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투고 : 2014.04.30
  • 심사 : 2014.06.17
  • 발행 : 2014.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ficiency level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f mathematics test item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2010 to 2012,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assessing mathematics in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level' students could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mathematical terms and symbols as well as various mathematical properties prese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Proficient level' students tended to feel difficult to apply linear function, properties of a plane figure, and a solid figure, while 'Basic level' students seemed to have trouble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almost all areas.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and to strengthen teaching, particularly, the areas of number and ope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