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식에 터한 진로 상담 운영 실태와 요구조사

Research on the Status and Needs of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Daejeon

  • 투고 : 2014.02.09
  • 심사 : 2014.03.24
  • 발행 : 2014.03.30

초록

이 연구는 특성화고의 진로 상담 운영 실태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특성화 고 진로 상담 운영의 개선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진로 상담 운영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입학 결정 시기는 중학교 3학년의 시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시기의 진로 상담은 성적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적성과 능력, 소질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특성화고와 연계하는 체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 상담이 주로 담임교사와 이루어지는 점으로 보아 담임교사의 상담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담임교사의 업무가 과중되어 이를 분담할 수 있는 상담교사의 확충, 전문적인 상담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계열에 따른 진로 상담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상담 내용, 상담 방법, 상담 형태 등을 달리하여 계열의 성격에 맞는 커리큘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career counseling based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Daeje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career counseling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rough the evaluation of current situation and student's need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decided their admission into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hen they were three grades in middle school. It indicates that career counseling teacher plays important roles during that time. Thu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to develop the various programs to seek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from the period of middle school. Thu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career counseling teachers and to develop the various programs to seek student's aptitude and talent from the period of middle school. Second, since most of career counseling takes place primarily with class teacher, professional counseling education for class teachers is required. It also needs to expand the specialized counselors to reduce the overburden of class teachers and develop various counseling programs.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need the specialized counseling programs according to their major. Effective group counseling programs as well as one-on-one counseling programs which can help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should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2.06.15). 2013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보도자료.
  2. 김강호(2009).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지도 활동이 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학회연구, 28(4), 183-200.
  3. 김병숙, 손민아(2005). 진로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 자기 효능감 분석. 한국진로교육연구, 18(2), 172-198.
  4.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2007). 학교진로 상담. 학지사.
  5. 김선묵(2000). 상업계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양훈(2006). 공업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 변화와 진로 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7. 김충기(1995). 미래를 한 진로 교육. 양서원.
  8. 김충기(2000). 진로 교육과 진로 상담. 동문사.
  9. 김향희(2007). 상업정보 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류성희(2007). 특성화고 학생들의 계열별 교육에 따른 진로 의식 차이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박인화(2001). 중학교 진로 상담 활동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박종학(2012). 진로진학상담교사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요구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박지숙(2014).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저소득층 초등학생의 경험분석 : 진로발달, 진로장벽,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방형욱(2009).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 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배은혜(2007). 특성화고의 진로 지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송병일, 박영주(2009). 직업진로설계와 취업전략. 학지사.
  17. 송태순(2014). 중등학교 상담의 운영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오헌석 외(2010).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 비교 연구. 직업교육연구, 29(2), 245-265.
  19. 이현림 외(2003). 현대진로 상담. 학지사.
  20. Super, D. E.(1951). Vocational adjustment: Implementing a self-concept. Occupations, 30, 88-92.
  2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서비스. http://kess.kedi.re.kr/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