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Trust of Receptiveness for Balanced Scorecard in Business Incubator

입주기업의 성과관리 수용성이 창업보육센터 조직신뢰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6.19
  • Accepted : 2014.07.16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mpirically th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trust of receptiveness for balanced scorecard in tenant companies of business incubat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collected survey data for 216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using AMOS 18.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ceptiveness for balanced scorecard in tenant companies of business incubator has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significantly. Second, receptiveness for balanced scorecard in tenant companies of business incubator has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significantly. Third, organizational trust for business incubator has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significantly.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창업보육센터의 성과관리 수용성이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조직신뢰와 창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창업보육센터 입주 기업의 임직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입주기업의 성과관리 평가 수용성이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관리 수용성이 창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조직신뢰가 창업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장, 강준의, 김인동," BSC에 의한 성과평가제도의 인식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정보학회지, 제7권, 제3호, pp.15-43, 2004.
  2. 김병엽, AHP를 이용한 창업보육센터 평가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라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7.
  3. 김병태, BSC를 활용한 출연 연구기관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평가제도의 유효성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4. 남창우, 이명숙, "공공부문의 BSC 수용성 및 조직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조직구성원의 인삭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pp.165-190, 2008
  5. 김효준,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간의 관계", 경호경비학회지, 2011.
  6. 류도암, 공무원의 성과관리제도 수용성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지방자치단체 구성원의 BSC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7. 박정규, DEA를 이용한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청 지정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8. 이동엽, "제조 및 서비스 혁신: 혁신 일반,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창업보육센터의 평가모델 개발", 산업공학, pp.387-394, 2007.
  9. 이상석, "AHP를 이용한 창업보육센터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pp.163-178, 2002.
  10. 이장재, 김재영, 김현민, "공공부문의 성과평가: 과학기술계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균형적 성과평가시스템 구축-균형점수표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pp.57-92.
  11. 이재훈, 최익봉,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 조직연구, 제12권, 제1호, pp.93-132, 2004.
  12. 조주연,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 20권, 제4호, pp.259-261, 2010.
  13. 창업진흥원, "기술창업보육론", p.26, 2013.
  14. 최재원, AHP와 DEA를 활용한 창업기업의 경영성과 개선방안 연구: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15. 황순애, 호텔기업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이 경영전략, 조직변화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16. N. Eickelmann-ne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lanced scorecard as applied in government and industry organiz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evaluation methods and management, Hershey, PA: IDEA Group, 2001.
  17. R. S. Kaplan and P. David Norton-net,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uary, 1992.
  18. R. S. Kaplan, and P. David Norton-net,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y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6.
  19. D. J. McAllister, "Affect and cognition based trust as foundation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8, pp.24-59, 1995. https://doi.org/10.2307/256727
  20. P. R, Niven,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Hoboken: John Wiley & Sons, Inc.,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