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kdong Lee Seo's Historical View Examined through Yeokdaega

「역대가(歷代歌)」를 통해 본 옥동(玉洞) 이서(李漵)의 역사인식(歷史認識)

  • Yoon, Jaehwa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ankook University)
  • 윤재환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4.12.04
  • Accepted : 2014.12.22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This paper is to examine Okdong Lee Seo's historical view through analyzing Yeokdaega("歷代歌"), Okdong's full-length historical epic. As long as Okdong Lee Seo was a Confucian scholar holding moral cultivation as the highest value, his Yeokdaega is hard to explain separately from the Confucian world view. Okdong's Yeokdaega is a long old-style sino-korean poem consisting of 526 7-syllable verses, yet it considerably differs in structure from other historical epics known so far. Okdong's Yeokdaega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narrates Chinese historical facts from the beginning to the fall of Ming dynasty, and the second describes the social irrationality of the time and reveals his strong social criticism. It is very different from an ordinary historical epic piece narrating the orders and disorders and the rise and fall of historical facts. It is thought that Okdong's Yeokdaega was written based on his Confucian historical view. It seems that for Okdong the rise and fall of Chinese historical dynasties did not merely mean historical facts but functioned as a tool explaining the reason for people to persue moral cultivation. Okdong summed up his knowledge of the rise and fall of Chinese historical dynasties, his sharp criticism on social irrationality, and his stimulation about the necessity of moral cultivation, and then created a long 526-verse historical epic Yeokdaega. For the reasons, it is not easy to say that Okdong's Yeokdaega is the result of pure literary activities only for artistry. However, Okdong's Yeokdaega is not inferior to other historical epic pieces written by the time in literary value. Especially, Okdong's Yeokdaega can be said to be more meaningful since it was, over its literary value, not only a tool to strengthen his own study and will but also a educational tool for others around himself.

이 글은 옥동(玉洞) 이서(李?)의 장편 영사시(詠史詩) "역대가(歷代歌)"를 대상으로, 그 속에서 확인되는 옥동의 역사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옥동 이서가 도덕적 수양을 최상의 가치에 둔 도학자(道學者)였다는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유가적(儒家的) 인식세계(認識世界)와 구분하여 설명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옥동의 "역대가"는 7언 526구로 구성된 장편(長篇) 고시(古詩)인데, 지금까지 알려진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과 그 구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옥동의 "역대가"는 두 개의 큰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단락은 태초부터 명(明)나라 멸망시기까지 중국의 사적을 서술한 부분이고, 두 번째 단락은 당대 현실의 부조리를 서술하여 현실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을 드러낸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이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여 치란(治亂)과 흥망(興亡)의 사적만을 이야기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옥동의 "역대가"는 그의 유가적(儒家的) 역사인식(歷史認識)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이라 생각된다. 옥동에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는 역사적 사실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도덕적 수양을 추구해야 할 이유를 설명해 주는 도구로 작용하였다고 보인다. 옥동은 자신이 익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와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예리한 비판, 그리고 도덕적 수양의 필요성에 대한 자극을 모두 더하여 526구의 장편 영사시 "역대가"를 창작하였다. 그런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예술성을 목적으로 하는 순수한 문학 활동의 결과물이라고 하기에는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러나 옥동의 "역대가"는 그 나름의 문학성을 통해 이전까지 저작된 여타의 "역대가" 작품들과 비교하여 문학적으로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옥동의 "역대가"는 문학성과 함께 그 스스로의 학습과 자기 신념의 강화를 위한 수단이면서 동시에 그와 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의 도구였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