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ers' Perception on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from Gifted Education in Science

발명영재교육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4.07.20
  • Accepted : 2014.08.21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recognize the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more than 500 hundred school teachers to ask (1) i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is necessary as an independent area of gifted education, (2) i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in identification, education programs, councelling, facilities and so on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3) what problems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re facing and how we can promote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Findings by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1. Almost all teachers, regardless of whether their duty i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or no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s an independent area of gifted education, especially from gifted education in science. 2.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in diverse aspects of gifted education, like identification, educational programming, and so on, especially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3. Teachers recognized the shortage of trained teachers as the most critical obstacles to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nd also thought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means that can promote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본 연구는 국내 영재교육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발명교육'이 영재교육의 독립적 영역으로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현장 교사들의 인식분석을 통하여 판단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총 576명의 현직 교사들로서 직무연수 등의 기회를 통해 배포된 인쇄된 설문지나 이메일을 통해 안내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조사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정보는 교사들 대부분(93.9%)이 발명영재교육이 별도의 영재교육 분야로서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발명영재의 특성, 교육프로그램, 담당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 진도지도 및 상담, 선발방식, 필요한 교육시설 등 다양한 측면에서 수학이나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과 뚜렷한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존 국내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발명영재 특성의 차별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로는 지식기술역량에 해당하는 3가지 특성 중 3가지 모두, 통합창의역량에 해당하는 3가지 특성 중 2가지, 인성역량에 해당하는 4가지 특성 중 1가지가 발명영재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명영재교육은 선진 외국의 영재교육에서 충분한 이론적 근거를 얻거나 관련 프로그램의 선례를 찾아볼 수는 없더라도 국내 영재교육에서 이미 독립적인 한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이 해외의 영재교육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맹희주, 서혜애(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 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 내용 및 수업 활동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2. 서예원, 김아름, 문대진, 김효미 (2014). 영재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센터.
  3. 서혜애, 조석희, 김홍원, 정현철, 손연아 (2002). 공교육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2002-29. 한국교육개발원
  4. 유영길(2007). 발명영재반 운영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 1(2). 145-155.
  5. 육근철, 최석남, 한승록, 박상태, 류지영, 맹동술, 원희정, 김유상, 이재복, 천가경(2011). 발명영재 선발을 위한 자유선택형 다단계 선발 모형 및 관찰 추천제. 영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초교과형 발명영재육성.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6.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2012). 발명 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영재교육연구, 22(3), 551-573.
  7.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8. 이재호, 박경빈(2014). 발명영재들의 ICT 관련 인식에 대한 조사. 영재교육연구, 24(3),463-477.
  9. 최유현(2007).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4). 171-193.
  10. 최유현, 이경화, 반재천, 임윤진, 강경균, 김동하, 박기문 (2010). 발명영재 선발도구 개발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1. 특허청(2007).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학교발명협회.
  12.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G.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115-154). Norwood, NJ: Ablex.
  13. Stankowski, W. M. (1978). Definition. In R. E. Clasen & B. Robinson (Eds.). Simple gifts: The education of the gifted, talented, and creative.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Exension.
  14.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VanTassel-Baska, J. (2002). Considerations in evaluating gifted programs. The Communicator, 33(2),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