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Feasibility of An Extra Stop Need at Kimpo Metro Station of AREX Express Trains

공항철도 직통열차 김포공항역 추가 정차에 따른 타당성 분석

  • Received : 2014.06.25
  • Accepted : 2014.08.22
  • Published : 2014.10.01

Abstract

AREX (Incheon Airport Railway Express) operates trains between Seoul and Incheon Airport. One type of trains stops on every 10 stations, and another only on the two end-stations which called an Express train. The passengers traveled on express trains are very small since there are only two stops, Seoul and Incheon Airport Stations. The passengers of express trains will be more attracted if the express train stops on the intermediate stops (Gimpo station) since Line #9 and Line #5 are connected to from Gangnam. An on-board surve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potential demand in case the express train stops at the Gimpo station. Further the costs required to improve platforms of the station were estimated to figure out the economic feasibility against the demand increases. It analyzed 938 increases for the case of intermediate stopping on the same travel time condition and 1,299 increases for the case of extra stop with decreased travel time. The study concluded the latter case appears desirable in the stance of long-term while both cases are economically feasible.

코레일공항철도는 서울역과 인천공항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열차종류로는 10개의 모든 역을 정차하는 일반열차와 시종착역만 정차하고 모든 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직통열차가 있다. 직통열차의 수요는 매우 저조한데 그 원인 중의 하나로 탈 수 있는 곳이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역 두 곳 뿐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잠재수요가 많은 김포공항역에 정차하여 9호선과 연결된 강남 수요와 5호선 수요를 수용하여 직통열차 운영수입을 증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공항역 정차 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열차에 직접 탑승한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통열차의 예상 수요와 정차 시스템 개선을 위한 소요비용을 도출하여 김포공항역 정차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속도변화 없이 김포역 추가 정차만 시행하는 경우 일일 938명, 속도향상과 함께 추가 정차하는 경우 1,299명의 증가가 예상되었다. 초기 시설개선비용이 많이 지출된다 하더라도 현재 표정속도를 유지한 대안 1의 경우는 5년 후, 대안 2의 경우는 6년 후부터 직통열차의 김포공항역 추가 정차에 따른 운영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항철도의 장기적인 인프라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속도향상과 병행한 김포공항역 정차가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REX a (2012). T/F report for maximizing of AREX operating incomes (in Korean).
  2. AREX b (2012). Minute of international business meeting with Japan Nankai Staff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