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Symbol Found out in Soswaewon

소쇄원에 나타나는 전통 색채 분석과 의미 해석

  • Han, Hee-Jeong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Cho, Se-Hwan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한희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Received : 2014.02.04
  • Accepted : 2014.03.17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der's intentions and the colors that a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nifestation of symbolic colors as the signs and symbols that are shown in the traditional space of Soshaewo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treating villa gardens of Chosun Dynast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s.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intended background of Soshaewon and so on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lative literature and the contents as the objec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the scenic beauties and spatial elemnts that are shown in the plan of Soshewon and the poems about Soshewon 48 scenes as well as the contents of the poems related to Five Primary Colors that are used based on "the Ideology of Five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spect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patial elements shown in Soswaewon broadly into the visual, synesthetic and symbolic & cognitive spaces in order to classify the locations and directions of the spaces and natural objects as the visual space, the seasons, the points of times and the five sensory organs as the synesthetic space and the "Four Moral Begginings" & the "Seven Emotions" of New Confucianism as the symbolic and cognitive space and by analyzing if there a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decided intentions and the spatial meanings that are revealed by analyzing the system of five primary colors which are used in each spatial element.7) As a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colors that are used based on the three spatial components of Soshaewon, it was found that one of Five Primary Colors were used 74 times in total. First, in the visual spatial component, one of the colors was used 18 times in total including 2 times of blue, 1 time of red, 6 times of yellow, 4 times of white and 5 times of black. The fact that yellow symbolizing the source of everything and white symoblizing cleanness and pureness are used relatively more often than blue and red symbolizing nature and life respectively can be interpreted that the builder, Mr. San-bo Yang's intention to build Soshaewon is related to the meaning symbolizing the pure will of the builder who wanted to seclude himself from society rather than to give priority to enjoying nature. Second, in the synesthetic spatial component which are selected from the 48 scenes of Soshaewon, one of Five Primary Colors was used 38 times in total including 11 times of blue, 8 times of red, 4 times of yellow, 5 times of white and 10 times of black. Since blue and red symbolizing nature and life respectively are used more often than yellow and black symbolizing the source of the world and pureness & knowledge respectively, it was interpreted that the builder means to be faithful to the unique basic functions of the retreating villa with which the builder wanted to enjoy his passion for enjoying nature and exploring knowledge even though the builder built the villa garden for the purpose of keeping himself pure while being unstained by the world. Finally, it was analyzed that one of Five Primary Colors was used 18 times in total including 4 times of blue, 5 times of red and 9 times of white in the symbolic and cognitive spatial components of the 48 scenes. Since it was found that white symbolizing the builder's political pureness is used at the same frequency as blue and red symbolizing nature and life respectively are used as a result from the analysi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intention of creating Soshaewon was emotionally revealed at the same percentage in the aspects of his political pureness and enjoyment of nature through his poems. Especially, as a result from such 3 kinds of analyses regarding to the frequency of using Five Primary Color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imes using Five Primary Colors in the synesthetic spatial component was 38 as the highest percentage, around 51% followed by each 18 times as the24.5% respectively in the visual and cognitive & symbolic spatial spaces. Based on such resul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builder, Mr. San-bo Yang's intention of creating Soshaewon sympolizes that his intention for enjoying the basic nature and the vitality of nature within the retreating villa garden is hidden at the same proportion as his intention for keeping himself pure from the unrightful world.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traditional colors which are hidden in a traditional retreating villa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bolic meanings and the spatial components of Soshaewon based on the Five Primary Color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Ideology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but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explore whether such a theory can be generally applied to other kinds of retreating villa gardens or not through a study on other retreating villa gardens as other examples in which the builder's apparent pure intentions, such as enjoyment of nature and persuit of study, etc., unlike Soshaewon are hidden.