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4.34.081

Self-reflexivity in Animation Media -focusing on exposure of production process and intertexuality-  

Suh., Yong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4 , pp. 81-1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elf-reflexivity means consciousness turning back on itself and breaks with art as illusionism and exposes their own factitiousness as textual construct. Self-reflexivity in media deals with the media's condition and process itself and tends to pull viewers out of the reality represented on screen by reminding them that is a media's construction or illusion on the screen. Representation aesthetics has been recognized with an essential theory of the art since Ancient Greek, but it has encountered crisis with the invention of the photography and the cinema in the early 1900s. The supreme transparency of the new media induced a new perspective for the representation aesthetics, which had dominated the art world. The art derived from the representation stood on the crossroad of changing direction. Modernism aesthetics wanted to search for the self-referentiality in order to the replace the past principal. This essay focuses on self-reflexivity in animation and their methodology. First, the change of representation aesthetics in visual arts will be discussed. Second, animations exposing their process of production and components will be analyzed, and lastly, intertextuality in animation will be dealt. I hope to provide the vision of the expanded animation media with this study.
Keywords
animation; self-reflexivity; intertextu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준양,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3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정헌 역,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4 로버트 스탬, 오세필 구종상 역,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한나래, 1998.
5 마단 사럽, 전영백 역,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05.
6 미쉘 푸코, 김현 역,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민음사, 1995
7 올리비에 코트, 나호원역, 오스카애니메이션, 다빈치, 2009
8 조셉 칠더즈, 황종연 역, 현대문학, 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9
9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북스, 2003.
10 찰스 젱크스, 신수현역, 포스트 모더니즘, 열화당, 1992
11 프랑크 슢츠, 현대미술,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다, 미술문화, 2010
12 피종호,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미학, 한양대학교출판부, 2013
13 황선길, 애니메이션 영화사, 범우사, 1998
14 할 포스터 외 4명, 배수희, 신정훈 역, 1900 이후의 미술사, 세미콜론, 2007
15 문관규, "곡사텍스트의 자기반영성 미학스타일-미장아빔, 퍼포먼스, 상호텍스트성", 영화연구, Vol.- No.44, 2010
16 서대정, "디지털 시대의 자기반영예술", 디지털영상학술지, Vol.3 No.2, 2006
17 서대정,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영화의 자기 반영 미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2007
18 전규찬, "나르시스의 거울:자기성찰적 텔레비전 문화 정치적 가능성",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Vol.2003 No.-, 2003
19 조미라,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 1990년 이후 장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영상예술학 박사논문, 2005,
20 임근준, 이것이 현대적 미술, 갤리온, 2009