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확장성과 전통 연희에 대한 소고(小考): 2006년 <무한도전> 등장 이후를 중심으로

On the Real Variety Show since "Infinite Challenges": A Study of its Expandability and Comparison with Traditional Theatrical Performances

  • 김진섭 (동국대학교 만해마을캠퍼스 교육원)
  • 투고 : 2014.06.20
  • 심사 : 2014.07.30
  • 발행 : 2014.08.28

초록

산업혁명으로 대중들의 여가시간과 함께 등장한 버라이어티 쇼는 현대 사회에서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확장되어왔다. 특히 한국의 버라이어티 쇼 역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전해왔지만, 저급하다는 비난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리얼 버라이어티 쇼가 대중들로부터 열렬한 반응과 함께 단순히 오락 프로그램으로 소비되지 않는 가운데 한국형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형식과 스타일로 발전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도 주목받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개방성과 확장성이라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특징에 주목했다. 최근 우리 리얼 버라이어티쇼는 서구의 경험과 관계없이 근대 이전의 한국 전통 연희에서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 연희는 대중들의 생활공간을 무대로 했고,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공연에 참여하여 즐기면서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것도 그 예라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 연희의 특성은 현재 리얼 버라이어티 쇼가 특정 포맷이나 장르로 정착되지 않고, 앞으로도 풍부한 콘텐츠를 축적해가며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지속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variety show has expanded as a contemporary genre of popular culture since it first appeared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allowed the public to enjoy their leisure time. In Korea, it has developed itself in similar ways, but it also has been criticized as low-brow. Recently, however, the real variety show has caught great attention as one of the social phenomena and is winning fervent responses from general publics as it is not consumed as a kind of entertainment show but is establishing its form and style as Korean real variety show. On the basis of these featur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l variety show as openness and expandability which can be found in the pre-modern Korea's traditional theatrical performances. Quite different from the cases in the Western culture, the Korean traditional theatrical performances used to set a stage up around the living space, attract audience to willingly approach the stage and participate in the theatre, and let them enjoy their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erfection of the shows had not been missed. And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theatrical performances, the present real variety show reveals the anticipation that the real variety show will not settle down just as a certain format or a genre, but accumulate its abundant contents and continue its new attempts and chan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구,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pp.18-19, 1993.
  2. 강태영, 윤태진, 한국TV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한울아카데미, p.39, pp.93-100, 2002.
  3. 김선남, 원용진, 정현욱, "드라마 '인어 아가씨' 시청자의 해독에 관한 연구", 한국 지역 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2호, 2005(8).
  4. 김선남, 장해순, 정현욱,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형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8-1호, 2004.
  5. 김월덕, "마당극의 공연학적 특성과 문화적 의미", 한국극예술연구, 제11집, pp.349-350, 2000.
  6. 김재석, 일제 강점기 사회극 연구, 태학사, pp.202-235, 1995.
  7. 김재석, "마당극 정신의 특징", 한국극예술연구, 제16집, pp.352-355, 2002.
  8. 김학주, "나례(儺禮)와 잡희(雜戱)", 아세아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제6권, 제2호, pp.111-112, 1963.
  9. 김효, 영상매체 시대의 연극, 연극과 인간, 2009.
  10. 김훈순, 박동숙, "현실과 상징 세계의 여성의 삶; 여성 TV수용자의 인식을 토대로", 한국방송영상 산업진흥원, 프로그램/텍스트, 제6호, 2002(7).
  11. 박명진, 텔레비전 속 패러디하는 즐거움과 한계, 한국언어문화, pp.11-12, 2000.
  12. 박노현, "극장의 탄생", 한국 극예술연구, 제19집, pp.12-13, 2004.
  13. 박재환 외, 근대사회의 여가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pp.3-4, pp.47-55, 1997.
  14. 박주연,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연구서 2005-10), 한국 언론재단, 2005.
  15. 박진태, "탈춤과 TV 마당놀이의 관련양상",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제33권, 2001.
  16. 서연호, 한국 전승연희의 원리와 방법, 집문당, pp.13-14, 1997.
  17. 신재훈, 대중영상매체의 문학텍스트 개입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pp.15-16, 2000.
  18. 안창현, 게임, 요리대결, 퀴즈 등의 버라이어티쇼가 주류, 해외방송정보, pp.1-3, 2007(8).
  19. 양정혜, "텔레비전의 사회적 이용; 국제결혼 한인 여성들의 TV이용 동기와 유형에 대한 고찰", 한국 지역 언론 연합회, 언론과학 연구, 제1권, 제2호, pp.104-140, 2001(8).
  20. 원용진, 텔레비전 비평론, 한울아카데미, 2000.
  21. 유민영, 한극근대연극사, 단국대 출판부, pp.80-96, 2000
  22. 이오현,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 연구; 다의성 (polysemy)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제46-6, pp.96-126, 2002.
  23. 이오현,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일일 드라마 '보고 또 보고'의 사례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1-4호.
  24. 이영미,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한국 종합예술학교 한국예술연구소, 1996.
  25. 이재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황과 쟁점, 언론과 정보, 제2호, p.16, 1996.
  26. 임종엽, 상상과 욕망의 시공간 극장의 역사, 살림출판사, p.16, 2005.
  27. 임진택, 새로운 연극을 위하여:'마당극'에 관한 몇가지 견해, 민속극 정립을 위한 자료집, 우리마당, 제2권, p.52, 1987.
  28. 전규찬, 박근서, 대중문화 속의 웃음, 그 한계와 가능성, 열림원, p.38, 2003.
  29. 정영희, "<내 이름은 김삼순>에 대한 수용자의 현실적 공감과 즐거움에 대한 연구", 한국 언론학보, 제51권, 제4호, p.34, 2007.
  30. J. G. 카웰티, 도덕성과 현실도피의 문화,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2000.
  31. 주영호, "지상파방송의 주말 18시간대 프로그램 제작 컨셉트에 대한 이해와 비판", 프로그램 텍스트, 통권, 제6호, 2002.
  3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33. 한희정, "인터넷 게시판 수용의 드라마 해독 연구; 멜로드라마 '피아노'의 사례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2호, 2002.
  34.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 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pp.266-275, 2004.
  35. 홍지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한국방송학보, 통권23권, 제2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