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al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calization: Focused on Cultural Contents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 Lee, Byung-Min (Department of Digital Culture & Contents, Konkuk University) ;
  • Lee, Won-Ho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University)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 이원호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Received : 2014.05.07
  • Accepted : 2014.05.22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im to do observation to 1) Trajectory of cognitive-cultural economy growth with regional historical context, 2) Spatial, cultural and social change caused by cognitive-culture economy growth, and 3) Draw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glocalizational view. They said that 'Creativity' has been related with spatial, economical, cultural and social change and it leads to new economical system, what we call 'Cognitive-cultural economy'. It is the important event which is to affect economic geography and local development greatly. New cultural changes are characterized by variations from abstract discourse to concrete reality and show the emphasis on real project specific in the region. Further more, possibility of local development in the glocalization found in the specific form of cultural content, for example, Korean Wave. New media environment changes that include SNS function not only interact each other in space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local units and cultural content to the world. In order to enhance the further development of local content, it will require conjunction with space and specific region, variety of organic link between the principal participant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for future development.

본 논문은 지역의 역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인지문화경제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공간적 변화 및 문화 사회적 변동을 '글로컬라이제이션'이라는 주제로 관찰하고 함의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특히 최근 창조경제에서 중요한 '문화콘텐츠'분야에 집중하고자 한다. 오늘날 대두되고 있는 '창조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간 경제 사회문화적인 변화의 관련성과 깊은 연관을 맺어왔다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이 '인지문화경제'라고 하는 새로운 경제체제로 변화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경제지리와 지역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지역발전을 주도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 따른 문화변동의 특징은 재현과 이미지의 해석 등 추상적인 담론에서, 지역단위에서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프로젝트로 등으로 대변하게 되며 보다 구체적인 특징을 지니게 된다. 더 나아가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지역발전의 가능성은 한류와 같은 문화콘텐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NS 등과 같은 현대 미디어의 환경은 서로 소통하는 공간의 기능뿐만 아니라 로컬 단위의 콘텐츠를 전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공간을 확대시키고 있다. 향후 글로컬 콘텐츠의 보다 높은 가능성을 위해 공간과 지역의 연계 강조, 다양한 주체들의 유기적인 연계와 활성화, 로컬 단위의 발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의 주기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