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into Happiness of Two Elementary Gifted Students

  • 투고 : 2014.05.25
  • 심사 : 2014.06.22
  • 발행 : 2014.06.30

초록

이 연구는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하여 주목한다. 두 명의 초등영재아동 사례를 통해 이들이 인식하는 행복 경험과 행복하지 않은 경험, 이들의 행복 조건, 더불어 이들이 행복 관련 부정정서를 줄이고 더 행복하기 위해 하는 노력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므로 영재들에게서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두 명의 초등영재 아동은 그들이 경험하는 강한 행복 경험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한다는 것'과 '내 힘과 노력으로 이루는 성취의 희열' 그리고 '가족의 신뢰와 사랑, 지지'를 이야기하였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며 두 초등영재아동은 '내가 좋아하는 활동으로 마음 다스리기', '될 때까지 하고 또 하기'를 통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두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행복에 있어 인지적 측면의 지원만큼 정서적 측면의 지원이 중요하며 영재아동의 정서 문제에 부모 변인이 절대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과도한 간섭과 개입이 자녀를 잘 키운다는 것과 구분되는 것임을 본 연구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현장적 논의점이 탐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explore two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ppiness experience'. They narrated that they experienced strong happiness at the moment 'doing something they really like for themselves ', 'trying and achieving in self-directed way', and 'feeling trust, love, and support from their family'. Also happiness was the results of their effort. They made an effort to reduce their negative emotion against happiness by 'controling their feeling doing something their favorite activities' and 'working again and again until they succe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s well as help in the cognitive aspects is important. Especially, parents variable wa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m to have happiness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how that overgovernment and excessive intervention from parent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good caring' of their chil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in depth.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복인 (201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 행복과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의철, 박영신, 곽금주 (1998). 건강심리학, 산업 및 조직심리학/건강심리학회 소심포지움 :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부모, 교사, 친구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pp. 175.
  3. 권세원, 이애현, 송인한 (2012).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의 적용. 한국청소년연구, 23(2), 39-72.
  4. 박영희 (2008). 초등학생과 부모의 행복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혜영 (2005). 영재반 학생과 평재반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행복지수, 낙관성, 감성지수에 관한 비교 연구: 중학교 과학영재반과 수학영재반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성보훈, 윤선아 (2010).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뇌교육연구, 6, 103-134.
  7. 송인섭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8. 송창용, 손유미 (2013). 청소년의 행복 결정 요인. 제8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 10, 195-215.
  9.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0. 신 미, 전성희, 유미숙 (2012).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 생활적응 간의 관계 분석. 한국아동학회, 33(1), 81-92.
  11. 신현숙 (2003). 영재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완벽주의 성향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염지숙 (2002).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13. 이병임, 류형선 (2011). 고등학생의 학교 유형과 성별에 따른 행복 비고. 영재와 영재교육, 10(3), 117-132.
  14. 이은희 (2013).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서지능과 창의적 성향 비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현응, 곽윤정 (2011).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7), 59-83.
  16. 윤여홍 (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 53-71.
  17. 윤여홍 (200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일반, 19, 79-101.
  18. 윤재은 (1994). 영재집단의 학교생활 적응과 스트레스 및 그 대처 방법: 특수목적고교와 인문고교의 비교. 연세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형철 (1992). 영재아의 학교 적응에 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경원 (2000).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요강. 서울: 학지사.
  21. 전미란 (2013).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영재교육연구, 23(1), 25-47. https://doi.org/10.9722/JGTE.2013.23.1.25
  22. 정광순 (2006). 초등학생의 유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9(2), 117-139.
  23. 조성연, 신혜영, 최미숙, 최혜영 (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30(2), 129-144.
  24. 주정흔 (2010). '즐거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 인류학연구, 13(3), 71-102.
  25. 진석언 (2002). "당신의 자녀는 행복합니까?": 영재교육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재검토. 한국영재학회.
  26. 한기순, 김영미 (2008). 영재들은 행복한가?: 영재, 잠재적 영재, 일반학생의 행복관련 정서적 특성비교. 영재교육연구, 18(3). 519-542.
  27. 현정수 (2011). 청소년 행복의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적 재구성과 척도 개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Britzman, D. P. (1991). Practice makes practice : A critical study of learning to teach.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9. Carr, D. (1986). Time, narrative, histor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30.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1.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90).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19(5): 2-14.
  32.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3. Diener, E., Sandvik, E. & Pavot, W. (1991):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intensity of positive versus negative affect.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 (E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119-139). Oxford: Pergamon Press.
  34.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35. Maclntyre, A. (1981).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Notre Dam: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36. Mattingly, C. (1991). Narrative reflection on practical actions: Two learning experiments in reflective storytelling. Schon, D. ed. The reflective turn(pp. 235-25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7. Moon, J. (1991). Korean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s attitude toward family, teacher, friend and self as seen through setence completion test. Paper presented at the 9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Hague, August, 1991.
  38. Parker, J. G., & Asher, S. R. (1989).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 357-389.
  39. Polkinghome, D. E. (1988). 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0.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41. Webb, J. T., Meckstroth, E. A., &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Columbus, OH: Chio Psychology Publishing Company.
  42.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and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