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복사열

Search Result 72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열진공 챔버 내의 불균일한 열환경이 시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 Go, Tae-Sik;Seo, Hui-Jun;Jo, Hyeok-Jin;Park, Seong-Uk;Im, Seong-Jin;Mun, Gw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03.2-103.2
    • /
    • 2013
  • 위성체는 우주공간의 고진공 상태와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인해 주요 부품의 기능장애가 초래되므로 발사전 지상에서 열진공 시험장비를 이용한 열진공시험을 수행한다. 우수한 성능의 위성체 부품의 검증을 위해서 열환경 시험 요구에 따라 균일한 복사열이 매우 중요하나, 시험 조건을 비롯하여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열전달의 불균일성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험 조건에 의한 열전달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히터파워를 선정하고 챔버 내에 적절한 방열판과 챔버 슈라우드의 열교환이 간섭이 없도록 장비를 운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여 열진공 챔버 내부 벽면의 불균일한 복사열에 따른 비정상 열전달 특성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뒤 시편의 온도 분포 및 열전달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Radiative Heat Flux of Nozzle Exit (노즐 후방부의 Radiative Heat Flux 측정)

  • An, Won Geun;Park, Hui Ho;Hwang, Su Gwon;Kim, 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5
    • /
    • pp.87-92
    • /
    • 2003
  • In rocket systems, somtimes special devices or equipments are installed near the nozzle exit area wher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mbustion gas flows. To pretect these subsystems from severe therm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thermal data measured from the experimental liquid rocket firing test. Test variables were combustion pressure (200, 300, 400 psi) and mixture ratio (1.5, 2.0, 2.5) and quartz was used as a heat probe. Measurement technique used in this research can be also applied to measure the radiative heat flux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which is important imput data for the liquid rocket regenerative cooling system design.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성능 측정

  • Bang, Yeong-Jun;Lee, Jun-Gyeong;Bang, Chang-Hun;Gwon, Je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78-79
    • /
    • 2013
  • 소방보호복은 화재진압현장에서 소방관들을 화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착용하는 장비이다.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소방관들의 화재진압작업시 위험요소를 적절히 판단하여 화상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성능을 정확히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해 실험 장비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방 보호복의 구성 재료 각각에 대해 복사열 노출을 시켜 시간에 따른 피복 전후면의 온도차와 통과 열유속을 측정하여 소방 보호복의 열보호 성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수소 배기용 저온 흡착(Cryo-Sorption) 펌프의 열설계

  • 조용섭;최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45-45
    • /
    • 1999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중인 KSTAR 중성입자입사 (NBI) 가열장치의 이온원을 시험하기 위한 진공 챔버 (높이 1.2m, 폭 1.2m, 길이 2.4m)의 수소 배기는 저온 흡착 펌프를 제작하여 이용할 계획이다. 흡착제는 활성탄으로 하고, 흡착제의 냉각은 20K 12W Cold Head를 이용한다. 이 흡착제가 부착된 무산소동판을 액체 질소로 냉각된 Chevron Baffle로 열차폐한다. 이 흡착제가 수소를 배기하기 위해서는 15K 이하로 냉각이 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열설계가 중요하다. 흡착판에 가해지는 열부하를 평가하고, 이 열부하에서 흡착판 온도가 15K 이하가 되도록 열설계를 수행하였다. 열부하 중 가장 큰 것은 Ghevron을 통해 들어오는 복사열로, Chevron의 복사율 및 난반사도에 따라 MOnte Calro 법 전산코드를 작성하여 복사열을 계산하였다. 크기 500mm x 400mm인 흡착판에 대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열설계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크기 800mm x 1400mm인 흡착판에 대해 열설계 내용에 대해 발표한다.

  • PDF

수소 배기용 저온 흡착 (Cryo-Sorption) 펌프의 열설계

  • 조용섭;최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27-127
    • /
    • 1999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중인 KSTAR 중성입자입사(NBI) 가열장치의 이온원을 시험하기 위한 진공챔버(높이 1.2m, 폭 1.2m, 길이 2.4m)의 수소 배기는 저온 흡착펌프를 제작하여 이용할 계획이다. 흡착제는 활성탄으로 하고, 흡착제의 냉각은 20K 12W Cold Head를 이용한다. 이 흡착제가 부착된 무산소동판을 액체 질소로 냉각된 Chevron Baffle로 열차폐한다. 이 흡착제가 수소를 배기하기 위해서는 15K 이하로 냉각이 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열설계가 중요하다. 흡착판에 가해지는 열부하를 평가하고, 이 열부하에서 흡착판 온도가 15K 이하가 되도록 열설계를 수행하였다. 열부하 중 가장 큰 것은 Chevron을 통해 들어오는 복사열로 Chevron의 복사율 및 난반사도에 따라 Monter Carlo법 전산 코드를 작성하여 복사열을 계산하였다. 크기 500mmx400mm인 흡착판에 대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열설계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크기 800mmx1400mm인 흡착판에 대해 열설계 내용에 대해 발표한다.

