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f-reflexivity in Animation Media -focusing on exposure of production process and intertexuality-

애니메이션의 매체적 자기반영성 -생산과정의 노출과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2.01
  • Accepted : 2014.03.03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Self-reflexivity means consciousness turning back on itself and breaks with art as illusionism and exposes their own factitiousness as textual construct. Self-reflexivity in media deals with the media's condition and process itself and tends to pull viewers out of the reality represented on screen by reminding them that is a media's construction or illusion on the screen. Representation aesthetics has been recognized with an essential theory of the art since Ancient Greek, but it has encountered crisis with the invention of the photography and the cinema in the early 1900s. The supreme transparency of the new media induced a new perspective for the representation aesthetics, which had dominated the art world. The art derived from the representation stood on the crossroad of changing direction. Modernism aesthetics wanted to search for the self-referentiality in order to the replace the past principal. This essay focuses on self-reflexivity in animation and their methodology. First, the change of representation aesthetics in visual arts will be discussed. Second, animations exposing their process of production and components will be analyzed, and lastly, intertextuality in animation will be dealt. I hope to provide the vision of the expanded animation media with this study.

자기반영성은 매체 스스로 자신의 조건과 절차를 텍스트 안에서 검토하며 매체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미학적 전략이다. 이는 외부세계를 투명하게 모사하고자 하였던 재현의 원리가 19세기에 접어들어 위기를 맞이함으로부터 더욱 가속화 되었다. 19세기 초반 사진기술의 발명과 더불어 시작된 급격한 테크놀로지와 생활사회의 변화는 회화가 더 이상 재현의 방법론을 고수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예술은 격변하는 세계의 페러다임과 맞물리며 새로운 방법론을 취하게 되었다. 이에 시각예술은 자신의 근원적인 매체의 성격을 성찰하고 스스로의 가능성을 재조직하는 자기반영적 전략을 취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이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본고에서는 관람자로 하여금 애니메이션이 인공적 구성물임을 끊임없이 주지시키며 매체적 특성을 자각하고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자기반영적 애니메이션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첫 번째 장에서는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에술의 창작원리로 폭넓게 수용되었던 모방과 미메시스에 기반한 재현 개념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자기반영성의 미학적 방법론을 개괄하였다. 이어 두 번째 장에서는 환영적이며 몰입적 재현에 목적을 두지 않고 애니메이션의 생산과정과 구성요소를 드러내며 자기 인식과 비판을 스스로의 작품 안에서 환기시킴으로써 다른 방식의 영상읽기를 제안하는 텍스트들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는 애니메이션과 인접한 예술매체들과의 상호매체적인 관계 속에서 애니메이션의 존재론적 정체성과 조건을 탐색하는 상호텍스트적 작품들을 고찰하였다. 급변하는 매체환경 속에서 애니메이션 매체에 관한 재성찰이 요구되는 작금의 시절에, 자기반영성의 전략을 취하며 애니메이션 매체를 스스로 환기시키는 작품을 살펴보는 것은, 애니메이션이 스스로를 어떻게 구성해내고 있으며 무엇을 해나가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의 시각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준양,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3.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정헌 역,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4. 로버트 스탬, 오세필 구종상 역,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한나래, 1998.
  5. 마단 사럽, 전영백 역,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05.
  6. 미쉘 푸코, 김현 역,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민음사, 1995
  7. 올리비에 코트, 나호원역, 오스카애니메이션, 다빈치, 2009
  8. 임근준, 이것이 현대적 미술, 갤리온, 2009
  9. 조셉 칠더즈, 황종연 역, 현대문학, 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9
  10.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11. 찰스 젱크스, 신수현역, 포스트 모더니즘, 열화당, 1992
  12. 프랑크 슢츠, 현대미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다, 미술문화, 2010
  13. 피종호,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미학,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14. 황선길, 애니메이션 영화사, 범우사, 1998
  15. 할 포스터 외 4명, 배수희, 신정훈 역, 1900 이후의 미술사, 세미콜론, 2007
  16. 문관규, "곡사텍스트의 자기반영성 미학스타일-미장아빔, 퍼포먼스, 상호텍스트성", 영화연구, Vol.- No.44, 2010
  17. 서대정, "디지털 시대의 자기반영예술", 디지털영상학술지, Vol.3 No.2, 2006
  18. 서대정,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영화의 자기 반영 미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2007
  19. 전규찬, "나르시스의 거울:자기성찰적 텔레비전 문화 정치적 가능성",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Vol.2003 No.-, 2003
  20. 조미라,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 1990년 이후 장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영상예술학 박사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