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기술교과 '제조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STEAM 체험활동 과제 개발

Development of hands-on activities of STEAM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Automation' unit Technology subject in Middle school

  • 투고 : 2014.02.20
  • 심사 : 2014.03.24
  • 발행 : 2014.03.30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제조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STEAM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 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준비, 개발, 개선 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준비단계에서는 STEAM 체험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분석과 준비 단계로서 체험활동 목표를 설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체험활동 과제를 선정하고 적절한 수업 모형을 이용하여 최종 과 제를 개발하였다. 개선단계에서는 개발된 체험 활동 과제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와 중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된 STEAM 체험 활동은 스마트폰용 접사&망원경 KIT, 목제품을 이용한 판화 만들기이며, 각 체험 활동의 구성은 설계 개요, 재료, 평가 기준, 수업과정안, 포트폴리오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STEAM 체험활동 과제가 중학교 제조기술 단원의 실습은 물론 방과후학교, 발명반, 과학교실,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등 에서 널리 활용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EAM hand-on activity task for middle school manufacturing & automation unit. This study was conducted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of all, I carried out documents research and requirements analysis. And the goals for STEAM hand-on activity were set at this stage. Second, topics for STEAM hand-on activity were selected, and the organized for designing hand-on activity related STEAM in the development step. Finally, pilot and field 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amend and/or complement in improvement step. The theme and/or title of the hand-on activities were 'Making the print using wood', 'Making the close up photography & telephoto lens for smart phone'. The STEAM hand-on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ten hours for each subject respectively. Each hand-on activity consists of problem situation, objectives statement, materials and tools, an evaluating criteria, related knowledge, portfolio and so 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년 12월 17일자 업무보고 자료.
  2. 김동입(2008). 기술교육에서 문제 해결의 단계별 능력을 기르는 체험활동 과제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4. 김문종(2011). 기술.가정 '전자 기계 기술' 단원에서 STEM통합교육을 위한 녹색자동차 모형 만들기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진수(2007). 과학(S)-기술(T)-공학(E)-수학(M)을 통합한 STEM 통합교육의 태동. 교육연구, 27(9), 18-21.
  6.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방법인 STEM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7. 김학진(2012).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뮤직 로봇'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문대영(2008). STEM통합 접근의 사전공학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9. 문찬원(2012).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지게차 모형'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박소정(2012). 기술.가정과 "전자 기계 기술" 단원에서 오토마타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1. 배선아(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배협(2012). 중학교 발명수업에서 롤링볼 만들기의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석현희(2012). 기술.가정과 "전통기술의 이해" 단원에서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송정범(2010). STEM통합교육을 위한 교실친화적 로봇교육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이동윤(2010). STEM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기술교사 인식과 요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이상갑(2001).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기술교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이학용(2012). 융합교육(STEAM)을 활용한 고등학교 물리수업방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장수웅(2002b). 체험활동 중심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 개발 모형, 교육과정연구, 5(1), 87-97.
  19. 정진우(2013). 기술교육에서 체험활동 과제 개발 절차 탐색 및 내용 구성 방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127-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