  • PDF

The Effect of Radiative Heat Flux on Dynamic Extinction in Metalized Solid Propellants (복사열전달이 고체 추진제의 동적소화에 미치는 영향)

  • Jeong, Ho Geol;Lee, Cha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2
    • /
    • pp.72-79
    • /
    • 2003
  • A numerical calcul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and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radiative heat flux from metal particles(Al, $Al_2O_3$) on the dynamic extinction of solid propellant rocket where the rapid depressurization took place. Anon-linear flame modeling implemented by the residence time modeling for metalized propellant was adopted to evaluate conductive heat flux to the propellant surface. The radiative heat feed back was calculated with the aid of a modified comvustion-flow model as well. The calculation results with the propellant of AP:Al:CTPB=76:10:14 had revealed that the radiative heat flux is approximately 5~6% of total flux at the critical depressurization rate regardless of chamber geometry (open or confined chamb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dynamic extinction in open geometry could be predicted at the depressurization rate about 45% larger with radiative heat feedback than without radiation. Thus, it should be claimed that even a small amount of radiative flux 5~6% could produce a big error in predicting the critical depressurization rate of the metalized propellant combustion.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criteria for fire door (방화문의 성능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Jun-Pyo;Jeon, Soo-Min;Cho, Nam-Wook;In, Ki-Ho;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6
    • /
    • 2010
  • 현재 국내 건축물은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규모 및 용도에 따라 방화구획을 설치하여 화재시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건축법에서 성능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방화구획으로 사용되는 제품 및 구조는 평가기준이 미흡하여 일정시간 이상의 방화구획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복사열로 인한 화재확산에 대한 위험성은 평가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의 비차열 성능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복사열에 대하여 방화문의 구조 및 재료별 복사열을 측정하고 복사열에 의한 위험성과 성능기준 추가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rmal Characteristics of Living Leaves in Pinus Densiflora with Heat Flux (복사열 증가에 따른 소나무 생엽의 열적특성 분석)

  • Park, Young-Ju;Lee, Hae-P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75-82
    • /
    • 2010
  • To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fuel by fire intensity, the experiment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Pinus Densiflora living leaves, which is the weakest species to the forest fire, was delivered, using variables of heat flux(25 kW/$m^2$, 50 kW/$m^2$, 75 kW/$m^2$). With the equipment of Cone calorimeter,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heat, smoke release, CO and $CO_2$ release, and mass loss were analyzed. Pinus Densiflora living leaves containing moisture of 60.66% were not ignited at the heat flux of variables 25 kW/$m^2$, 50 kW/$m^2$, 75 kW/$m^2$. In proportion to the heat flux value, heat release amount and heat release rate reached maximum value rapidly: higher variables came to the maximum by the half rapidity and the maximum value were twice higher than the former lower variables respectively. As for the smoke release, the less heat flux the variable had, the more smoke release it ha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The release amount of CO and $CO_2$ had more maximum value as the heat flux increased and more radiant heat meaned more carbon oxide. When the forest fire breaks out, therefore, a great amount of CO and $CO_2$ will be released by Pinus Densiflora.

A Study of Effect of the Radiative Heat Flux on the Evacuation of Agents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복사열이 재실자의 피난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ae, Sungryong;Kim, Jung-Yup;Shin, Hyun-Joon;Ryou, Hong-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1
    • /
    • pp.31-36
    • /
    • 2014
  • Recently, the safety assessments with using the various evacuation programs are perform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fire and evacuation safety in the building. Generally, the evacuation programs can simulate the human behavior in fire situation by applying the variation of the movement speed and Fractional Effective Dose (FED) index in the smoke. However, if the simulation is performed without optional setting around the fire, the agents do not avoid the fire and they move through the fi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fine the radiative repulsion force which exists between the fire and the agents. Moreover, we modify the Helbing's movement model by adding the radiative repulsion force. As a result of the modified movement model, all agents move around the fire and they do not enter the upper bound area of radiative heat flux, $2.4kW/m^2$. From these results, we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vement model.

A Study on the Radiation Heat Transfer Effect near a Refrigerator Gasket (냉장고 가스켓 주위의 복사열전달 효과에 관한 연구)

  • Ha, Ji-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605-1610
    • /
    • 2015
  • The present study has been accomplish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radiation heat transfer in the heat transfer analysis of refrigerator gasket, which has near 30% of refrigerator heat loss. The numerical heat transfe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ith the simplified modeling of refrigerator gasket. From the present CFD analysis, heat loss at the gasket is $25.6W/m^2$ for the case without radiation effect and that for the case with radiation effect is $55.0W/m^2$, which is 2.2 times greater heat loss. The radiation protection layers were installed in the gasket from 0 to 7 and the case with 7 layers has 33% reduction effect of heat loss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any radiation protection layer. Additionally, it is better effect of radiation heat loss reduction that the radiation protection layers would be placed to the outer or inner side of gasket rather than placing to the center of gas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