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재산업의 대 한국시장 경쟁력 분석 -화합물 및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Korea Market Competitiveness of Japan Materials Industry -Focus on the Compound and Chemical Products-

  • 김지용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학사지도부)
  • Kim, Ji-Yong (Academic Advising, Paramita Colleg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4.09.07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27

초록

한국의 교역수지는 지속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해 오고 있으나, 한 일간 교역수지는 만성적인 적자를 기록해오고 있으며, 최근 수출입통계 자료를 조사해 본 결과 이러한 문제에 일본산 소재품목들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산 소재품목들 중 교역수지 적자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합물 및 화학제품군 12개 품목에 대한 최근 8년간의 수출입통계를 기반으로 한국시장에 대한 경쟁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특정 품목의 일정 국가에 대한 경쟁력 분석에 주로 사용되어지는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시장별비교우위지수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12개 품목 중 농약과 화학섬유를 제외한 대부분의 관련 제품들이 한국시장에서 상당 정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사진용 화학제품 및 감광재료와 도료 및 인쇄잉크 제품은 50%를 상회하는 시장점유율, 0.8이상의 무역특화지수, 3이상의 시장별비교우위지수를 기록하여 한국시장내 경쟁력이 매우 우월한 제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 관련 산업의 발전과 무역수지 적자 해소를 위해서는 동 제품 생산 기업의 기술개발 노력과 정부 당국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책이 요구되어진다.

Korea-Japan trade has been trade deficit for a long time and therefore this matter must be a settled urgently for continuous economic growth of Korea. For reasons mentioned abov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Japan materials industry which has induced trade deficit in the Korea-Japan trade and this study analyzed competitiveness of Japan materials industry in the Korea market. This study special regard will be paid to the Compound and Chemical Products in Japan materials industry.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we collected related statistical data and Market Share Index,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used in study methodology From this analysis, we found that most of Japan material products have competitiveness in Korea market and chemical products used in photography & photo sensitized materials, paint & printing ink products particularly have very strong competitiveness in Korea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