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별서정원인 소쇄원을 사례로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호 및 기표로서의 상징적 색채발현 분석 및 그 의미 해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색채와의 관련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통 색채 및 소쇄원의 작정배경 등에 대해서는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실증적 분석 대상으로서의 내용은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 시문에서 나타나는 경관 및 공간 요소 그리고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에 근거한 오정색과 관련한 작시의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소쇄원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요소를 크게 시각적, 공감각적,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로 구분하여 시각적 공간으로 공간 및 경물의 위치와 방위, 공감각적 공간으로 계절과 시간 및 오관, 상징 인식적 공간으로 칠정과 사단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공간요소에 대해 오정색 체계 분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공간 의미의 상관성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쇄원의 3개 공간 구성을 기준으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4개의 오정색 항목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각적 공간 구성요소에서는 청색 2회, 적색 1회, 황색 6회, 백색 4회, 흑색 5회 등 모두 1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에서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보다도 만물의 근본을 상징하는 황색과 깨끗함과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가 자연을 즐기는 데 우선을 두기보다는 오히려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한 의지를 상징하기 위한 의미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둘째, 소쇄원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공감각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는 청색 11회, 적색 8회, 황색 4회, 백색 5회, 흑색 10회 등 3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여기서는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이 세상의 근본과 순결 그리고 지식을 상징하는 황색과 흑색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비록 작정자의 세상에 대한 순결성을 지키고자한 의지로 공간을 작정하였지만, 별서정원에서 자연 즐김과 지식 탐구에 대한 감정을 누리려는 별서 고유의 기본적 기능에 충실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역시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에 대한 오정색은 청색 4회, 적색 5회, 백색 9회 등 18회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색채 분석 결과에서는 정치적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과 같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음으로써 소쇄원의 작정 의도가 시를 통해 정치적 순결성 강조와 자연 즐김을 동일한 비중으로 감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이 3종류의 분석에서 공감각적 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오정색의 빈도가 38회로 약 51%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시각적 공간 구성 요소와 인지 상징적 공간 구성 요소가 각각 18회로 각 24.5%의 빈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는 전체적으로 보면,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성을 지키고자 함과 함께 별서정원의 기본인 자연과 자연의 생명력을 즐기려는 의도가 같은 비중으로 숨어있음을 상징하고 있다고 해석을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쇄원 작정의 상징적 의미와 공간 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을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근거한 오정색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 별서정원에서 숨어있는 전통 색채를 밝히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이론이 다른 별서정원에서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탐색하는 것은 소쇄원과는 다른, 순수한 자연 즐기기나 강학, 기능 등 뚜렷한 작정 의도가 숨어 있는 다른 사례의 별서정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2001). 소쇄원 48영에 보는 경관체험과 평가의 원천. 한국정원학회지. 19(3) : 62-73.
  2. 김미정(2008). 소쇄원을 통해본 전통원림의 차경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모(2003). 시 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소쇄원 사십팔영을 통해본 소쇄원의 조영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1(2) : 1-17.
  4. 김지현(2002). 소쇄원도의 공간도상적 체계분석.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1993). 소쇄원도와 시문 분석을 통한 소쇄원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6. 김현미(2011). 조선시대 별서정원 소쇄원의 의미 양상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권수용(2005). 소쇄원사실을 통한 소쇄원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8. 권수용(2008). 소쇄원의 역사와 인문활동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9. 박명희(2002). 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 고. 우리말글. 제25집.
  10. 박현숙(2009). 한국봉황도의 조형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헬렌(2001). 전통정원소쇄원대지의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2) : 141-150.
  12. 서자유(2007). 틈 개념에 의한 한국전통정원의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소현수(2011). 차경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소쇄원시선과 소쇄원 30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 59-69.
  14. 양병이(1992). 한국전통조경. 92 IFLA 한국조직위원회 편. 도서출판조경.
  15. 이정재(2003). 음양오행론의 형성과 이의 응용연구. 한국문화연구. 7집.
  16. 이재근(1992). 조선시대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재근(2005). 한국의 별서정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 139-144
  18. 정동오(1977). 소쇄원의 조경식물.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 9권.
  19. 정일옥(2008). 동양고전 소학. 청문각.
  20. 조태성(2009). 소쇄원 조영에 투영된 감성 구조와 공간의 미학.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 44집.
  21. 천득염(1994). 소쇄원도와 48영을 통하여 본 소쇄원도의 구성요소. 건축역사연구. 3(3) : 67-90.
  22. 최창조(1997). 한국의 자생풍수 2. 서울 : 민음사.

Cited by

  1. A Study on the Traditional Color Analysis of Chinese Historic Village - Focus on Cuandixia Village of Mentougou District in Beijing - vol.33, pp.4, 2015,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