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niversary Days and Meals

한국인의 기념일 지향성과 식사의 관련성

  • 채정민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4.08.06
  • Accepted : 2014.09.22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niversary days and meals. To do so, three steps are carried out. First, literature review and mini focus group interview are performed to list up important anniversary days in our culture. Second, anniversary orientation scale(22 items) is developed. Third, a survey(n=486) i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and perceived economic level, psychological ariables such as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dividuality-relatedn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materialism as a valu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eal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emal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in anniversary orientation. And younger people(20~39 years old)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lder people(over 40ties) in anniversary orientation.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relatedn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materialism are, the higher anniversary orientation is. Lastly, middle and high anniversary orientation groups showed more meal frequency at the anniversary day than low anniversary orientation group.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인의 기념일 지향성과 식사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제1단계에서는 우리 문화에서 거론되고 있는 기념일들을 목록화하기 위해 문헌 조사와 20대~50대의 남여 각 2명, 총 4명을 대상으로 미니 포커스그룹인터뷰법(mini 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여 78개의 기념일 목록을 구성하였다. 제2단계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22개 문항으로 구성된 기념일 지향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제3단계에서는 이 기념일 지향성 척도를 중심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 연령, 지각된 경제적 수준, 심리적 변수인 자기존중감, 생활만족도, 우울감, 사회적지지, 개별성과 관계성, 대인영향력에 대한 민감성, 가치관 변수인 물질주의 가치관, 그리고 식사 행동(식사 빈도)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만 20세~ 62세까지 총 486명(남자 200명, 여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기념일 지향성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 20대와 30대가 40대 이상의 집단에 비해 기념일 지향성이 높았다. 그리고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관계성이 높을수록, 대인영향력 민감성이 높을수록, 물질주의 가치관이 높을수록 기념일 지향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기념일 지향성이 중간 이상인 경우에는 그 이하인 경우에 비해 기념일에 식사를 하는 빈도가 유의미하게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Keywords

References

  1. L. Dube, L. J. Label, and J. Lu, "Affect Asymmetry and Comfort Food Consumption," Physical and Behavior, Vol.86, pp.559-567, 2005. https://doi.org/10.1016/j.physbeh.2005.08.023
  2. B. Wansink, M. M. Cheney, and N. Chan, "Exploring Comfort Food Preferences across Age and Gender," Physiology & Behavior, Vol.79, pp.739-747, 2003. https://doi.org/10.1016/S0031-9384(03)00203-8
  3. 김미정, 정효선, 윤혜현, "대학생의 식생활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10-217, 2007.
  4. 연합뉴스, "식품.외식산업 규모 133조...10년새 두 배 급성장", 2012년 6월 13일.
  5. 전영직, "외식산업의 인터넷마케팅 효과에 관한 연구: 대전사랑 외식산업회원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424-43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1.424
  6. 이상미, 황대욱, "외식산업에서 약선(藥膳)음식의 인지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1호, pp.65-73, 2006.
  7. L. Rappoport, How We Eat: Appetite, Culture, and the Psychology of Food, ECW Press, 2003.
  8. R. Sokolov, Fading Feast: A Compendium of Disappearing American Regional Foods, Nonpareil Book, 1998.
  9. 조미숙, 정혜경, 이정혜, "서울 음식문화에 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55-167, 1996.
  10.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11.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 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0.
  12. 조미숙, "한국인 삶에 나타난 사상체계 속 식생활 문화", (주) 농심 음식문화원 개원기념포럼, pp.41-54, 2009.
  13.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 세계와 음식 문화", 제4회 (주) 농심 음식문화원 음식문화포럼, pp.1-22, 2009.
  14. 김인술, "한국인의 상징 세계와 식재료", 제4회 (주) 농심 음식문화원 음식문화포럼, pp.23-38, 2009.
  15. B. Anderson, 윤형숙 역,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 사회비평사, 1991.
  16. 김민환, 한국의 국가기념일 성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17. E. Zerubavel, Hidden rhythms: Schedules and calendars in social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1985.
  18. 김성윤, "기념일의 재구성: 포스트모던 기념일의 사회 원리", 문화/과학, 제69호, pp.80-88, 2012.
  19. 김미정, 최선영, "기혼여성의 자아와 가족질서의 균열-봉합: 기혼여성들의 명절, 제사 경험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제5호, pp.133-187, 2005.
  20. 신진해, "자녀 명절 수입만 모아도 20대에 천만원은 가뿐", 도시문제, 제44권, 제484호, pp.68-69, 2009.
  21. 원지영,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제16권, 제9호, pp.125-150, 2009.
  22. 홍경자, 유정수, 나를 사랑하기 : 자기존중감 향상법, 서울:교육과학사, 1996.
  23. L. K. George, "Subjective Well-Being: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2, pp.345-382, 1975.
  24. APA(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1994.
  25. K. H. Carole and J. H. Charle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Aging :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Vol.42, No.1, pp.65-68, 1987. https://doi.org/10.1093/geronj/42.1.65
  26. S. Cohen and S. L. Syme,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 S. L. Syme(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3-22, Orlando, F. L.; Academic Press, 1985.
  27. 진기남, 조성남, 윤경아, "농촌 노인들의 사회적 지원망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15권, 제2호, pp.1-13, 1995.
  28. 김동직, 한성열, "개별성-관계성 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2권, 제1호, pp.71-93, 1998.
  29. H. H. Kelly, "Two Function of Reference of Groups," In G. E. Swanson, T. E. Newcomb, & E. L. Hartley (Eds.), Reading in Social Psychology(pp.410-414),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47.
  30. W. O. Bearden, R. G. Netemyer, and J. E. Teel, "Measurement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5, pp.473-481, 1988.
  31. 주섭종, "소비행동에 있어서 물질주의 성향과 정보탐색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26권, pp.257-285, 1995.
  32. 이은영, 지각된 감정이 음식 선호와 레스토랑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R. L. Kahn and T. C. Antonucci, "Conveys over Life Course: Attachment, Role, and Social Support," In P. B. Baltes & O. Brim(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Vol.3, pp.253-286, Boston: Lexington Press, 1980.
  34. 유성은, 권정혜,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6권, 제2호, pp.67-84, 1997.
  35. L. S. Redloff,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36.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연구 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1권, 제1호, pp.437-445, 1992.
  37.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8.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