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reparation and the R&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 Focused on the startup support program's modified effect -

기술창업자의 창업준비정도가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지원사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4.11.05
  • Accepted : 2014.11.26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engaged in the related industry, and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program on R&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core variables that impacts most on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validity of such variables and their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 can be contentious. The study sets hypothetical variables as following. Intensity of preparation of the startup company, amount of preparation and amount of work experience in related industry are independent variable.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program was selected as a moderating mediating vari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ensity of prepar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D performance, as opposed to work experience of the founder having a negative relationship on R&D performance. The amount of support program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D performance. Furthermore, there are negative modified effect between the amount of support program and work experience.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modified effect between support program and work experience. Existing policies tend to lean heavily toward young entrepreneurs through support and guidance. The government has placed great emphasis on policies that aim to promote and create jobs for young individual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view their policies toward young technological entrepreneurs and that these entrepreneurs should prepare thoroughly before launching any startups.

본 연구는 범국가적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정책이 우선 국정과제로 대두된 오늘날 과연 창업자가 얼마나 잘 준비하여야지만 성과를 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은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기업의 성과는 기술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기업들의 업력이 주로 2~3년차의 초기 기술창업 기업임을 감안하여 우선 얼마나 기술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중점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고 할 것이나, 과연 어떤 변수가 기업의 성과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회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준비정도를 기술창업자가 실제로 창업을 준비하는 기간인 창업준비기간과 창업하기 전 직무경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업종종사기간을 독립변수로 또 조절변수로는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하는 각종 창업지원사업의 활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지원사업수혜금액을 가지고 기술적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기술창업자의 창업준비기간은 기술적 성과에 유의적인 정(正)(+)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기술 창업자의 동업종 경력을 확인할 수 있는 동업종종사기간은 기술적 성과에 일반적인 기대와 달리 부(否)(-)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또, 지원 사업수혜금액과 동업종종사기간 사이의 조절효과는 부(否)(-)의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창업준비기간과는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범국가적으로 각종 정책이 수립 집행되는 현실에서 과연 창업정책 입안자들이 어떻게 정책적 고민을 해야 하는지와 창업예정자나 창업을 준비 중인 사람들이 어떻게 창업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미력하나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