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Explosion Risk Characteristic of Hydrogen blended Natural Gas

HCNG 혼합연료의 폭발 위험 특성 분석

  • 강승규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 김영구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 권정락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Received : 2014.11.02
  • Accepted : 2014.12.10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HCNG fuel using a simulation tool. The damage caused by the storage container explosion and vapor cloud explosion in a gas station was predicted. In case of an vapor cloud explosion in the HCNG station, 50~200kPa explosion pressure was predicted inside the station. When the cylinder explosion was occurred, in case of hydrogen, the measured influential distance of overpressure was 59m and radiant heat was 75m. In case of CNG, influential distance of overpressure was 89m and radiant heat was 144m would be estimated. In case of 30% HCNG that was blended with hydrogen and CNG, influential distance of overpressure was 81m and radiant heat was 130m were measured. The damage distance that explosive overpressure and radiant heat influenced CNG was seen as the highest. HCNG that was placed between CNG and hydrogen tended to be seen as more similar with CNG.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해 HCNG 연료의 폭발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충전소의 대량 가스누출로 인한 증기운 폭발과 저장용기 폭발에 의한 피해 범위를 예측하였다. HCNG 충전소에서 증기운 폭발이 발생할 경우 충전소 내부에 50~200kPa의 폭발압력이 형성되었다. 저장용기가 폭발할 경우 수소의 경우 과압이 미치는 거리는 59m, 복사열이 미치는 거리는 75m로 측정되었다. CNG의 경우 과압이 미치는 거리는 89m, 복사열이 미치는 거리는 144m로 예측되었다. 수소와 CNG를 혼합한 30%HCNG의 경우 과압이 미치는 거리는 81m, 복사열이 미치는 거리는 130m로 예측되었다. 폭발과압 및 복사열이 미치는 피해거리는 CNG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CNG는 CNG와 수소의 사이에 위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가스공사, CNG충전소를 이용한 HCNG 인프라 구축 타당성 연구, 한국가스공가 연구개발원 연구보고서 25-1-2-09, 2011.
  2. 산업통상자원부, HCNG자동차 연구개발용 HCNG자동차충전소의 시설,기술,검사에 관한 특례기준, 산업통상자원부고시제2014-141호, 2014.
  3. FLUENT 14.5 User's Guide, ANSYS Inc., 2013.
  4. Ansys AUTODYN User's Manual, ANSYS Inc., 2013.
  5. Clancey, V.J, "Diagnostic features of explosion damage", 6th Int. Mtgof Forensic Sciences, Edinburgh, 1972.
  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사고 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GUIDE P-102-2012, 2012.
  7. Phast Risk Software Package Description, DNV,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