, Ming dynasty. These differences are directly connected to Korea and also with transition of king's power. Generally, Tang and Song dynasty show similar trend whilst Ming clar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or instanc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deep bow and superintendent of cho-hun, a-hun, and jong-hun. Transition of configuration is also one of the major differences. Changing of configuration has considerably important meaning refer to status of king's power. Analyzing specific features, such as size of altar, ancestral tablet, people who participate in sacrifices, okpye, configuration, and etc., made possible to consider the actual differences, not just examining different features of vaguely. Based on this foundation, the study closely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periods between the nations and gave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본 연구는 제천례의 변화양상을 고려, 조선 그리고 중국과의 의례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고려와 조선의 제천례는 표면적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내용상 의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유교적 의례인 제천례가 중국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국의 어떠한 시기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살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말선초 제천례의 변천과정을 의례 분석을 통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역대 예서와의 비교를 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우리나라 제천례의 차이점 및 변화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다. 또 실제로 시행된 제의를 분석하여 여말선초 제천례의 역사적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론적 접근을 하였다. 각종 연대기와 의례서를 통해 고려부터 세조대에 이르기까지의 제천례의 역사적 변천과정 및 기본 의식을 살펴보았다. 제천례 시행의 변화추세 파악은 동일한 제천례의 시행일지라도 당대의 시대상황에 따라 달리 표현된다. 기존의 연구는 여말선초 제천례에 대한 국내의 자료만을 주된 대상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제천례의 정착과정은 유교적 의례의 정착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제도적 변천은 국내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때문에 반드시 중국에서의 제천례의 변화모습과 관련하여 그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의 제천례가 우리나라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정착되고 있는지, 또한 중국 역대 예서와의 비교를 통해 양자의 차이점 및 변화의 원인을 찾아내고, 아울러 실제로 시행된 제의를 분석하여 여말선초 제천례의 역사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여말선초와 중국 제의 절차는 고려와 조선이 비슷하지만 실제의 내용상 차이가 존재한다. 또 당나라와 송나라 그리고 명나라에서의 의례절차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우리나라와도 직결되고 있으며, 황제권의 변화와도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대체로는 당과 송이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명나라가 이들 두 나라와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예컨대, 절을 하는데 있어서의 차이, 초헌 아헌 종헌의 주관자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또 배위의 변화 등이 있다. 배위의 변화는 황제권의 위상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제단의 크기, 신주, 분헌관, 옥폐(玉幣), 배위(配位), 종사(從祀) 등 구체적 분석은 막연하게 다른 모습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차이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토대위에 국가간, 시대간 차별성을 규명할 수 있었고, 그러한 차이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