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 3성의 이식지명에 관한 연구 I -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Place Name of Migration in Thre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I : Case of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 투고 : 2014.02.21
  • 심사 : 2014.04.20
  • 발행 : 2014.05.31

초록

본 연구는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 마을 지명을 분석하여 한반도에서 유래된 이식지명의 분포와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변조선족자치주에 분포하는 2,015개 마을 중, 조선족 거주지역은 945개 마을로 분석되었 다. 조선족 거주지 지명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에서 유래된 이식지명은 51개로 파악되었다. 중국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한반도 기원의 이식지명은 현재까지, 34개 지명이 소실되었고, 유지된 지명은 16개, 그리고 소실 후 다시 복원된 지명은 1개로 나타났다. 이식지명은 명명 방법에 따라 소지역 직접이식, 대지역 직접이식, 병합이식으로 나눌 수 있었다. 소지역 직접이식은 전북 정읍, 무주와 같이 기원지와 도착지 지명이 같은 경우, 대지역 직접이식은 강원도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어 명명한 강원촌, 그리고 병합이식은 함경도 길주와 석성면 지명이 결합되어 길성촌으로 명명된 경우가 예가 된다. 본 연구결과는 민족의 이주과정 및 정체성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types and distribution for place name of migration derived from Korea Peninsula by analyzing villages name of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Village names of Yanbian Korean were identified as 945 out of 2,015. Place name migrated from Korea Peninsula was turned out 51 villages. Up to the present time in the Transition of China, 34 place names were disappeared, maintained place names were 16, and rehabilitated place name after loss was 1. The place name by naming method were classified as small area directed migration, large area directed migration, and merged migration. In case of small area directed migration, origin and destination is same such as Jeongeup and Muju, Cheonbuk, large area directed migration is named case by region migrants like a Gangwonchon named by people moved from GanwonDo, and merged case combine initials with each village names in case of GilseongChon by colligated Gilju and Seokseongmyeon. The results will be expected to support research information for identity and ethnical migration proc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