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T R&D program of MKE/KEIT. [10039161,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high-physicality control interfaces and personalized intelligent user interfaces based on Smart TV user experience]
DOI QR Code
Background The role of design in product consump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reflecting and satisfying consumers’ aesthetic desires, has been well noted throughout the history. While recognizing its value as a driver for economic advancement, the society has often casted wary eyes and attempted to curve design-driven conspicuous consumption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fight between these two forces in the Chosǒn dynasty. Method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hosǒn Wangjo Silok,” the Annals of the Chosǒn Kindom between 1392 and 1910. Specifically, we identified sentences and phrases in Chosǒn Wangjo Silok,” that contained the information about the way Chosǒn dynasty had viewed and handled design-driven conspicuous consumptions. We then categorized these in terms which ruling king and which social class each phrase describes about, whether such consumptions were actually punished by the government, on which bases they were penalized, and so on.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logit analysi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cases in the later half than the first half of Chosǒn dynasty where design-driven conspicuous consumptions were recognized as individuals’ desires to express themselve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legal enforcement for excessive conspicuous consumptions was based on the concern for resource depletion rather than ethical considerations. Furthermore, the results find a greater number of punishment cases for an excessive conspicuous consumption when it was committed by the ruling class(Yang-Ban) than by commoners. Conclusion Although the Chosǒn dynasty has been characterized as the Confucius society which imposed modesty and frugality on all aspects of people’s lives, the government actually struggled to suppress the society’s desire to consume excessively decorative designs. The government framed a design-driven conspicuous consumption as a factor depleting the nation’s wealth as well as decreasing its moral standards. The government, however, relied more on the former argument than the latter as a reason for legal punishment.
연구배경 소비자의 미적욕구를 반영하고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디자인은 상품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점을 역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디자인적인 세련됨을 사치와 동일하게 생각하고 윤리적으로 또 합리적인이유로 억제해 왔는데 조선도 그 예외는 아니었다. 주자학이 지배하는 유교(儒敎) 이상국가(理想國家) 이념에 따라 국가가 개인을 억압하는 사회로 알려진 조선은 디자인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또 어떻게 사치를 억제하고 처벌했는지를 탐구해 본다. 연구방법 조선왕조실록의 각권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장신구”와 관련된 기록들을 추출하였다. 시대별로 문헌들을 내용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기록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왕실, 양반, 중인, 평민으로 나누었고 어떠한 이유로 사치를 억제했는지를 윤리성과 합리성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빈도분석과 함께 카이 스퀘어 분석, 로짓 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조선은 엄격한 신분제 사회를 통해 개인의 욕망이 표현될 기회가 거의 없었다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조선인들의 마음에도 사치스러움에 대한 욕망이 사회적 요구와 충돌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보았을 때 후기에 사치한 디자인의 소비가 더 억제되고 있었다. 조선은 신분제에 근거한 윤리적 강요보다는 검소해야 한다는 유교적 덕목에 의한 합리성이 디자인과 그 소비에 있어서 더 강조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힌다. 특히 양반계층의 검소(儉素)함을 더 강조하고 있고 사치(奢侈)를 금지하고 있다. 비윤리적 이유 보다는 비합리적이라는 근거로 사치스러운 소비를 처벌한다는 점을 로짓분석을 통해 발견하였다. 결론 한국 문화에서 강조되는 검소를 존중하고 사치하고 화려한 것을 배격하는 전통은 현대에 있어서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현대 한국인들의 미의식과 디자인 감각은 이러한 양면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잡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디자인의 역사를 내용분석과 실증분석을 통해 복합적으로 접근하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IT R&D program of MKE/KEIT. [10039161,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for high-physicality control interfaces and personalized intelligent user interfaces based on Smart TV use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